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GM정보 : 브금저장소 - http://bgmstore.net/view/ueUbg

 

 

 


42342342342.png


다음에 일베갈 주제를 고민하던 중에  뉴스를 보니깐,


 


호옹이. 장관님이 디플레 초입이라고 말씀하시니 글을 안 쓸 수가 없더라.


 


그래서 오늘 주제는 디플레이션이야.


 


 


목차는


 


1. 디플레이션이란 무엇인가?


 


2. 디플레이션 사례 : 일본


 


3. 디플레이션이 왜 무서운가?


 


4. 한국의 디플레이션 가능성은?


 


이렇게 쓸게 


 

 


 


1. 디플레이션이란 무엇인가?


 


53453453453.png


 


더 간단히 말하자면,


 


신용경색으로 통화량이 줄어들어  물가가 하락하고 경제가 침체한다. 라고 생각해.

 

 

sh06010302.gif

 

디플레이션(물가하락)은 인플레이션(물가상승)의 반대라서 상황도 반대로 발생해.

 

 

4534534.png

 

이렇게 말이지. 디플레이션 상황에 도달하면  값이 더 싸질 것을 기대해서 물건을 안 사게 되고

 

부동산, 주식, 상품가격 모두 점점 떨어지는 현상을 보게 될 것이야.

 

 

ugcCA8NOC6H.jpg

 

디플레이션 국면에 접어들면, 거품이 사라져서

 

주택 실수요자가 주택 사기에 유리해지고, 저렴한 상품들이 넘치는 장점도 발생해.

 

 

 

 

9b28b63cb1fdf592e3c0d36c93ac4246.jpg

 

 

하지만, 디플레이션은 버냉키 전 연준의장이 가장 두려워 한것으로

 

디플레 악순환이  반복해서 점점 늪으로 빠지는 것이야.

 

 

주식, 주택, 물가가 하락을 하다보니

 

투자가 종범되고, 상품재고가 넘쳐고, 실업이 늘어나 전체적으로 운지하는거야.

 


 


물건값이 싸지는데, 왜 소비위축이냐고?

 

더 떨어질 것을 기대하는 심리와 해고당해서 또는 부동산&주식 등의 자산이 폭락해서 그런거지.

 


 


 


 1. 디플레이션이란 무엇인가? 의 요약

 

1) 물가하락을 의미하며, 경기침체와 신용경색을 동반함.

 

2) 인플레와 반대되는 현상이 발생해서, 주식, 부동산, 물가가 하락함.

 

3) 디플레이션 악순환은 매우 무서운 늪.

 

 

 

2. 디플레이션 사례 : 일본

 

213123123.png

 

일본이 대표적인 디플레이션 사례로 잃어버린 20년으로 표현하지.

 

좌표 0 이하의 짝대기들이 디플레이션야.  짝대기 참 많지.

 

 

3423423423.png

경제가 성장하면 주식도 오르는 법인데,

 

 90년에 고점 찍은후 20년간 운지행 열차탔다가 아베가 올리려고 노력 중.

 

 

423423423.png

 

부동산도 역시 운지.

 

 

___copy2.gif

 

 물가하락과 반대로 움직이는 실업률. 빨간색이 실업률.

 

 

 

 

b286f41c33df14fc21f50a86052ac066.jpg


 

 

경제성장률도 운지.

 

 

주식, 부동산, 물가 모두 하락하고, 경제성장률도 정체.

 

경제성장률 하락을 쉽게 설명하자면, 디플레는 저혈압&동맥경화라 몸이 무기력해지는거야.

 

 

 

2. 디플레이션 사례 : 일본

 

1) 자산의 붕괴과정이 발생.

 

2) 실업자도 늘어남.

 

3) 경제성장률도 운지행.

 

 

 

3. 디플레이션이 왜 무서운가?

 

 

디플레이션이 발생하면 화폐발행량을 늘려서 해결하면 않되나? 싶은데,

 

생각보다 쉽지가 않아. 


 __copy1.gif

 

짤을 보면 Monetary base(본원통화)는 오르락 내리락 하는데

 

광의통화 M2 증가율은 요지부동이지. 통화량 증가가 어려워.

 

 

untitled.png

광의통화 M2는 신용창조를 통해 보통 10배로 불어나야 하는데,

 

경지침체로 사람들이 대출을 안 받는거야.

 

 

2010-04-17_pm_02-18-32_kdjnjh.jpg

 

버냉키 전 연준의장이 본원통화량을 역운지시켰는데,

 

2010-04-17_pm_02-18-26_kdjnjh.jpg

 

m2는 그당시에 별 반응을 안했어. 

 

글로벌 경제위기 탓에 대출받기를 꺼리는 것이지. 돈은 은행 준비금으로 가거나 해외로 많이 갔어.

 

 

이것이 바로 유동성 함정이고 폴 크루그먼이 말한 제로금리제약이야.

 

53453453.png

 

일본의 은행대출 추이가 바로 증명하지.

 

 

 


 1111.jpg

 

또 대출을 안 받는 이유가 있는데,  10년 전 천원과 지금의 천원이 가치가 다르듯이

 

인플레이션 상에선 물가상승률 만큼 부채가 조금씩 깍여나가는데,

 

디플레이션 상에선 부채의 실물가치가 증가해. 빚이 더 늘어나는 효과가 발생하지.

 

 

대출이자부담도 커지는데, 

 

명목금리 4%  - 물가상승 3% = 실질금리 1% 이것에서

 

명목금리 4% - 물가하락  3% = 실질금리 7%가 되는거야.

 

 

 

20090811001483_0.jpg

 

 

통화정책이 신용경색에 의한 유동성함정으로 안통하면

 

재정정책이 있는데, 일본의 과거사례에는 잘 안 통함.  

 

 

 

3. 디플레이션이 왜 무서운가?

 

1) 디플레이션은  통화정책도 잘 무시하고 재정정책도 잘 무시함.

 

2) 국민 모두가 경기회복하겠다는 전망이 없는한 이기기 힘듬.

 

 

 

4. 한국의 디플레이션 가능성은?

 

201407230230_11150922742885_1_99_20140723023102.jpg

 

경제성장률과 소비자물가 상승률이 낮아지고 있어서

 

일본따라가는 조짐이 있어.

 

 

500aab213a48fe35476bde57f0e50810.jpg

 

그래서 많이들 우려하고 있지.

 

 

43534534.png

 

경제에서 심리가 중요한데, 우리나라 전망이 안 좋은게 현실이야.

 

 

 

00020801_P.jpg

 

또 주식시장 거래량이 과거에 비해서 줄어든 것도 조짐이라고 볼 수 있어.

 

 

2014081401001391200071981.jpg

 

주식시장에서 돈이 자꾸 줄어서

 

박근혜 정부가 일일 변동폭을 15%에서 30%로 하겠다고 하고

 

300인 이상 사업장은 연금펀드 만들어라 하고 있지.

 

 

우려는 하긴 하지만 아직은 괜찮다고 생각했는데,

 

최경환 장관님이 그런 말을 했으니깐 걱정되는 상황이야.

 

제발 세월호 국면 타계용 발언이길 희망한다.

 

 

 

3줄 요약

 

1) 디플레이션은 경기침체의 악순환이 매우 무서움.

 

2) 디플레이션에 접어들면 재정, 통화정책도 생각보다 잘 안 먹힘.

 

3) 우리나라 일본 따라갈까 무섭다. ㄷㄷㄷ