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GM정보 : 브금저장소 - http://bgmstore.net/view/tz1Ue

475688_20130923181133_319_0001.jpg

 

안녕~ 오늘은 동남아에서 GDP 규모 2등을(2011년 기준) 하는

 

태국을 주제로 일베글을 쓰려고 해.

 

 

태국이 우리나라에게 관심도가 떨어지다 보니

 

짤이 많이 부족해, 글이 부실한 점 양해 바랄깨~

 

 

 

목차는

 

1. 태국의 경제구조

 

2. 태국의 군사쿠데타

 

3. 태국의 구조적 약점

 

이렇게 쓸 생각이야.

 

 

 

 

1. 태국의 경제구조

 

4353453453453453.png

 

태국은 인구 6천만 이상에 한반도 크기를 2배 넘는 나라야.

 

필리핀(1억명), 베트남(9천만명)보다 인구수가 적지만

 

1인당 GDP에서 앞서서 태국이 동남아 GDP 2등이지.  (베트남 1인당 GDP 2073달러, 2014년 기준)

 

 

 

615px-Thailand_Export_Treemap.png

 

태국은 수출구조는

 

파란색이 제조업, 분홍색이 의료-화학-플라스틱 산업, 노란색이 농업, 갈색이 제철업, 초록색이 의류산업, 회색이 기타,

 

빨간색이 건설업, 검은색이 석유산업이야.

 

 

 

20120424_1335168731.jpg

 

태국의 수출구조에서 제조업 비중이 높지만

 

태국은 세계 상위권의 농업대국인대

 

 

참고로 러시아 수호이 전투기 구매건에서

 

닭 10억마리로 거래를 제안한 나라야. ㅋㅋ (닭고기 생산 세계 4위의 위엄)

 

 

 

GYH2014021800060004400_P2.jpg

 

제조업도 꽤 하는 나라인대

 

태국의 자동차 생산은 세계 10위권 안에 들고

 

 

 

201404021418310090601A_1.jpg

 

자동차 생산에서

 

옆 동내 필리핀과 비교가 안되는 수준이야.

 

 

 

20111116_1321344196.jpg

 

또 태국은 전세계 하드디스크 생산 1위인대

 

2011년 태국 홍수로 공장들이 줄줄이 침수하자

 

하드디스크 가격이 급등하기도 했어. ㅋㅋ

 

 

 

64645646456.png

 

태국의 수출의존도는 60% 정도로 상당히 높은 편이야.

 

수출주도형 성장 국가라고 할 수 있지.

 

 

 

THAIECON0527_gdpAlt.jpg

 

GDP 구성은 제조업 33%, 농업이 12%이고

 

호텔&레스토랑 산업이라면 관광업을 말하는 것 같은데

 

 GDP의 5.6%면 꽤 크다고 생각해.

 

 

3531298201_1390182917_2.jpg

 

연간 외국인관광객 수가 2천만명이 넘는다고 하니

 

ㅆㅅㅌㅊ 관광대국임. 

 

 

 

 

1. 태국의 경제구조 요약

 

1) 태국은 한반도의 2.3배 크기, 인구 6천만명이 넘고  동남아 GDP 2등의 국가

 

2) 관광&농업대국이면서 자동차,전자제품 수출 비중이 높은 제조업 국가

 

3) 제조업 비중이 33%이고 수출의존도가 60%가 넘는 수출주도형 성장국가

 

 

 

2. 태국의 군사쿠데타

 

 GYH2014052300030003900_P2.jpg

 

태국은 2014년 5월 22일날 19번째 군사쿠데타가 일어난 나라야.

 

19번째라니 참 다이나믹한 나라인듯. ㅎㅎ

 

 

 

20140524000037_0.jpg

 

태국의 정치는 둘로 갈라져 있는대

 

레드셔츠는 농민, 노동자, 지방 세력이고

 

엘로셔츠는 기득권, 중산층, 도시 세력이야.

 

 

 

Thailand-GDP-by-Region-Map-300x286.png

 

태국의 소득격차 지도와

 

 

2014052600794_0.jpg

태국의 정치지형도를 보면 매우 유사하지.

 

수출에 유리한 해안지대는 엘로셔츠(군부)가 우세하고

 

농업이 중심인 내륙은 레드셔츠(친탁신)가 우세한 상황이야.

