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GM정보 : 브금저장소 - http://bgmstore.net/view/mGY5e

 

42342342.png

 

2일 전에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이 흥미로운 소리를 해서

 

일베갈 주제라 생각해서 한번 자료를 조사해봤어.

 

뭐 위기에 자신이 있어서 이런 소리한거 같지만 ㅎㅎ

 

 

 

목차는

 

1. 중국 부동산 상황

 

2. 중국 무역 상황

 

3. 중국 소비 상황

 

이렇게 쓸 생각이야. 

 

 

1. 중국 부동산 상황

 

2014072901070232032003_b.jpg

중국 부동산 문제는 수차례 이야기가 나온 쉰 떡밥이지만

 

올해부터 본격적으로 진행되는 중인거 같아.

 

 

5434534.png

 

70개 주요도시들 중에서 68개 도시의 주택가격이 하락 중이라고 해.

 

 

 

3423423.png 

그리고 부동산 침체 때문에 중국 최대 부동산 업체가 

 

현기차, 삼성전자 운지하듯 순이익이 급감했어.

 

 

 

53453453.png

 

또 미분양 재고도 계속 쌓여가고 있다고 해.  

 

재고 물량이 이정도 쌓인 것을 보면 중국정부가 고생 좀 할 것 같아.

 

 

 

1f6c253540a332a697cd2f7f32d5f5e6.jpg

 

하지만 중국 은행의 부동산 대출 규모는 낮은 편으로 생각해.

 

2011년도 자료지만 12% 비중이니  아무리 늘어봤자 20%가 안될 것이야.

 

 

 

images1FAXOMHP.jpg

 

대신 중국 부동산은 그림자금융을 통해서 대출을 많이 받았다고 하는데.

 

 

 

2014040402010457793002.jpg

 

부동산 부실로 그림자금융이 타격을 받으면 어떤 결과가 나올지 궁금해.

 

그림자금융이 실물경제와 금융에 어떻게 영향을 줄지가 ㅎㅎ 

 

 

 버블 규모가 크긴 한데,  중국은 정부가 매우 강하니깐 모를 일이야.

 

 

1. 중국 부동산 상황의 요약

 

1) 중국 부동산은 올해부터 하락 중으로 보임.  가격은 하락하고 재고는 쌓임.

 

2) 중국 부동산은 그림자금융과 관련도가 높은데, 어떤 결과를 보여줄지가 궁금.

 

3) 하지만 중국 정부가 매우 강해서 우리나라처럼 부동산 시장을 조절할 수 있다고 봄.

 

 

 

 

2. 중국 무역 상황

 

4f6b5d911cff30cf63bf684ecde7eb64.jpg

 

중국하면 수출을 빼놓을 수가 없는데

 

세계경제 침체로  그동안 중국 경제에서 수출 기여도가  낮았다고 함.

 

 

 

 20120420000584_0.jpg

 

에너지 지표로도 부분적으로 설명이 가능한데

 

중국의 에너지 수요에서 석탄 비중이 겁나 높은데

 

 

4543534.png

 

석탄 재고가 그동안 겁나 쌓였다고 함 ㅋㅋ

 

 석탄 수입 증가율도 낮아짐.

 

 

 

HSBC%20china%20pmo_0901.png

 

그리고 중국 PMI 지수가 낮았음.

 

(PMI는 구매자관리지수라고 기업의 신규 주문·생산·출하·재고·고용 등을 합한 지수임.)

 

 

 

AA_9270150_1_99_20141111033148.jpg 

그래서 주식시장도 4년 연속으로 하락 중이고

 

중국정부가 해외에 자본시장을 개방해서 주가를 올려볼 생각이야.

 

 

 

54235423423.png

 

아 그리고 중국의 올 10월 무역수지 흑자가 50% 가까이 증가했다고 해.

 

1~10월 합치면 36% 증가.  다만 수출 증가에 비해 수입 증가는 저조해서 불황형 흑자일수도?

 

 

 

543453453.png

 

그 외에 재미난 점은 중국 외환보유고가 3분기에 1천억 달러 (100조원) 줄었다고 해.

 

 

 

20140609000246_0.jpg

 

100조원은 꽤 큰 돈이지만, 중국 외환보유고가 워낙 거대해서 큰 영향은  아니라고 생각해.

