BGM정보 : 브금저장소 - http://bgmstore.net/view/H3lDv

 

463743.jpg

 

안녕~ 오늘은 캐나다 경제로 일베글을 써보려고 해.

 

캐나다는 G7(선진 7개국)에 속하는 북미의 선진국에

 

2014년 IMF 기준, GDP 규모 11위의 경제강국이야. (우리나라는 13위)

 

 

 

cabNM_0CH60fR74kDYQwu1398733081435.jpg

 

또 우리나라와 FTA를 타결해서 사이가 더 가까워질 나라이지.

 

캐나다가 조용한 나라라 관심도가 부족해서 

 

짤이 조금 부실하고 외국 짤이 많은대, 이점 양해 바랄께~

 

 

 

목차는

 

1. 캐나다의 경제

 

2. 캐나다의 부동산 거품(?)

 

3. 캐나다의 최근 경제상황

 

이렇게 쓸 생각이야.

 

 

 

 

1. 캐나다의 경제

 

645664564645.png

 

캐나다는 우리나라 땅의 101배에 달하는 어마어마한 크기를 자랑하면서

 

인구는 우리나라보다 작은 3500만명의 나라야.

 

 

 

 

2013062701855_2.jpg

 

그런 광할한 국토에서 나오는 자원의 힘으로

 

원자재 매장량과 생산량에서 세계 10위권에 속하는 자원강국이지.

 

 

 

 

AA_8491778_1.jpg

 

 

또 캐나다는 2014년 기준, 1인당 GDP는 5만불로 상당한 선진국이야.

 

(우리나라는 2만 8,739불, GDP는 환율 차이로  꽤 오락가락함.)

 

 

 

 

800px-Canada_Products_Export_Treemap_2012.png

(캐나다의 수출구조는  파란색이 제조업, 갈색이 석유산업, 진한 갈색이 광산업, 분홍색이 의약-화학, 노란색이 농업, 빨간색이 건설자제, 주황색이 펄프로 구성)

 

  

많은 자원 탓에 캐나다를 원자재 수출국으로 생각하게 되지만

 

캐나다는 의외로 제조업 비중이 높은 나라임.

 

 

 

 

45345353453.png 

다만 캐나다의 수출구조에서 자동차가 높게 나오는 것은

 

해외 자동차공장들이 캐나다에 많기 때문이야.

 

캐나다 자국 기업들은 아니지. ㅋㅋ

 

 

 

 

m1_1_1413395830.jpg

 

캐나다 경제에서 제조업이 꽤 크다 보니

 

캐나다가 원유생산량 세계 5위이지만 원유소비도 세계 8위라 (2012년 기준)

 

캐나다 경제에서 원유수출 비중이 아주 크지는 않아. ㅎㅎ

 

 

 

 

5434534534534.png

 

그리고 캐나다는 GDP 비중에서 서비스업 비중이 가장 높은 나라로

 

자원수출이 10% 이하, 제조업도 20% 이하인 나라야.

 

 

캐나다는 호주, 이란, 베네수엘라, 러시아 등과 다른

 

산업과 경제가 발전된 나라지. ㅎㅎ

 

 

 

 

Figure-5.jpg

 

하지만 글로벌 경쟁력(Competitiveness), 혁신성(Innovation), 1인당 GDP(per capita) 을 볼때

 

경쟁력과 혁신성에서 캐나다는 호주와 비슷하며

 

독일, 일본, 영국, 미국 같은 강국에 밀리는 모습이야.

 

 

 

 

GYH2014031100060004400_P2.jpg

 

실제로 우리나라에 오는 캐나다 수출품들이 대부분 원자재다 보니

 

우리나라에게 캐나다는 원자재 수출국 이미지가 강할 수 밖에 없어. ㅋㅋ

 

 

 

 

1. 캐나다의 경제 요약

 

1) 캐나다는 G7(선진 7개국)에 속하는 선진국으로 우리나라의 101배 크기의 광활한 국토에 인구수는 3500만명임.

 

2) 원자재 수출도 많이 하지만, 호주, 러시아 등과 다르게 제조업도 꽤 하는 선진국임.  1인당 GDP 5만불.

 

3) 그럼에도 혁신성, 경쟁력에서는 미국, 독일, 일본 등과 큰 차이가 있고, 우리나라와의 무역에서 자원 비중이 앞도적으로 높음.

 

 

 

 

2. 캐나다의 부동산 거품(?)

 

cp-gdp-q3-2014.png

 

캐나다는 유럽과 일본과 비교하면

 

2~3%의 무난한 경제성장률에

 

 

 

 

fp1206_canada_jobs_c_jr.jpg

 

실업률도 2008년 경제위기 이후

 

꾸준히 낮아지고 있어서 건실한 경제성장을 보이고 있는 나라야.

 

 

여기까지는 엄청 재미없는 글이 되겠다고 생각했는데

 

일게이의 추천 답게 캐나다에도 재미있는 현상이 있었어.