 

 

GYH2011080500300004400_P2.jpg

 

태국의  GDP 대비 농업 비중은 12%에 불과하지만

 

농업인구가 40%가 넘어서 투표를 하면 친탁신(농민&지방) 쪽이 유리한 상황이야.

 

 

 2011년 선거에서 친탁신 세력이 500석 중에 263석을 차지해 과반을 넘어

 

부패혐의로 쫓겨난 탁신의 여동생이 2011년에 총리가 되었어.

 

 

 

1400834694.jpg

 

하지만 2014년 5월에 군부쿠데타가 발생해서

 

잉락 정부는 실각하게 되었지.

 

 

 

201405201715078107_l.jpg

 

실각의 원인으로는 정치적 갈등이 가장 크다고 하지만

 

정치는 잘 몰라서 생략할께~ ㅎㅎ

 

쿠데타에는 경제적 이유도 덤으로 있는대

 

2013년부터 태국의 GDP 성장률이 안 좋았어.

 

 

 

632442.gif

 

태국은 외국인투자 비중이 높은대

 

1분기의 외국인 투자금은 몹시 저조했고

 

 

 

5434534535353.png

 

2014년 1분기 대부분의 지표들이 마이너스여서

 

경제위기로 쿠데타의 명분이 되기 딱 좋은 상황이였어.

 

 

 

20140511195947_Wbq0yXp7_20140511_172556.png

 

태국 경제가 안 좋은 이유로는

 

수출의존도가 높아서 대외변수에 취약하다고 함.

 

짤을 보면 미국발 경제위기 때는 마이너스, 유럽발 경제위기때는 0% 찍음. (11년은 홍수도 있음.)

 

 

 

또 2014년 초에 엘로셔츠(반탁신)이 심하게 시위를 해서

 

외국자본이 불안하게 여겨서 투자가 둔화된 탓도 크다고 함.

 

 

 

201406~1.JPG

 

 태국의 군사쿠데타와  태국의 2014년 1분기 경제를

 

한짤 요약으로 하면 이렇다고 해.

 

수출 증가율이 마이너스 15%면 꽤 크다고 보임.

 

 

 

2. 태국의 군사쿠데타 요약

 

1) 태국 정치는 농민&노동자&내륙지방 세력의 레드셔츠와 중산층&해안도시 세력의 엘로셔츠로 나눠짐.

 

2) 탁신 총리는 부패혐의로 쫓겨났으나, 농민들의 강력한 지지로 여동생인 잉락이 2011년에 총리가 됨.

 

3) 군부는 경제위기와 정국불안을 핑계로 군사쿠데라를 일으켜서 정권을 잡음.

 

 

 

 

3. 태국의 구조적 약점

 

SSI_20140524012234_V.jpg

 

군부의 강력한 힘으로 찍어 누르고 있지만 

 

친탁신 세력의 지지도가  높아서 선거를 하면 이기기 때문에

 

태국의 정쟁불안은 계속 될 것으로 생각해.

 

 

 

67456456456464.png

 

그리고 1인당 생산성 격차를 소득격차로 가정하면

 

태국의 도농간의 격차는 꽤 심할 것으로 생각해.

 

 

이러면 해안 VS 내륙의 지역 갈등을 만들 것이라고 보여.

 

사회적 갈등이 구조적이라고 봐야지.  태국은 농민 인구도 많으니 ㄷㄷ

 

 

 

20140619000758_0.jpg

 

그리고 태국의 쌀 수출은 감소 중인대

 

이유는 잉락 전총리가 태국의 도농격차 완화를 위해

 

 

쌀 수매가(농업 보조금)를 2배로 올려서

 

인도, 베트남에게 수출경쟁력에서 밀리고 있다고 해. ㅋㅋ

 

 

그렇다고 정권을 잡은 군부가 쌀 수매가를 낮추지도 못하고 있는대

 

대규모 폭동이 두려워서 그렇다고 함. ㅎㅎ

 

 

 

 

2011102634621_2011102744791.jpg

 

또 태국의 자동차 산업, 전자 산업을 좋게 말 했는대

 

사실 태국의 제조업은 외국의 하청산업이야.

 

태국의 값싼 노동력을 활용해서 수출하는 것이지.

