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GM정보 : 브금저장소 - http://bgmstore.net/view/r4D4u

42342342.png


안녕~  요즘 러시아 경제위기가 떠들석해서 


 


관련된 글을 쓰고 싶은데, 러시아는 이미 일게이들이 많은 글을 올려서


 


 


201412180915_11150922885436_1.jpg


 

나는 러시아 위기에 덩달아 털리는 인도네시아, 터기 중에

 

인도네시아로 글을 쓰려고 해.


 


터키는 우리나라에선 듣보잡이라 자료가 없어서 못 쓰겠어 ㅋㅋㅋㅋ

 

 


 


L20141210_22003205758i1.jpg


 

그리고 동남아는 터키보다 우리나라와 관련도가 높고


 


인도네시아는 인구수나 GDP가 동남아 최대이니 딱 적당하다고 생각해.

 

 

 

목차는

 

1. 인도네시아 경제와 원자재 하락

 

2. 인도네시아 경제 위기 가능성

 

이렇게 구성할 생각이야.

 

 

짤 부족으로 목차를 많이 할 수가 없음. ㅋㅋ

 

 


 1. 인도네시아 경제와 원자재 하락


 


53453453435.png


 


동남아라 인지도가 부족한거 같아서 인도네시아 국가 개요도 퍼왔어.

 

인구수 ㅅㅌㅊ에 자원도 ㅅㅌㅊ라고 생각하면 될거 같아.


 


 


614px-Indonesia_Export_Treemap.jpg


 


인도네시아 수출 품목은 경제 트리맵을 보면 이렇다고함. (2012년 기준)


 


석탄, 석유류 수출이 눈에 띄지만, 러시아나 베네수엘라에 비하면 균형적인 모습이야.


 


석유 관련 산업,  제조업, 건설자재,  팜유 및 농업, 의류산업, 고무산업, 광산업 등으로 구성되어 있어.


 


 


423423422423.png


 


러시아에 비하면 균형적이다 해도, 신발을 제외하면 수출 상위권이 다 원자재임 ㅋㅋ


 


 


ad6dfafd980e5c6cdb557cc4e71bf681.jpg


 


그래서 요즘들어 이슈가 되는 원자재 가격 운지에 영향을 받고 있어.


 


 


coal.gif


 


인도네시아 수출 1위인 석탄 가격은


 


2011년 이후로 하락세이고 


 


 


PS14042600018.jpg


 


인도네시아 생산물로 유명한 고무 가격도 석탄가격과 비슷하게 운지 중이야.


 


2011년도부터 하락세라 김이 좀 빠지긴 하네 ㅋㅋ

 

 

8% 이상되는 팜유는 짤을 못 찾아서 패스~


 


234234234.png


인도네시아는 원자재 수출을 늘려왔는데,


 


가격이 최근들어 크게 운지했으니 타격이 있을꺼야.


 


 


AA_9179890_1.jpg


 


그런 이유로 인도네시아 경제성장률은


 


2011년도에 정점을 찍은 후 조금씩 내려가고 있어.


2ab808d4c088d9110bec60da49e0ba5f.png


석탄, 석유, 가스 류는 미국의 셰일가스 영향이 제일 크지만,


 


기타 원자재 가격도 같이 운지 중인 이유는  아마도 중국의 경제성장 둔화라고 생각해.


 


 


a6a4779402a42d4d6601227b17ff3222.jpg


 


중국의 주택시장이 침체 중이라  원자재가 대량으로 필요하지 않아.

 

 

1. 인도네시아 경제와 원자재 하락 요약.

 

1) 러시아, 베네수엘라에 비하면 균형적이나, 원자재 비중이 높음.

 

2) 미국 셰일가스와 중국의 경제부진으로 원자재 운지 중.

 

3) 인도네시아 경제성장률이 하락세이고 환율의 평가절하가 있음.


 


 

 

2. 인도네시아 경제 위기 가능성

 

53453453.png

2013년 기준으로 볼때 GDP 대비 수출은 약 20% 쯤으로 생각되고

 

 


5345345345345.png


 


순수출(경상수지 흑자&외부수요) 비중은 매우 낮은 나라여서 


 


내수로 원자재 하락 위기를 견딜 수도 있다고 생각해.