 

 

 

 

4564564564.png

 

그것은 바로 캐나다 경제에 부동산 버블끼가 있다는 것이지.

 

 

 

canada.jpg

 

캐나다는 꾸준한 집값 상승이 발생하고 있는대

 

이현상은 지금까지도 계속 되고 있어.

 

 

2011년 기준으로 2배 집값 상승인대, 우리나라에 비하면 약과로 생각되지만

 

캐나다의 부동산 버블은 꽤 심각하게 평가되고 있음.

 

 

 

 

5345353.png

 전체 말고 캐나다의 주요도시 집값을 보면

 

 2000년 쯤에 60이고 2013년에 160~200 대이니, 대략 3배쯤 상승으로 봐도 될듯 함.

 

 

 

20140612205504977.jpg

 

그리고 2014년에 IMF는 캐나다의 집값이

 

소득 대비  33% 고평가되었다고 말하고

 

 

 

 

20130610102124812.jpg

 

2013년에는 OECD가 캐나다의 집값이

 

OECD 3위로 고평가되었다고 비슷하게 말했어.

 

 

놀라운 점은 IMF, OECD의 우리나라 집값 평가로

 

우리나라 부동산이 저평가받고 있다는 소리를 한 것이야. ㄷㄷ

 

 

 

5464564564645.png

 

부동산의 명목가격은 2008년 이후 거의 고정된 상태이고

 

1~4%의 물가상승으로 실질가격이 지속적으로 낮아졌지만, 좀 이상한 통계라고 생각해. ㅎㅎ

 

 

2013년 국민은행의 평균소득 대비 주택가격 통계를 보면

 

캐나다 벤쿠버와 서울의 집 장만에 평균 9년으로 비슷하거든.

 

전체로 보면 우리나라가 캐나다보다 높은데 말이야.

 

 

 

2013031089281_2013031088591.jpg

 

그리고 노르웨이는 또 뭐냐? 싶어서 검색해보니

 

집값 상승이 있긴 있더라. 2004년을 기준으로 하면 2배 상승임. ㅋㅋ

 

 

 

 

Canadi27.gif

 

또 캐나다의 2013년 GDP 구성을 볼때

 

부동산(Real estate)이 12%이고, 건설업(Construction)이 7%가 나오는 것도 놀랍다고 생각해.

 

광산업(8%), 제조업(10%)를 넘는 것을 보면 버블끼가 있긴 있구나 싶음.

 

 

 

original.jpg

 

부동산 버블로 인해 주로 생기는 가계부채는

 

캐나다의 경우, 소득 대비 가계 부채비율이 160%에 달하는대

 

 

 

 

d992a1e789ed0a32123cb99a6338f7da.png

 

이는 우리나라와 비슷한 수준이라 놀랍다고 생각해.

 

우리나라의 101배의 광활한 국토에서 왜 부동산 버블이 발생할까 싶어.

 

 

 

6a88c139c6abcf146d87342dc61f4306.jpg

 

하지만 캐나다의 토지자사 대비 GDP 비율은 매우 양호해서

 

국가 전체로 보면 큰 위험은 아니라고 생각해.

 

 

전체자산에서 부동산의 비중은 작다는 소리거든. ㅎㅎ

 

 

 

 

20150206000191_0.jpg

 

또 캐나다의 GDP 대비 총부채도

 

딴 나라에 비하면 비교적 작은 편임.

 

 

 

 

2. 캐나다의 부동산 거품(?) 요약

 

1) 캐나다 경제는 양호한 경제성장과 꾸준히 감소하는 실업률로 건전해 보임.

 

2) IMF, OECD에서 캐나다의 집값이 소득 대비 30% 정도 고평가되었다고 주장함.

 

또 부동산(12%), 건설업(7%)의 경제 비중이 제조업(10%), 광산업(8%)보다 높고, 소득 대비 가계부채 비율이 우리나라랑 비슷함.

 

3) 하지만 토지자산 대비 GDP 비율이 매우 양호하고, 총부채도 비교적 작은 편임.

 

 

 

 

3. 캐나다의 최근 경제상황

 

2015020600799_0.jpg

 

캐나다가 2015년 1월 22일날 금리 1%에서 0.75%로 금리인하를 해서 재미있다고 생각해.

 

 (짤은 없지만, 올해 들어 16개 나라가 금리인하를 했다고 함.)

 

 

 

 

 2015030315451922828_1.jpg

 

그리고 캐나다의 환율은 최근  15% 정도 평가절하 되었는대 (2015년 3월 3일자 기사)

 

 

 

 

Canada_energy_prices_vs_USD_CAD.png

 

이것이 유가하락과 관련이 있다고 함.

 

짤을 보니 캐나다환율이 에너지가격과 밀접하게 움직이는거 같음. ㅎㅎ

 

 

 

 

645645645645.png

 

엔하위키의 수출구조 짤과 다르게 캐나다 수출의 25% (2011년 기준)는 자원수출이라고 해.