 

 

 

THAILAND-FDI.jpg

 

태국의 외국인 투자금 비중은 일본이 압도적으로 높은대

 

 

 

345345345353.png

 

정작 일본기업들은 태국 현지부품 사용이 적어서

 

노동력 따먹기가 꽤 크다고 생각해.

 

 

 

53453453453.png

 

 대한무역진흥공사(코르라)에서 보는

 

태국의 강점과 약점은 이렇다고 해.

 

정치불안과 외국기업 의존도가 높은 점이 약점이지.

 

 

 

 2012072502638_1.jpg

 

아 그리고 2011년 대홍수 때문에

 

물관리의 필요성을 태국이 크게 느끼고

 

4대강 사업을 한 우리나라에게 사업을 맞길 것이라고 해. ㅋㅋ

 

 

 

 2.jpg

2014년의 태국경제는 무척 안 좋았는대

 

2015년 전망은 4%로 좋게 나와서

 

정치-사회 불안을 해소할 수 있을까 모르겠어.

 

 

 

 boardfile.png

 

또 태국은 우리나라처럼 외환위기를 겪은 나라라

 

여기도 외환관리에 민감해서

 

 

외환보유고 대비 외채비율이 좋아서

 

외환위기 가능성은 없을 것 같아. ㅎㅎ

 

 

 

 3. 태국의 구조적 약점 요약

 

1) 해안 도시지역과 내륙 농업지역 간의 소득격차가 심해서 정치-사회적 불안이 고질적인 문제.

 

2) 제조업 비중이 높으나 외국기업들의 비중이 높아서 태국의 자생력이 부족함.

 

3) 태국 경제에서 일본 비중이 심하게 높은대, 일본에 문제가 생기면 태국에도 큰일 날듯? ㅎㅎ

 

 

 

 

3줄 요약

 

1. 태국은 동남아 GDP 2위의 국가로 원자재 수출이 아닌, 제조업이 중심이 되는 수출주도형 국가임.

 

2. 세계경제 불황으로 태국경제가 안 좋고, 정치&사회적 갈등으로 2014년에 군부 쿠데타가 일어남.

 

3. 도농갈등이 심각해서 정치-사회적 불안이 크며, 외자기업 비중이 높아 자생력이 부족함.

 

 

 

 

http://www.ilbe.com/4061949641  (묻재업)일본 운지 가능성에 대해 araboja

 

http://www.ilbe.com/4065586303 아베노믹스에 관하여 araboja

 

http://www.ilbe.com/4081542235 (묻재업) 우리나라 경제의 문제점과 미래에 대해 araboja

 

http://www.ilbe.com/4087029015 중국 부동산 운지 가능성에 대해 araboja

 

http://www.ilbe.com/4114054257 한국 부동산의 미래에 대해 araboja

 

http://www.ilbe.com/4140267534 (묻재업) 세계경제 위기 가능성에 대해 araboja

 

http://www.ilbe.com/4151711269 (묻재업) 통일의 경제성에 대해 araboja

 

http://www.ilbe.com/4173005326 (경제) 유로존 문제에 대해 araboja

 

http://www.ilbe.com/4187842437 (묻재업) 디플레이션에 대해 araboja

 

http://www.ilbe.com/4198412139 (묻재업) 하이퍼 인플레이션에 대해 araboja

 

http://www.ilbe.com/4222789599 미중 경제전쟁을 araboja

 

http://www.ilbe.com/4279400243 (묻재업) 천조국의 경제 동향을 araboja

 

http://www.ilbe.com/4316149843 (묻재업) 미국 양적완화 종료를 araboja

 

 
 

http://www.ilbe.com/4564563490 (묻재업) 셰일가스와 세계경제 변화를 araboja

 
http://www.ilbe.com/4634850286 아르헨티나 디폴트를 araboja
 
 
 
http://www.ilbe.com/4754358858 우리나라 가계부채 문제를 araboja
 
 
http://www.ilbe.com/4948453305 우리나라가 스페인을 추월한 이유를 araboja

http://www.ilbe.com/4995348953 유라시아 경제권과 러시아 경제위기를 araboja

http://www.ilbe.com/5036537981 중국의 버블을 araboja
 

http://www.ilbe.com/5113881979 그리스의 유로존 탈퇴 가능성을 araboja

http://www.ilbe.com/5130053215 (묻재업) 유럽의 양적완화를 araboj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