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GM정보 : 브금저장소 - http://bgmstore.net/view/FP3qP

  

 

342342342.png

안녕~ 일베글 쓰고 싶었는데, 껀수가 없어서 고민하다가

 

3일 전에 MBC 8시 뉴스에 나온 중국 증시에 관해 일베글을 쓰려고 해.

 

 

이번건  자료가 정말로 부족해서 목차까지 할 수가 없었어.

 

최근꺼고 관심도가 덜한거라 그러니 이해해주길 바람. ㅎㅎ

 

 

 

50584cb5cc600b45e907d3adf46320f2.jpg

중국 주가는  2008년도에 고점을 찍은 후

 

계속 운지해서 2000~2400선에서 놀았어.  

 

 

 

2014120815010016059_1.jpg

 

그런데 최근 11월 부터 갑자기 역운지해서 8일날 주가가 3000을 찍었음.

%BD%C32.png

 

중국의 산업생산과 소매판매 등 경제지표가 하락 추세인 상태에서

 

갑자기 급등을 해서 이상한 일이야.

 

 

 

2342342342.png

 

그 이유는 중국의 최근에 한 금리 인하랑

 

 

 

423423423.png

 

중국이 7월부터 미니부양책을 시행해서 그래.

 

주가에 미친 영향은 금리 인하보다 미니부양책이 더 크다고 생각해.

 

 

 

5534534534.png

 

4개월 동안에 대략 2조위안이니 300조원이 넘는 돈을 푼 셈이야.

 

미니부양책치고는 쎈 편이지 ㄷㄷ

 

 

 

20140917000141_0.jpg

 

미국, 일본 등이 하는  양적완화 같이 심플하지 않고

 

복잡한 용어지만 그냥 돈 존나 푸는 것으로 이해하면 될거야.

 

 

 

96493b5fd7a884bef3859bfb007f26b1.jpg

 

미국 연준의 양적완화랑 S&P 500 지수랑 거의 비슷하게 올라간 것을 보면

 

최근 중국의 주가급등이 이해가 됨.

 

 

 

dae75b62d3a8f006f6d9876ee65bee2c.jpg

 

이처럼 큰 규모의 미니부양책을 한 이유로는

 

올해부터 본격적으로 부동산이 운지 조짐을 보여서  유동성으로 땜질을 하려는거지.

 

 

다만 그 유동성이  운지 조짐을 보이는 부동산보다

 

주식시장에 몰린 것으로 생각해 ㅋㅋ

 

 

534534534.png

 

또 부동산 불황 탓인지, 전력소비량이 놀랍게도 8월 달에 마이너스 성장을 했어.

 

 전력소비량은 조작 가능성이 낮은 확실한 지표여서, 중국정부도 충격이 컸을꺼야.

 

 

 

20140811000067_0.jpg

 

또 중국의 생산자물가지수가 33개월 연속 마이너스인 점도

 

경기부양책을 크게 할 이유인거지.

 

 

다만 생산자물가지수 하락이 원자재값 하락 탓일 수도 있어.

 

보통은 뭐. 생산활동의 수요감소로 보지만 말이야.

 

 

sed012014120920570584_99_20141209205803.jpg

 

그리고 중국 정부가 짭퉁 양적완화를

 

내년에도 이어서 한다면 MBC 뉴스 말대로 주가가 더 오를 가능성이 있어.

 

 

하지만 12월 9일날 찌라시 한방에 주가가 5% 이상 급락하는 모습을 보여서

 

실적장이 아닌 전형적인 유동성장의 모습을 보여주고 있어.

 

 

 

f0089737_4f422a6f991ca.jpg

 

또 중국이 부동산 버블 때문에 올린 지급준비율을

 

경기부양을 이유로 인하할 것이란 말이 있어.

 

 

 

10150203i2.jpg

지급준비율은 은행이  대출액(예금액)에 비례해서

 

준비해야 하는 비상금(현금)의 비율이야.

 

 

지급준비율을 인하하면 은행은 대출을 더 늘릴 수가 있어.

 

 

 

imgview.jpg

 

지급준비율을 인하하면, 위 짤방의 과정이 반대로 발생해서

 

 

중국은행의 대출여력이 늘어나고

 

가뜩이나 높은 중국 부동산시장에 버블을 더 키울 가능성이 있어.

 

 

 

5345345.png

하지만, 중국정부가 부동산 운지를 막는게 더 중요하다고 생각하면

 

그럴 수도 있다고 생각해.

 

 

버블&부채 증가를 선택하느냐? 아니며부동산 운지를 선택하느냐? 인데

 

운지를 막는 쪽을 선택하는 것 같아.

 

  

3줄 요약

 

1. 최근 중국의 주가 급등은 300조원이 넘는 미니부양책 덕분.

 

2. 부동산 운지 조짐을 보이고, 경제지표가 안 좋은 모습을 보이고 있어 부양책 시행 중.

 

3. 다만 이런 부양책이 버블과 부채를 더 키울 우려가 있어서  중국정부의 대응이 궁금함.

 

 

http://www.ilbe.com/4061949641  (묻재업)일본 운지 가능성에 대해 araboja

 

http://www.ilbe.com/4065586303 아베노믹스에 관하여 araboja

 

http://www.ilbe.com/4081542235 (묻재업) 우리나라 경제의 문제점과 미래에 대해 araboja

 

http://www.ilbe.com/4087029015 중국 부동산 운지 가능성에 대해 araboja

 

http://www.ilbe.com/4114054257 한국 부동산의 미래에 대해 araboja

 

http://www.ilbe.com/4140267534 (묻재업) 세계경제 위기 가능성에 대해 araboja

 

http://www.ilbe.com/4151711269 (묻재업) 통일의 경제성에 대해 araboja

 

http://www.ilbe.com/4173005326 (경제) 유로존 문제에 대해 araboja

 

http://www.ilbe.com/4187842437 (묻재업) 디플레이션에 대해 araboja

 

http://www.ilbe.com/4198412139 (묻재업) 하이퍼 인플레이션에 대해 araboja

 

http://www.ilbe.com/4222789599 미중 경제전쟁을 araboja

 

http://www.ilbe.com/4279400243 (묻재업) 천조국의 경제 동향을 araboja

 

http://www.ilbe.com/4316149843 (묻재업) 미국 양적완화 종료를 araboja

 
 

http://www.ilbe.com/4564563490 (묻재업) 셰일가스와 세계경제 변화를 araboj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