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GM정보 : 브금저장소 - http://bgmstore.net/view/x6nyv
오늘 뉴스에 유럽중앙은행이 1500조원 상당의 양적완화를 푼다고 해서
좋은 일베 주제라고 생각해서 글을 쓸 생각이야.
수 많은 일게이들이 양적완화로 일베글을 쓰고, 나도 관련된 내용의 일베글을 2번이나 썼지만
(http://www.ilbe.com/4316149843" target="_blank">http://www.ilbe.com/4316149843 (묻재업) 미국 양적완화 종료를 araboja, http://www.ilbe.com/5072760817" target="_blank">http://www.ilbe.com/5072760817" target="_blank">http://www.ilbe.com/5072760817" target="_blank">http://www.ilbe.com/5072760817 (묻재업) 미국의 경제회복을 araboja)
유럽의 양적완화가 엄청나게 큰 규모이고, 유럽도 우리나라에 중요한 곳이라
한번 더 쓸 생각이야. 이점에 대해 양해 바람 ㅎㅎ
목차는
1. 유럽이 양적완화를 하는 이유
2. 통화량과 신용창조
3. 부채와 디플레이션
4. 양적완화의 효과
이렇게 쓸 생각이야.
1. 유럽이 양적완화를 하는 이유
유로존 전체의 경제성장률을 보면 계속 바닥을 치는 것을 볼 수 있어.
과거 일본의 제로성장이 생각나는 모습이야.
전체실업률과 청년실업률도 심각하게 높은 상태이고 (피그스 ㄷㄷ)
소비자물가 상승률로 거의 제로에 근접해서
이런 추세라면 디플레이션(물가 하락)이 오겠다. 싶을 정도야.

유로존은 북유럽과 남유럽의 역내무역 불균형 문제랑
고복지&저성장으로 재정적자가 계속 늘어나는 문제가 있어.
경제의 성장속도보다 부채의 증가속도가 더 빨라서
지속가능한 성장이 힘들어지는 상황이야.
그래서 노벨상 경제학자들이 디플레이션 우려를 하고 있어서
유로존이 대책을 마련해야 하는 상황이지 ㄷㄷ
유럽은 경제성장을 위한 정부지출 대신에
재정적자를 줄여서 정부부채를 줄이는 방법을 택하고 있는 중이야.
긴축정책이 효과를 보일지는 나중에 봐야 알겠지 ㅎㅎ
그리고 유로존은 경제회복을 위해, 또 디플레이션을 막기 위해
1500조원의 어마어마한 양적완화를 할 생각이야.
한쪽에서는 부채를 줄이고, 한쪽에서는 돈을 뿌리는 재미있는 상황이지 ㅋㅋ
1. 유럽이 양적완화를 하는 이유 요약.
1) 유럽의 경제성장률은 제로수준, 실업률은 매우 높은 상황에 물가상승률로 제로에 근접해서 디플레 우려가 심화되었음.
2) 유로화로 인한 역내무역 불균형과 높은 정부부채 문제가 있음.
3) 유로존은 문제해결을 위해 긴축정책과 양적완화를 진행 중임. 올해 1500조원을 투입할 계획.
2. 통화량과 신용창조
양적완화를 왜 하는가? 효과는 어떤가? 등은 수 많은 일게이들이 써서
이번에는 조금 다른 방식으로 설명할 생각이야.
양적완화가 돈을 무지막지하게 푸는 것이라(미국이 4천조원, 사스가 천조국 ㄷㄷ)
많은 사람들이 높은 인플레이션(물가상승)을 우려했지만, 실제로는 적당한 인플레이션(물가상승)인 상황이야.
돈을 엄청나게 풀었는데, 물가상승률은 왜 높지 않는가? 를 알아볼 생각이야.
자본주의 경제는 신용창조라는 형태로 통화량이 유지하는데
간단히 설명하자면 지급준비율이 10%고 현금이 100만원이면
은행이 대출을 1000만원을 하는 시스템이이야.
그리고 지급준비율은 [금융기관의 예금총액에 대한 현금준비 비율] 인데
여기서 예금을 대출로 보면 간단해.
이유는 1억 대출을 받았다 치고, 그걸 인출해서 집에 보관하지 않고
은행통장에 두고 계좌상으로 거래하는 것이 보통이잖아 ㅎㅎ
그걸 은행이 지급준비금으로 10%만 남겨놓고 또 대출함 ㄷㄷ
지급준비율을 10%라고 했지만 그건 교과서이고
우리나라의 지급준비율의 평균 4% 대로 알고 있어 ㅎㅎ
본원통화가 74조원이고 광의통화 m2가 1660조원이야. (2010년 기준)
실제 현금이 대출을 통해 22배로 부풀려지는 것이지 ㄷㄷ

참고로 중국은 지급준비율이 매우 높은데
이는 대출을 억제해서 부동산버블을 누르기 위한 방법이야.