 

 

201410121_1097_A68a.jpg

 

그리고 중국 위완화가 달러로 바뀌는게 매우 크게 증가했어.

 

이게 해외로 도주하는 것인지, 해외에 투자하는 것인지 모르겠지만 말이야.

 

 

 

2. 중국 무역 상황

 

1) 세계경제 침체로 중국GDP에서 수출기여도가 운지함. 

 

2) 하지만 올해 들어서 중국의 무역흑자가 많이 증가.

 

2) 외국으로 빠지는 중국 돈과 외환보유고 감소가 있지만,  중국 외환보유고가 워낙 커서 문제가 없어 보임.

 

 

 

3. 중국 소비 상황

 

61560710_3-61560709_3.jpg

 

중국 경제성장 덕분에 중국 임금상승률이 그동안 괄목했음.

 

 

34534534.png

 

그래서 혹자들은  주택가격 상승보다 1인당 소득 증가 속도가 더 빨라서 부동산에 문제가 없다고 할 정도

 

다만 중국 전체부동산으로 따져서 10년 동안 3배지.  대도시는 7~9배 증가임 ㅋㅋ

 

 

 

20141030101126_531064_500_360.jpg

 

높은 성장률을 보인 중국의 소비가 시간이 갈수록 증가율이 하락 중임.

 

뭐 경제성장률이 하락하니깐 당연하다고 할 수 있음.

 

 

534534.png

 

아직 높지만 소매판매도 추세적으로 하락 중이고

 

 

342423.png 

중국 소비자물가지수는 과거에 비해서 정말 낮아졌음.

 

예전엔 6% 대에서 놀다가 1.6% 라 ㅋㅋ

 

 

 

AA_8062752_1.jpg

 

아 그리고 중국은 기형적으로 저축률이 높은데,

 

이것도 많이 이상한 수준이고 소비증가를 억누르는 요인으로 생각됨.

 

 

 

3. 중국 소비 상황의 요약

 

1) 그동안 중국 임금상승, 소비지출 증가율을 눈부실 정도로 높았음.

 

2) 경제성장률 하락과 더불어 점점 하락 추세임. 소비자물가지수가 안정세

 

3) 저축률 매우 높은데, 이상하고 소비에 안 좋은 영향으로 생각됨.

 

 

 

3줄 요약

 

1. 중국 부동산시장은 올해부터 하락세임. 하지만 중국정부가 강해서 폭락은 모르겠음.

 

2. 세계경제 부진으로 중국 수출이 약세였는데, 올해 무역흑자가 많이 증가함.

 

3. 경제성장률 낮이지면서 소비증가율, 소비자 물가 하락 중임.  물가가 상당히 안정적.

 

 

 

http://www.ilbe.com/4061949641  (묻재업)일본 운지 가능성에 대해 araboja

 

http://www.ilbe.com/4065586303 아베노믹스에 관하여 araboja

 

http://www.ilbe.com/4081542235 (묻재업) 우리나라 경제의 문제점과 미래에 대해 araboja

 

http://www.ilbe.com/4087029015 중국 부동산 운지 가능성에 대해 araboja

 

http://www.ilbe.com/4114054257 한국 부동산의 미래에 대해 araboja

 

http://www.ilbe.com/4140267534 (묻재업) 세계경제 위기 가능성에 대해 araboja

 

http://www.ilbe.com/4151711269 (묻재업) 통일의 경제성에 대해 araboja

 

http://www.ilbe.com/4173005326 (경제) 유로존 문제에 대해 araboja

 

http://www.ilbe.com/4187842437 (묻재업) 디플레이션에 대해 araboja

 

http://www.ilbe.com/4198412139 (묻재업) 하이퍼 인플레이션에 대해 araboja

 

http://www.ilbe.com/4222789599 미중 경제전쟁을 araboja

 

http://www.ilbe.com/4279400243 (묻재업) 천조국의 경제 동향을 araboja

 

http://www.ilbe.com/4316149843 (묻재업) 미국 양적완화 종료를 araboja

 
 

http://www.ilbe.com/4564563490 (묻재업) 셰일가스와 세계경제 변화를 araboj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