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GM정보 : 브금저장소 - http://bgmstore.net/view/Tk0I6

 

2323423423.png

 

http://www.ilbe.com/5025554143 21세기 노스트라다무스 '중국은 곧 붕괴'

 

어재 일베간 글을 보고 일베갈 좋은 주제라 생각해서 글을 쓸 생각이야.

 

이미 중국에 관련된 일베글을 4개나 썼지만, 우리나라랑 밀접한 나라라 자주 쓰는 것이 좋다고 생각해.

 

이점에 대해서 양해를 바라고 ㅁㅈㅎ를 달게 받겠음.

 

 

 

목차는

 

1. 중국의 부채팽창

 

2. 중국 부동산 버블의 심각성

 

3. 중국의 부동산 침체

 

로 쓸 생각이야.

 

 

 

1. 중국의 부채팽창

 

20110215112002_sue6870_1.jpg

 

중국은 어마어마한 경제성장으로 2010년에 일본을 추월했어.

 

2008년 미국발 경제위기로 세계가 어려운 상황에서 놀라운 성장을 보여주었지.

 

 

201211201103028834863A_3.jpg

 

하지만 이런 성장은 2008~9년의 급격한 부채증가가 한 몫함.

 

2008년 경제위기로 중국의 수출이 줄어들자, 국내 개발로 눈을 돌려서 그래.

 

ytk5731200908161218520_jeffjoun.jpg

국내개발의 원천은 은행의 대출과 그림자 금융으로 규모가 엄청나게 커.

 

단위가 10억 위안이면 1000은 1조 위안이지.

 

1조 위안이 한화로 175조원 정도 하니깐, 이 지표는 어마어마한 금액이야.

 

 

 

08157bb2559c3ae17751d6bebe0fdb0f.jpg

 

그런 어마어마한 대출 증가의 결과로

 

GDP 대비 투자 비율이 5% 늘어나는 효과를 보여주었지.

 

 

htm_201211051475940104011.gif

 

중국은 투자가 소비를 넘어서는 투자 의존도가 높은 경제가 되었어.

 

중국 국내에 개발할 곳이 많으니 딱히 나쁘다는 것은 아니야.

 

다만 비율이 조금 과하다고 생각함.

 

 

image_readtop_2014_562892_13971411761294079_jpg_pagespeed_ce_opIG_vBd1r.jpg

 

기업의 부채비율이 신흥국치고 상당히 높아서

 

240E090E-AA49-4106-8053-E74097D8B2BE.jpg

 

일본이나 미국의 운지를 따라가는  것 아니냐는 소리가 있어.

 

 

그림1_~1.JPG

 

또 경제가 필요로 하는 에너지의 증가량에 비해 부채의 증가량이 크다는 말이 있어.

 

전기로 경제를 평가하는 것은 신선한 시각으로 생각함. ㅎㅎ

 

 

 

1. 중국의 부채팽창 요약

 

1) 중국은 2008년 세계 경제위기에도 높은 성장률을 보여주고 일본을 추월함.

 

2) 이런 눈부신 성장 뒤에는 급격한 부채증가가 있음. 세계 경제위기를 국내개발로 돌파.

 

3) 부채비율, 투자비율이 크게 높아서 버블 우려가 있음.  

 

 

 

2. 중국 부동산 버블의 심각성

 

5345345342.png

 

중국 경제에서 부동산이 차지하는 비중은 계속 늘어났어.

 

주택만 보면 12% 정도이고

c.jpg

 

도로, 발전소, 항만 등의 인프라까지 포함하면 건설업이 GDP의 약 20% 수준이야.

 

조금 과한 느낌이지만, 중국이 개발할 곳이 많은 점도 생각해야지.

 

 

china-property-market.gif

 

그런 토건개발과 경제성장 덕분에 중국의 도시화율도 크게 증가했지.

 

여기까지는 좋다고 생각해.

 

 

302_511_2926.jpg

 

문제는 적정한 수준으로 유지되었으면 좋았을 것인데, 유감스럽게도 가격버블이 있어.

 

베이징의 집값이 7년 사이에 9배나 상승함 ㄷㄷ

 

(2014년과 연결되는 지표가 있으면 좋을텐데 아쉬움. )

 

 

 

5424234234.png

 

주요 도시의 평균소득 대비 주택가격을 보면

 

베이징이 pir 40으로  40년을 일해서 겨우 집을 마련할 수가 있어 ㄷㄷ

 

 

우리나라가 pir 10~13 정도에서 고생하고 있는 것에 비하면 엄청난 수치이지.

 

우리나라가 2~3배 상승으로 pir 10~13이니, 중국은 대도시만 보면 7~9배 상승으로 봐야할 것이야.

 

ChinaHousingInventory.jpg

 

높은 가격을 중국 서민들이 감당하지 못하자

 

주택 재고가 크게 증가함.  이것으로는 심각성을 체감하기 힘든데

 

 

53534534.png

 

이것을 보면 심각성을 크게 느낄 수 있어.

 

중국은 가격버블에다가 양적버블까지 있는 상황임. ㄷㄷ

 

준공되고 있는 것들을 상당히 많이 취소해야할 필요성이 큰 상황이야.

 

 

3392_380_619.jpg

 

공급과잉의 이유로는 중국 지방정부가 토지매각수입으로 큰 돈을 벌다보니

 

지방관료들이 너도나도 토지매각 사업을 벌여서 공급과잉이 생겼다고 생각해.

