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GM정보 : 브금저장소 - http://bgmstore.net/view/o9A2T
어재 일베간 부동산 관련글을 보고 삘을 받아서 나도 쓸 생각이야.
내 스타일대로 쓸 것이니깐 좀 봐줘라 ㅎㅎ
최대한 절제해서 쓸 것이라, 판단은 각자 알아서 해주었으면 해.
목차는
1. 정부가 부동산을 신경쓰는 이유.
2. 오를 것인가?
3. 걱정거리는 무엇인가?
4. 부동산에 관한 내생각.
이렇게 쓸 생각이야.
1. 정부가 부동산을 신경쓰는 이유.
우리나라 부동산 시장의 현 상황은 노짱님께서 겁나게 올려주시고
이명박-박근혜 정부에서 정체된 상태야.
부동산 문제 때문에 내수경제에 문제가 많아.
하우스푸어들을 양산했고, 가계부채 문제도 있고 그래.
그래서 박근혜의 정부가 경기부양을 하려고 노력 중이야.
올해 50조 풀고, 금리도 인하했어. 특히 부동산을 살리려 하고 있어.
부동산을 살리려 하는 이유는
건설업은 우리나라에서 꽤 비중이 높을 뿐만 아니라,
전후방산업 연관효과가 높아서 수요효과가 좋아,
하지만 생산유발효과가 단기적인 소비성 투자라, 장기적인 성장동력은 되지 않는 단점이 있어.
(일본이 토건을 많이 했지만, 20년 운지한 이유)
그리고 집값이 오르면 집주인들은
소득증대 효과가 생기고 담보대출 여력이 증가해.
또 DTI 규제 완화를 하면 신규대출 여력 및 이자부담이 줄어들어.
단점은 집값이 오르면 세입자들의 전세, 월세 부담이 증가해서
가계소득 감소효과도 조금 있어.
1. 정부가 부동산을 신경쓰는 이유.
1) 부동산 위기->가계부채->금융위기->실물경제 악영향 으로 이어질 수 있음.
2) 건설업은 전후방산업 연관성이 높아 수요효과가 좋음.
3) 부동산 활성화하면 내수경제 활성화에 도움이 될 가능성이 높음.
2. 오를 것인가?
역사적 사례만 보아도 돈을 풀면 부동산 가격이 상승해.
초이노믹스의 효과를 부동산이 볼 수 있지.

가까운 사례로 중국 부동산이 높은데, 중국 정부가 2008년도에 돈을 더 풀어서
베이징 집값이 역운지해부렸어.
9배 상승여서 운지가 걱정되는 수준이지만, 돈을 풀면 상승은 불가능이 아니야.
또 금리랑 부동산은 연관성이 높아.
여기선 그래프를 예쁘게 하기 위해 수익률이지만, 금리와 채권수익률은 반비례라고 생각하면 이해하기 쉬워.
물론 2008년 금융위기처럼 금리와 부동산이 따로 노는 경우도 있다.

마지막으로 규제완화랑 주택가격은 비슷하게 간다.
정부가 하려고 하면 부동산 활성화를 할 수가 있어.
물론 단점도 커서 잘 고려해야할 일이야.
2. 오를 것인가? 의 요약
1) 통화정책을 하면 불가능은 결코 아니다. (아직 모름)
2) 금리 인하와 규제완화로 효과를 볼 수 있을듯 (이건 가능)
3) 정부 하기 나름이라고 생각.
3. 걱정거리는 무엇인가?
우리나라 경제상황, 대외 문제가능성 (양적 완화 축소의 영향, 중국발 부동산거품, 일본발 국채위기 가능성)도 있지만
가장 큰 것은 생산가능인구야. 수요와 공급 중에 수요 측면이지.
2030년까지 우리나라 인구가 증가할 예정이지만, 그건 노령인구로
국가경제의 부담이지, 좋은 요소는 아니야. 좋으면 고령화 문제라고 말하냐?
생산가능 인구와 부동산이 연관성이 높고, 수요와 공급 측면에서 타당한 이론이야.

또 신생아수가 이렇게 운지했는데, 앞으로 어찌할 것이냐는 심플한 질문이지.

자녀가 커가면서 집을 넓히려는 욕구가 큰 쌍봉세대가 2015~16년쯤 부터 내려갈 예정이니
최소한 중대형 수요에 악영향을 줄 것이라 생각해.

물론 반박 사례도 많아. 다만 이부분은 통화요인이 크다고 생각해.
돈 풀면 가격버블이 발생하니 충분히 가능한 일이야.
아베노믹스로 폭발적으로 돈 푸니깐
무덤 속에 들어가서 백골이 된 일본 부동산도 살리던데 뭐ㅋㅋ
두번째는 소득으로
미래를 책임질 30대 이하가 빌빌 기고 있어.
주택시장 수요에 가장 큰 영향을 끼치는게 소득인데,
소득 문제가 회의적이야.

또 하나는 주택 재고로 지방은 많이 줄었는데, 수도권은 여전하다.
3. 걱정거리는 무엇인가? 의 요약
1) 인구 구조상 수요가 계속 줄어들고 있음.
2) 가계소득이 가격버블을 받아줄 수 있냐.
3) 미분양 물량이 수도권은 많다.
4) 대외 영향도 무시하지 못한다. 양적완화 축소는 올 10월부터다.
4. 부동산에 관한 내생각.
1) 부동산에 숨통이 틔는 정도인지, 버블인지는 통화정책으로 결정.
2) 최소한 땔감을 많이 넣었으니 부동산 하락은 없을듯.
3) 부동산은 진퇴양난이라 뭐라 말하기 뭐하다.
3줄 요약
1. 부동산 문제로 내수경제가 나쁘다. 해결이 필요하다.
2. 통화정책과 규제완화로 부동산 활성화할지도 모른다.
3. 간잽이해서 미안하다. 스스로 판단하길 바란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