하지만 은행 대신에 그림자금융이 대출을 해주어서 중국정부의 방법은 실패라고 봐야지 ㅋㅋ
(지급준비율이 나라마다 다르다는 이야기지, 어디가 좋다 아니다의 이야기가 아님 ㅎㅎ)
어쨌든 본원통화량보다 훨씬 많은 대출로 통화량이 구성되는 것이 현실이야.
그래서 현대 경제를 [부채에 의한 성장]으로 보는 학자들이 있어.
뭐 [채무자의 부채는 채권자의 예금]이라 나는 그렇게 나쁘게 생각하지 않아.

오히려 우리나라 통화승수가 줄어드는 것이
디플레이션 징조가 아닐까 생각하고 있음. (물론 부채가 엄청 높은건 문제)
미국은 2008년 경제위기로 4천조원의 양적완화를 단행해서
본원통화량이 어마어마하게 증가했어. (역운지 보쇼 ㄷㄷ)
그럼에도 불구하고 경제위기 탓에 은행들이 대출을 꺼려서
광의통화 m2의 증가율은 지지부진했어.
중앙은행이 돈을 어마어마하게 푼다고 해도 은행의 신용창조가 막히면
통화량에 큰 변화가 없다는 이야기야.
2. 통화량과 신용창조 요약.
1) 신용창조(대출)을 통해 본원통화(현금)보다 훨씬 많은 통화량을 만들 수 있음.
2) 우리나라의 신용창조는 본원통화의 약 20배이며, 통화량의 대부분은 부채로 구성. (대략 95% 정도?)
3) 미국이 본원통화량을 어마어마하게 늘렸으나, 신용창조(대출)가 부진하여 광의통화 m2는 보통 상황.
3. 부채와 디플레이션
"잉? 양적완화가 효과가 별로 없는데, 왜 양적완화를 하냐?" 하면
그건 민간의 디레버리징(부채감축)을 상쇄시키기 위함이야.
짤을 보면 파랑은 전체, 보라는 금융, 빨강은 가계, 주황은 기업 부채인데
가계와 금융권의 디레버리징을 정부가 상쇄시켜서, 전체 부채가 줄지 않고 늘어나는 그레프야.
부채가 줄면 좋지 않냐? 싶은데, 대출을 통해 생산, 소비, 투자 자금으로 활용되어서
대출이 없이 금고 속에서 돈이 놀면 경제에 해롭다고 생각해.
일본의 잃어버린 20년을 보면 대출이 늘기는 커녕, 줄어드는 것을 알 수 있어.
디레버리징(부채감축)이 더 컸다는 것이야.
통화량과 디플레이션의 관계를 설명하자면
디플레이션은 보통 물가하락으로 이해되지만
네이버 사전에 따르면 [통화량의 축소에 의하여 물가가 하락하고 경제활동이 침체되는 현상] 으로
통화량 감소가 선행되어야 디플레이션이 발생해. (유가&원자재 하락 같은 좋은 디플레도 있음)

화폐공급량 x 화폐유통속도 = 총 통화량이고
물가수준 x 생산량 = GDP 로
생산량이 그대로인데, 총 통화량이 줄어들면
물가가 낮아지는 현상이 발생해.
물가가 하락하면 좋지 않나? 싶어도
옆나라 일본의 사례를 보면 아주 안 좋아서 (20년간 운지!)
미국과 유럽이 기를 쓰고 디플레이션을 막는 중이야.
민간이 부채를 줄이는 만큼, 본원통화를 공급해서 상쇄시키는 것이지.
은행의 신용창조면 적은 본원통화로도 충분한데 (20배 이상 부풀려서)
은행이 대출이 어렵다보니, 무지막지하게 돈을 푸는 것이야 ㅋㅋ
3. 부채와 디플레이션 요약
1) 미국은 민간의 디레버리징(부채감축)을 양적완화로 효과적으로 상쇄함.
2) 일본은 디레버리징으로 인해 디플레이션이 찾아오고, 디플레 악순환으로 20년간 운지함.
3) 디플레이션이 무서워서 디레버리징(부채감축)을 무지막지한 본원통화 공급으로 완화하는 중.