 

 

534534534.png

72% 지표는 너무 터무니없는 것 같고, 다른 통계를 보니 약 30% 정도야.

 

어쨌든 중국 정부는 토지매각으로 큰 돈을 벌고, 중국의 부패를 생각하면 엄청난 돈이 생기는 일이야.

 

 

 

df2fe07726ed58a973dc4bb5c9547790.png

 

한 사례로 중국인민군 중장이 토지매각금 약 3조 5400억원을 횡령할 정도임 ㄷㄷ

 

http://www.ajunews.com/view/20140115141740733 

 

 

가격버블이 발생하면  재고가 늘어나고, 보통 늘어난 재고가 공급증가를 억누르는데

 

중국은 특이하게도 가격버블이 심각한 상황에 공급도 매우 크게 증가함. ㄷㄷ

 

 

 

2. 중국 부동산 버블의 심각성 요약

 

1) GDP에서 건설 비중이 높으나 중국의 미개발을 생각하면 이해함.

 

2) 문제는 주택버블이 심각해서 대도시 기준으로 보면 터무니 없는 수치.

 

3) 또 가격버블에 양적버블까지 심각한 형태라 우려스러움.

 

 

 

3. 중국의 부동산 침체

 

 2014072901070232032003_b.jpg

 

중국의 전체 주태거래금액이 마이너스 성장을 하고 있어서

 

부동산 성장세가 꺾인 것 아니냐는 말이 나오고 있고

 

 

5423423423.png

 

부동산 가격도 올해들어 하락 중이고

 

거래량과 가격 하락에 의해 부동산 투자도 줄어들고 있어.

 

 

120141~1.JPG

 

중국의 조강생산력은  세계 절반으로 어마어마한 규모인데

 

 

China_iron_ore_inventories_vs_price.png

 

중국의 철강재고가 2014년 들어서 급증하고, 호주산 철광석 가격이 하락 중이라함.

 

중국의 부동산투자가 줄어들면서 생긴 현상이라 봄.

 

 

건설업에 철이 많이 들어가니 꽤 괜찮은 지표라고 생각함.

 

 

 

 Global-Production-of-Cement-in-2013.jpg

 

건설하면 철과 시멘트이니 시멘트도 봐야겠음.

 

전세계 시멘트 생산의 57%가 중국인데

 

 

519887-131955003401959-Yiannis-Mostrous_origin.png

 

짤에서는 시멘트 수요감소를 예측함.

 

E는 예상지표라 좋은 짤이 아니지만, 시멘트는 짤을 못 찾겠음 ㅠ.ㅠ

 

걍 시멘트 수요가 엄청났다 정도로 이해하면 될듯 ㅠ.ㅠ

 

534535353.png

 

중국 주택시장의 현 상황이 주택가격 하락과 수요 둔화 상황으로 생각됨.

 

급락하냐? 안하냐?가 관건임.

 

 

 

 95775be48587056adeff2ac6e768d8aa.png

다만 중국의 부동산가격이 하락할때 마다

 

중국정부가 강력한 부양책으로 2번이나 시장을 유지시켜서 운지할지는 잘 모르겠음.

 

중국정부가 워낙 강하다보니 ㄷㄷ

 

 

 

3. 중국의 부동산 침체 요약

 

1) 2014년 들어 부동산 거래금액, 가격, 투자 모두 하락함.

 

2) 부동산 침체 여파로 철강 재고가 급증함. 시멘트는 짤 부족 ㅠ.ㅠ

 

3) 부동산 운지를 중국 정부가 막을 수 있어서 확신은 못함.

 

 

 

3줄 요약

 

1. 중국은 2008년 미국발 경제위기 극복을 위해 대규모 경기부양을 함.  그 결과 빠른 속도로 일본을 추월함.

 

2. 하지만 급격히 증가한 부채 와 부동산 버블 등의 문제가 있음.  가격버블과 양적버블이 둘다 크게 발생함.

 

3. 올해 들어 부동산 운지조짐을 보이고 있으며, 중국정부가 어떻게 대응하냐가 관건.

 

 

http://www.ilbe.com/4061949641  (묻재업)일본 운지 가능성에 대해 araboja

 

http://www.ilbe.com/4065586303 아베노믹스에 관하여 araboja

 

http://www.ilbe.com/4081542235 (묻재업) 우리나라 경제의 문제점과 미래에 대해 araboja

 

http://www.ilbe.com/4087029015 중국 부동산 운지 가능성에 대해 araboja

 

http://www.ilbe.com/4114054257 한국 부동산의 미래에 대해 araboja

 

http://www.ilbe.com/4140267534 (묻재업) 세계경제 위기 가능성에 대해 araboja

 

http://www.ilbe.com/4151711269 (묻재업) 통일의 경제성에 대해 araboja

 

http://www.ilbe.com/4173005326 (경제) 유로존 문제에 대해 araboja

 

http://www.ilbe.com/4187842437 (묻재업) 디플레이션에 대해 araboja

 

http://www.ilbe.com/4198412139 (묻재업) 하이퍼 인플레이션에 대해 araboja

 

http://www.ilbe.com/4222789599 미중 경제전쟁을 araboja

 

http://www.ilbe.com/4279400243 (묻재업) 천조국의 경제 동향을 araboja

 

http://www.ilbe.com/4316149843 (묻재업) 미국 양적완화 종료를 araboja

 

 
 

http://www.ilbe.com/4564563490 (묻재업) 셰일가스와 세계경제 변화를 araboj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