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GM정보 : 브금저장소 - http://bgmstore.net/view/zlycs

02.jpg


안녕. 어재 (묻재업) 디플레이션에 대해 araboja 에 대해 써서


 


오늘은 토요일이라 시간도 남으니깐 하이퍼 인플레이션에 대해 쓸 생각이야.


 


 


목차는


 


1. 하이퍼 인플레이션의 역사


 


2. 하이퍼 인플레이션의 원인과 발생방법


 


3. 하이퍼 인플레이션이 남기는 결과물


 


4. 하이퍼 인플레이션 징조


 


이렇게 쓸 생각이야.


 


 


1) 하이퍼 인플레이션의 역사


 


5_-_하~1.JPG


 


역사상 최초의 하이퍼 인플레이션은 그리스 아테네를 손꼽아.


 


스파르타와 전쟁을 치르는데, 돈이 없어지자


 


금화 순도를 줄이고 발행량을 2배로 늘렸다가 인플레이션으로 좆망했지.


 


스파르타는 페르시아의 재정지원 덕에 승리하게 되었다고 해.


 


 


 


534534534212.png  


 


그다음의 하이퍼 인플레이션 사례는 로마제국이야.


 


영토 확장+과도한 건축+방만한 사치+시민들에게 지급하는 빵값 등으로


 


제국의 금고가 바닥나자  순도를 줄인 은화를 마구 발행했고


 


 


사람들이 은화의 은 함량의 감소를 알게 되자, 인플레이션을 경험하게 되었어.


 


나중에 가서 로마 제국은 빈껍데기만 남고 게르만족 대이동으로 망하게 되었어.


 


 


 


423423423.png


 


그다음의 사례로는 프랑스가 미국독립전쟁에 엄청난 돈을 지원해주었다가


 


재정이 고갈되자, 화폐발행으로 재정을 충당하다


 


엄청난 물가 상승을 경험하고  분노한 시민들에 의한 대혁명으로 왕실이 망하게 되었어.


 


 


 


1[20130928111109]pia0212_edit.jpg


 


독일의 사례가 가장 유명한데,


 


1918년 금화 1마르크화랑 거래되던 화폐 1마르크화는


 


23년에 화폐 1조 마르크화와 금화 1마르크화의 교환비율이 되었어. ㄷㄷ


 


 


 


brazil.jpg


 


현대에서는 브라질과 아르헨티나가 빈번하게 하이퍼 인플레이션을 겪었고


 


 


 


DSC_5233.jpg


 


가장 극적인 것은 아프리카의 빈국 짐바브웨로


 


최고액이 100조 짐바브웨 달러로 알려졌어.


 


 


위의 나라들 말고도 꽤나 많은 나라들이 하이퍼 인플레이션을 겪었는데,


 


궁금하면 엔하위키같은 곳에서 찾아보면 될 것이야.


 


 


 


1. 하이퍼 인플레이션의 역사의 요약


 


1) 고대부터 현대까지 하이퍼 인플레이션은 생각보다 많이 발생함.


 


2) 가장 유명한 것은 독일이고, 가장 극단적인 것은 짐바브웨다.


 


 


 


2. 하이퍼 인플레이션의 원인과 발생방법


 


 


534534534.png


하이퍼 인플레이션의 원인은 정부부채야.


 


부채가 정부가 견딜 수 있는 한계치를 넘으면


 


정부는 화폐발행으로 연명하거나, 하이퍼 인플레이션으로 부채를 뭉개버려.


 


 


 


6_-_제~1.JPG


 


고대 로마제국이 재정파탄으로 인해 정부 유지가 불가능해지자


 


순도가 낮은 저질 금,은화를 대량으로 발행해서 정부를 유지했어.


 


이것은 쉽게 말하자면,  정부가 위조지폐범이 된 것이나 마찬가지야.


 


 


 


argentina_figure_1-1.jpg


 


아르헨티나가 2002년에 정부부채를 견디기 어려워지자


 


하이퍼 인플레이션으로  자국민에게 진 빚을 뭉개버렸어. (외채는 자국통화가 아니라 못 뭉개지만 ㅋㅋ)


 


 


Argentina_Money_Supply_1995to2009.gif


 


빚을 뭉개는 방법을 쉽게 설명하자면


 


아르헨티나 국민이 백만 페소화의 채권을 보유하고 있는데,


 


 


정부가 하이퍼 인플레이션으로 사탕 1개 값을 백만 패소로 만들어버리면


 


백만 페소화의 채권은 사탕 1개로 만들어지는 마법이 발생해.


 


 


 


 


HBR2_10.jpg


 


하이퍼 인플레이션의 발생방법은 매우 간단해.


 


통화량과 물가는 비슷하게 연동하기 때문에


 


무책임할 정도로 어마어마하게 화폐발행량을 늘리는 거야.


 


 


German1920sMonetaryBaseChart-420x269.png


 


그래프에서 독일의 물가와 본원통화량이 비슷하게 이동하는 것을 볼 수 있어.