 


 


53453453453.png


 


다만, 외국인들이 인도네시아 경제성장에 호감을 가지고


 


많은 금액을 투자했음. 


 


 


54345345345.png


 

그래서 인도네시아는 무역수지보다 자본수지가 더 커서


 


유동성 변동에 취약하다고 할 수 있어.


 


 


2011120202370528.jpg


 


이런 경우에는 자본수지형 외환위기를 겪을 수도 있다고 생각해.


 


 


ea922841874288b3fa132262f348c4da.png


 


또 인도네시아는 외환보유고가  신흥국들 중에서 비교적 적은 편이고


 


단기외채 비중도 높은 편이야. (터키랑 남아공도 꽤 궁금한데, 자료가 별로 없음 ㅠ.ㅠ)


 


 


5345345.png


 


외환보유고가 왜 이러냐면,


 


2011년 이후로 경상수지가 계속 적자라 외환보유고가 줄 수 밖에 없어.

 

 

140209_15_2.jpg

하지만 2014년 2월 기준으로 볼때, 외환보유고가

 

1년치 필요액보다 약간 더 많아서 안 망할 수도 있다고 생각해.

 

(총대외자금조달필요액=단기외채+연간 경상적자)


 

 

141882249510_20141218.jpg

 

그리고 설령 망한다고 해도

 

우리나라의 인도네시아 투자금이 조금 많지만

 

 

201412040229_11150922868655_1.jpg

 

 

우리나라 외환보유고가 많아서 문제는 없다고 생각해 ㅎㅎ

 

근데 우리나라 외환보유고가 미세하게 줄어드네 ㅋㅋ (아주 미세해서 상관없음.)

 

 


htm_201401262347050105011.jpg


 

뭐, 신흥국들이 줄줄이 운지한다면  우리나라도 상당히 똥줄이 탈거 같아 ㅎㅎ

 

미국이 금리인상도 안 했는데, 신흥국 위기가능성이 뉴스에 나옴. ㄷㄷ

 

 

 

2. 인도네시아 경제 위기 가능성 요약.

 

1) 인도네시아는 경제에서 원자재 수출비중이 낮고, 내수비중이 높음.

 

2) 하지만, 외국인 투자로 인해 자본수지 비중이 높아 유동성 위기 가능성이 있음.

 

3) 인도네시아의 외환보유고가  비교적 작으나, 1년치 필요액수보다는 약간 큼.

 

 

 

3줄 요약

 

1. 러시아 경제위기에 덩덜아 인도네시아에 환율 평가절하가 있음.

 

2. 원자재 수출 비중이 높아서 원자재 가격 하락에 영향을 받음. 경제성장률 하락, 경상수지 적자.

 

3. 해외 자본이탈이 있으면 외환위기 가능성이 있음. 외환보유고도 작음. 하지만  외환보유고가 1년치 준비금보다 많음.

 

 

http://www.ilbe.com/4061949641  (묻재업)일본 운지 가능성에 대해 araboja

 

http://www.ilbe.com/4065586303 아베노믹스에 관하여 araboja

 

http://www.ilbe.com/4081542235 (묻재업) 우리나라 경제의 문제점과 미래에 대해 araboja

 

http://www.ilbe.com/4087029015 중국 부동산 운지 가능성에 대해 araboja

 

http://www.ilbe.com/4114054257 한국 부동산의 미래에 대해 araboja

 

http://www.ilbe.com/4140267534 (묻재업) 세계경제 위기 가능성에 대해 araboja

 

http://www.ilbe.com/4151711269 (묻재업) 통일의 경제성에 대해 araboja

 

http://www.ilbe.com/4173005326 (경제) 유로존 문제에 대해 araboja

 

http://www.ilbe.com/4187842437 (묻재업) 디플레이션에 대해 araboja

 

http://www.ilbe.com/4198412139 (묻재업) 하이퍼 인플레이션에 대해 araboja

 

http://www.ilbe.com/4222789599 미중 경제전쟁을 araboja

 

http://www.ilbe.com/4279400243 (묻재업) 천조국의 경제 동향을 araboja

 

http://www.ilbe.com/4316149843 (묻재업) 미국 양적완화 종료를 araboja

 
 

http://www.ilbe.com/4564563490 (묻재업) 셰일가스와 세계경제 변화를 araboj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