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GM정보 : 브금저장소 - http://bgmstore.net/view/iNRuC
안녕. 오늘은 무슨 주제로 경제글을 올릴까? 고민을 하다가
생각해보니 한국, 중국, 일본, 유럽은 써놓고 미국은 안했으니
이번엔 미국을 주제로 쓰려고 해.
천조국 전체는 당연 무리고, 내가 중요시 여기는 지표들로 간단히 쓸 생각이야.
목차는
1. 실업률지표
2. 소비지표
3. 주택지표
4. 통화량과 주식시장
5. 인구구조와 베이비부머 은퇴
6. 세일가스와 석유생산
이렇게 쓸 생각이야.
1. 실업률지표
미국의 실업률은 경제성장에 힘입어 계속 하락중이야.
실업률은 미국 연준이 물가 다음으로 중요시 여기는 지표지.

하지만 피셔 연준 부의장이 고용지표를 매우 유심히 본다고 말할 정도로
조금 이상한점이 있어.
고용률과 실업률은 통계측정방식이 다르지만, 고용률 지표가 썩 좋지가 못해. (검은 선이 고용률)
그리고 2008년을 기점으로 역운지한 비정규직 지표가
조금 줄어드는 모습을 보이지만, 아직 높다고 함.
또 경제활동참가율(파랑색)이 계속 하락추세야.
경제회복 중인데, 경제활동참가율이 줄어드는 점은 이상한 점이지.
1. 실업률지표 요약
1) 실업률은 계속 감소 중. 긍정적인 상황.
2) 고용률과 실업률은 통계측정방식이 다른지표이나, 고용률이 영 좋지가 못함.
3) 비정규직 비율이 상승했고, 경제활동참가율이 낮아짐.
2. 소비지표
소비자물가지수(검은색)는 2%대로 디플 우려를 지울 정도로 양호하고
소매판매액&증가율 이정도면 정말로 좋고.
소비자심리지수도 회복중인데 (이건 회복세가 느려서 조금 걸림.)
소비지출 증가세(파랑색)는 계속 줄고 있음.
소매판매는 양호한데, 소비지출 증가세는 계속 줄고 있는 점이 이상함.
최근 기사에서는 소비지출이 0.1%으로 매우 작지만, 마이너스를 찍었다는 것도 참 이상한 일임.
미국경제에서 소비는 정말로 중요한데, 증가세가 이렇게 정체된 것은 안 좋은 점이라 생각함.
2. 소비지표 요약
1. 소비자물가지수 원만하고, 소매판매 잘되고 소비자심리지수도 회복중.
2. 하지만 소비지출 증가세는 줄어들고, 올 7월에는 마이너스를 찍음. 이상함.
3. 주택지표
주택판매와 주택가격 모두 회복 중이라 미국가계에 긍정적인 모습임.
하지만 주택건설이 조금씩 회복 중이나, 2000년대 초 만큼은 안되고 있어.
건설도 꽤 중요한 지표인데, 주택건설이 지지부진하다고 생각함.
뭐 기존주택 물량이 많아서 신규주택이 부진하다는 것으로 해석하면 되지만,
신규주택 회복세가 많이 느리다고 생각함. 2000년대 대비 반토막.
3. 주택지표 요약
1) 주택가격과 거래량은 회복 중.
2) 신규주택 건설과 신규주택 거래량이 안 좋은 점은 아쉬움.
4. 통화량과 주식시장

연준이 국채매입으로 양적완화를 했는데,
3조 달러 (3천조원) 넘는 돈을 풀었음.
(최신 기사도 정확한 규모가 다 다름 ㅋㅋ 동아일보는 3조 6천, 조선은 3조 4천, 머니투데이는 3조 8천 막 이럼ㅋㅋ )
그런데 달러유통속도가 계속 낮아지고 있어서 조금 걱정됨.
유통속도가 경제의 활력이라 생각해도 되는디, 자꾸 낮아짐.

연준의 자산매입(양적완화)와 주가는 비슷하게 갔는데,
양적완화가 종료되면 어떻게 될까? 하는 우려가 있음.

실제로 미국의 산업생산지수랑 주가랑 차이가 있어서

주가하락에 대한 경고가 조금씩 나오고 있긴 함.
뭐 연준도 모를 일은 없을 것이니, 알아서 조절하겠지라고 생각함.
참고로 주가수익비율이 CAPE지수임.
4. 통화량과 주식시장 요약
1) 경제살리겠다고 양적완화 3천조원 넘게 풀었는데,
2) 통화유통속도가 갈수록 떨어지고
3) 양적완화 종료에 의한 주가하락 경고가 조금 나옴.
5. 인구구조와 베이비부머 은퇴

미국의 베이비부머 세대는 미국 전체인구의 30%로
엄청나게 많음. 하지만, 약 20년의 긴 기간에 걸처 탄생한 세대라 완만한 변화일 것이라고 생각함.
첫 베이비부머 세대가 은퇴한 해가 공교롭게도 2008년으로
매우 의미심장하다고 생각함.

주류경제학에서 디플레이션은 미래전망이 안 좋아 투자와 소비를 줄여서 생긴다고 하는데
인구구조론적 시각에서는 생산가능인구가 고령인구로 전환하면서
생산과 소비가 줄어들어서라고 함.

하지만 미국은 생산가능인구 전망이 매우 긍정적임.
한국, 독일, 일본이 똥줄타게 생겼음.

출산율도 미국은 매우 양호하고
미국은 내가 볼때 인구가지고 걱정할 것은 없을듯함 ㅋㅋ
5. 인구구조와 베이비부머 은퇴
1) 베이비부머 세대가 미국인구의 30%를 차지하는데, 2008년부터 은퇴 중임.
2) 인구구조론적 시각에서는 디플레이션은 고령화와 연관이 있음.
3) 하지만 미국의 출산률과 생산가능인구가 매우 긍정적.
6. 세일가스와 석유생산

미국의 희망이라 할 수 있는 세일가스를 빼먹을 수 가 없는데

생산량 엄청 늘려서 미래엔 사우디아메리카 소리 들을지 모름 ㄷㄷ

세일가스 덕분에 무역적자 개선하고 있어서, 미국경제에 긍정적임.
6. 세일가스와 석유생산 요약.
1) 세일가스 생산으로 미국경제에 아주 긍정적.
2) 사우디아라비아 추월할지도 모름 ㅋㅋ
3) 세계경제가 설령 안 좋아 진다해도 미국은 가장 먼저 탈출할 것이라 생각함.
3줄 요약
1. 좋은 경제지표들이 많으나 상반되는 지표들도 꽤 있음.
2. 양적완화 종료로 인한 영향이 우려됨. 주식 부분.
3. 베이비부머 은퇴가 있으나 출산율이 좋아서 미국의 인구전망은 낙관적.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