 


 


독일이 왜 이런 짓을 했냐면, 1차세계대전 전쟁비용으로 전시국채를 엄청나게 발행했는데


 


패전으로 금화 1320억 마르크라는 엄청난 배상금까지 추가가 되었어.


 


 


 


a0006876_488ac0178ebd3.jpg


 


독일은 돈이 없었기 때문에 1920년에  금화 35억 마르크만 지불하고 12월 14일에 지불불능 선언을 해서 배째라고 했고.


 


프랑스는 독일의 산업단지인 루르 지방을 점령해서 산업단지에서 나오는 상품으로 대신하려고 했어.


 


 


독일은 산업단지를 빼앗겨 세수가 급감하고 빚에 쪼들리자, 결국


 


1차 대전 중 만든 전시국채를 증발시키고, 화폐발행으로 부족한 세수를 충당하려고  엄청나게 돈을 찍어 냈어.


 


 


참고로 전쟁배상금은 금화 또는 외화와 교환되는 비율로 지불해야 하는 단서 때문에


 


 하이퍼 인플레이션에 영향은 없어. 자국민에게 진 빚을 뭉개기 위함이지.


 


 


 


2. 하이퍼 인플레이션의 원인과 발생방법


 


1) 원인은 과도한 정부부채로 정부 유지가 어려워지면 발생함.


 


2) 부채를 하이퍼 인플레이션으로 뭉개고, 화폐발행으로 재정을 유지함.


 


3) 화폐 발행량을 미친듯이 늘리면 하이퍼 인플레이션이 발생함.


 


 


 


3. 하이퍼 인플레이션이 남기는 결과물


 


 


2010019369110625020008.jpg


 


하이퍼 인플레이션이 발생하면


 


화폐의 3가지 기능 - 교환수단, 저장수단, 가치척도 기능이 망가져버려.


 


 


예금과 국채는 증발해버려 그지가 되는 것이야.


 


실물자산, 외화, 금은으로 저장해야 하이퍼 인플레이션에 대응할 수 있어.


 


 


교환기능도 망가져서  경제가 엉망이 되어버려.


 


또 가치척도 기능도 망가지는데,  하루가 멀다 하고 뛰는 물가에 가치평가가 어려워서 그렇지.


 


 



 9_-_하~1.JPG


 


무엇보다 하이퍼 인플레이션에 대비를 못한 사람들은


 


자산 증발 탓에 빈곤해지고, 국가 경제는 후퇴하는 결과를 가져와


 


 


이때 외화, 실물, 금은으로 자산을 온전히 지킨 사람들은


 


더 부자가 되기 때문에 빈익빈 부익부도 더욱 심화돼.


 


 


 


4234234232.png


 


또 경제파탄은 사회를 극단적으로 만들 가능성이 높아져


 


정치에도 안 좋은 영향을 끼치지.


 


 


 


Russia_Inflation_Rate_Historical_1996_2012.png  


 


러시아도 구소련 붕괴할때 엄청난 인플레이션을 경험했는데,


 


이후 2000년에 강경파인 푸틴이 집권하게 되지.


 


 


 


3. 하이퍼 인플레이션이 남기는 결과물


 


1) 하이퍼 인플레이션은 국민을 희생시켜 정부부채를 청산하는 것으로 국민은 그지가 된다.


  


2) 자산을 지킨 사람들은 개꿀이라 더욱 부자가 됨.


 


3) 경제파탄으로 사회와 정치 혼란도 따라옴.


 


 


 


4. 하이퍼 인플레이션 징조


 


 


4_-_인~1.JPG


 


(짤은 양적완화가 이집트에 미친 영향)


 


bernholz 라는 경제학자가 말하는 하이퍼 인플레이션의 징조는


 


1. GNP의 80%를 초과하는 정부부채.


 


2. 재정적자가 정부예산의 40퍼 초과.


 


3. 중앙은행이 국가부채의 25% 보유.


 


4. 상당기간 물가상승률보다 낮은 이자율.


 


5. 국민들이 자국화폐로 저금하는 것을 손해로 인식.


 


6. 외환저축률이 높고,  실물대비 자국통화 저축률이 낮을 때.


 


7. 외국인 국채보유량 감소, 외국자본 이탈


 


8. 국채이자가 세수의 절반을 차지.


 


9. 정부가 중앙은행을 통제할 때.


 


10. 단기채권 비중 증가.


 


대략 요정도 있어.


 


 


 더 확실한 징조는


 


1. 중앙은행이 국민 모르게 돈을 찍거나


 


2. 암시장이 늘고, 가계의 진열대가 텅비거나


 


3. 은행이 돌발적으로 휴무를 하는 등이라 함. 


 


 


 


3줄 요약


 


1. 과도한 정부부채와 재정파탄에 의해 하이퍼 인플레이션이 발생.


 


2. 화폐발행량을 엄청나게 늘리면 발생하고, 부채가 다 뭉개지면 끝남.


 


3. 자국통화로 가치를 저장한 국민들은 거지가 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