4. 양적완화의 효과
짤은 미국의 양적완화지만 유럽에도 비슷하게 적용할 수 있어.
유로화 평가절하로 유럽의 수출경쟁력이 증가하고
주가와 집값을 상승시켜서, 자산증가를 만들고 소비를 늘리는것이야.
미국에서 어느정도 효과 (http://www.ilbe.com/5072760817" target="_blank">http://www.ilbe.com/5072760817" target="_blank">http://www.ilbe.com/5072760817" target="_blank">http://www.ilbe.com/5072760817 (묻재업) 미국의 경제회복을 araboja)를 보여서
유럽도 미국처럼 가능하지 않을까 싶어.
그리고 유로화가 서로 다른 국력의 환율을 합친 후
평균을 내서 만든 화폐라
평균 이상의 국력을 가진독일은 평가절하이고
평균 이하의 국력을 가진 남유럽은 평가절상으로 문제가 많았어
유로화가 양적완화로 엄청나게 풀려서 환율이 떨어지면
남유럽은 평가절상에서 적정환율이 되거나, 평가절하가 될 것이야.
유로존의 역내무역 불균형을 해소할 것으로 기대되고 있어.
또 일본의 아베노믹스로 우리나라의 일본 여행이 늘듯이
관광업 비중이 높은 유럽에 외국관광객 증가로 이익이 될 것이야.
양적완화의 부작용으로 높은 인플레이션을 우려하지만
미국의 사례를 볼때 기우라고 생가해.
돈은 물과 같은 성질이 있음.
호황기(여름)에는 본원통화(얼음)이 쉽게 대출(물)이 되어서
소비,생산,투자 활동으로 부의 증가(수증기)가 되는데
불황기(겨울)에는 본원통화(얼음)이 신용경색(추워서)으로 대출(물)로 바뀌지가 않음 ㅋㅋ
물론, 호황기(여름)이 찾아오면 본원통화가 Hell이 될 수 있음 ㄷㄷ (하이퍼 인플레로 운지!)
4. 양적완화의 효과 요약.
1) 양적완화의 가장 큰 효과는 디플레이션 방지임. 최대 목적으로 생각함.
2) 평가절하로 유럽의 수출증대, 관광특수가 기대되고, 주택과 주가 상승에 의한 자산증대 효과도 가능함. 유로존 역내무역 불균형도 해소될듯.
3) 호황기가 오기전에 정리해야 하는 단점이 있으나, 유럽은 지금 그걸 걱정할 때가 아님.
3줄 요약
1) 유럽이 그리스발 경제위기로 매우 침체되었음. 실업률 매우 높고 성장률 제로에 디플레 우려까지 나옴.
2) 통화량의 대부분은 신용창조(부채)로 구성됨. 디레버리징(부채감축)은 디플레를 만들 수 있음.
3) 부채가 높은 것도 문제지만, 부채가 급속하게 줄어드는 것도 문제라 무지막지하게 돈을 뿌리는 양적완화를 시행함.
http://www.ilbe.com/4061949641 (묻재업)일본 운지 가능성에 대해 araboja
http://www.ilbe.com/4065586303 아베노믹스에 관하여 araboja
http://www.ilbe.com/4081542235 (묻재업) 우리나라 경제의 문제점과 미래에 대해 araboja
http://www.ilbe.com/4087029015 중국 부동산 운지 가능성에 대해 araboja
http://www.ilbe.com/4114054257 한국 부동산의 미래에 대해 araboja
http://www.ilbe.com/4140267534 (묻재업) 세계경제 위기 가능성에 대해 araboja
http://www.ilbe.com/4151711269 (묻재업) 통일의 경제성에 대해 araboja
http://www.ilbe.com/4173005326 (경제) 유로존 문제에 대해 araboja
http://www.ilbe.com/4187842437 (묻재업) 디플레이션에 대해 araboja
http://www.ilbe.com/4198412139 (묻재업) 하이퍼 인플레이션에 대해 araboja
http://www.ilbe.com/4222789599 미중 경제전쟁을 araboja
http://www.ilbe.com/4279400243 (묻재업) 천조국의 경제 동향을 araboja
http://www.ilbe.com/4316149843" target="_blank">http://www.ilbe.com/4316149843 (묻재업) 미국 양적완화 종료를 araboja
http://www.ilbe.com/4564563490 (묻재업) 셰일가스와 세계경제 변화를 araboja
http://www.ilbe.com/4995348953 유라시아 경제권과 러시아 경제위기를 araboja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