 

아마도 수출의 분류 기준이 다른 것 같음. ㅎㅎ (화학이 석유로 통합되는듯)

 

 

GDP의 약 10%, 수출의 25%가 원자재 수출이니

 

최근의 저유가에 캐나다 경제가 악영향을 조금 받을 것 같아.

 

 

 

546456456456.png

 

유가하락이 캐나다의 고용시장, 소득 등에 영향을 주면

 

주택수요를 위축시켜서, 캐나다 주택시장에 안 좋은 영향을 줄 수도 있다고 생각해.

 

 

 

 

 Figure_5-1_Eng.jpg

 

다만 캐나다의 수출 대부분은 대미수출이라

 

미국 경제가 회복되면 캐나다 경제에 좋은 영향을 주는 지라

 

아주 나빠지지는 않을 것이라 생각해.

 

 

 

3. 캐나다의 최근 경제상황 요약

 

1) 2015년 1월 22일 금리를 1%에서 0.75%로 인하함. 그리고 최근 6개월 사이에 캐나다 환율이 15% 정도 평가절하함.

 

2) 캐나다 GDP의 약 10%, 수출의 25% 정도 차지하는 원자재수출이 나빠져서 캐나다 경제에 악영향을 줄 수 도 있음.

 

3) 유가하락이 캐나다의 고용시장, 소득에 영향을 주어서 주택수요를 낮출 수도 있음. 다만 금리인하와 미국 경제회복이 변수가 될 듯.

 

 

 

 

1) 우리나라

3. http://www.ilbe.com/4081542235 (묻재업) 우리나라 경제의 문제점과 미래에 대해 araboja

5. http://www.ilbe.com/4114054257 한국 부동산의 미래에 대해 araboja

7. http://www.ilbe.com/4151711269 (묻재업) 통일의 경제성에 대해 araboja


2) 미국

11. http://www.ilbe.com/4222789599 미중 경제전쟁을 araboja

12. http://www.ilbe.com/4279400243 (묻재업) 천조국의 경제 동향을 araboja

13. http://www.ilbe.com/4316149843 (묻재업) 미국 양적완화 종료를 araboja

28. http://www.ilbe.com/5072760817 (묻재업) 미국의 경제회복을 araboja


3) 중국

4. http://www.ilbe.com/4087029015 중국 부동산 운지 가능성에 대해 araboja

19. http://www.ilbe.com/4659931226 중국 경제 동향을 araboja

22. http://www.ilbe.com/4839769784 최근 중국의 주가급등을 araboja

27. http://www.ilbe.com/5036537981 중국의 버블을 araboja

33. http://www.ilbe.com/5164372416 중국의 부동산 침체를 araboja

46. http://www.ilbe.com/5410036727 (묻재업) 중국의 최근 경제동향을 araboja

4) 일본

1. http://www.ilbe.com/4061949641  (묻재업)일본 운지 가능성에 대해 araboja

2. http://www.ilbe.com/4065586303 아베노믹스에 관하여 araboja

20. http://www.ilbe.com/4701440558 아베노믹스를 다시 araboja

42. http://www.ilbe.com/5342896265 (묻재업) 아베노믹스의 그늘, 아베겟돈을 araboja


5) 유럽

8. http://www.ilbe.com/4173005326 (경제) 유로존 문제에 대해 araboja

24. http://www.ilbe.com/4948453305 우리나라가 스페인을 추월한 이유를 araboja

25. http://www.ilbe.com/4995348953 유라시아 경제권과 러시아 경제위기를 araboja

30. http://www.ilbe.com/5113881979 그리스의 유로존 탈퇴 가능성을 araboja

39. http://www.ilbe.com/5283047028 영국 경제와 부동산 버블을 araboja


6) 기타

6. http://www.ilbe.com/4140267534 (묻재업) 세계경제 위기 가능성에 대해 araboja

9. http://www.ilbe.com/4187842437 (묻재업) 디플레이션에 대해 araboja

10. http://www.ilbe.com/4198412139 (묻재업) 하이퍼 인플레이션에 대해 araboja

17. http://www.ilbe.com/4564563490 (묻재업) 셰일가스와 세계경제 변화를 araboja

23. http://www.ilbe.com/4893405136 (묻재업) 인도네시아 경제위기 가능성을 araboja

 

3줄 요약

 

1. 캐나다는 원자재 수출국 이미지가 강하나, 의외로 제조업도 하는 선진국. 남한의 101배의 크기,  3천5백만의 인구, 1인당 GDP 5만불임.

 

2. IMF, OECD는 캐나다 집값이 과하게 높다고 경고하고 있음. 소득 대비 가계부채 비율이 우리나라와 비슷함.

 

3. 유가하락이 캐나다 경제에 악영향을 줄 수 있어서. 캐나다는 금리인하와 환율의 평가절하 중임.  운지는 안할듯?