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GM정보 : 브금저장소 - http://bgmstore.net/view/NSFop
일베갈 주제를 고민하는 중에
오늘 한국은행에서 전문가 90명을 모아놓고 조사를 해보니깐
전문가들이 양적완화 종료의 영향을 가장 우려한다더군.
그래서 오늘 주제는 양적완화 종료에 관해서 쓸까 생각 중이야.
목차는
1. 양적완화란 무엇인가?
2. 양적완화의 효과
3. 양적완화 종료 과정
4. 양적완화 종료의 영향
이렇게 쓸 생각이야.
1. 양적완화란 무엇인가?
정부의 경제정책은 크게 통화정책과 재정정책으로 나뉘는데
통화정책은 화폐량과 금리를 통해 하는 경제정책이고
재정정책은 세금과 정부지출을 통해 하는 경제정책이야.

통화정책은 명목금리를 마이너스로 낮출 수 없는 한계가 있고
중앙은행이 본원통화량을 엄청나게 늘려도
경기침체와 신용경색으로 인해 은행대출이 이루어지지 않으면
신용창조가 발생하지 않는 유동성함정이 생겨.
본원통화량을 엄청 늘렸는데도, 광의통화 M2가 조금만 늘어난 것이 그 예이지.

재정정책도 힘든데, GDP대비 80% 수준(2011년 기준)이면
다른 선진국들에 비해 그럭저럭인 수준이지만

부시찡 때부터 정부부채가 갑자기 역운지해부렸고

보수적인 공화당이 재정적자에 대해 강하게 태클을 걸다보니
재정정책도 힘들어 ㅋㅋ

기존의 통화정책과 재정정책이 힘을 쓰기 어려울때 쓰는 것이 양적완화야.
중앙은행이 국채나 회사채을 직접 매입해서 시중에
직접적으로&무차별적으로 돈을 공급해서 시장의 신용경색을 해소하는 것이야.
중앙은행이 채권시장에서 돈을 주고 채권을 매입하고 채권시장은 채권을 팔고 돈을 받는 것이지
더 간단히 말하자면 유동성 저하 상태의 경제에 유동성을 주입하는 것이야.

총액수는 언론사 마다 다른데 (SBS 3조 8천억 달러, 동아일보 3조 6300억, 조선일보 3조4천억 막 이럼)
걍 3천조원 이상의 돈을 뿌렸다. 라고 생각하면 간단해.
1. 양적완화란 무엇인가? 의 요약
1) 통화정책, 재정정책을 쓰기 어려운 상황에서 하는 통화정책.
2) 유동성 저하 상태의 경제에 중앙은행이 유동성을 직접 주입.
3) 3천조원이 넘는 돈을 살포함.
2. 양적완화의 효과

경제위기시에는 신용경색으로 유동성(돈줄)이 줄어야 하는데,
엄청난 유동성 공급으로 유동성 부족 문제를 상당부분 완화시켰음.

또 유동성 공급에 힘입어 주식도 상승하고, 지표는 안 올렸지만 부동산도 가격회복함.

경제성장률이 이번 2분기에 4.2% 찍었고

실업률도 줄고 경제 회복 중임. (반대되는 지표도 좀 있으나 여기선 생략)

이런 결과를 낳은 이유는 짤방으로 대체함 ㅋㅋ

달러가치 하락도 매우 중요한 것인데,
연준이 달러를 무재한적으로 살포해서 달러가치가 평가절하되서
미국의 수출에 도움을 주고, 수입에 악영향을 주지.

그래서 양적완화를 화폐전쟁에 비유하는 사람들이 있어.
실제로 중국의 대미수출이 엄청나게 줄었거든.
2. 양적완화의 효과의 요약
1) 유동성 공급으로 은행, 기업들 운지하는 것을 완화해주고
2) 떨어진 주가와 주택가격을 올려주어서 소비지출 확대에 도움을 줌.
3) 미국 경제회복에 기여했다고 생각.
3. 양적완화 종료 과정

한국은행 자료에 따르면 방법이 이렇게 많다고 하는데

걍 금리인상하고 연준이 양적완화로 사들인 채권을 매각해서 해결할 거 같아.
연준이 양적완화로 매입한 채권을 채권시장에 팔아 돈을 받고 나가는거임. 유동성 회수.

그리고 갑자기 급격하게 채권매각을 하면 금융과 세계경제에 곡소리나니깐,
천천히 완만하게 진행해야 할 것이야.

넉넉잡고 한 5년 동안 천천히 긴축을 해야할 것 같아.

연준의 양적완화와 미국주가는 똑같다 할 정도로 같이 갔는데
갑작스럽게 변하면 주가가 폭락할 수 있어.

실제로 주가수익지수(cape지수)와 주가가 상당히 격차를 보여서
일부 비관론자들은 주가폭락을 경고하고 있어.
3. 양적완화 종료 과정
1) 갑작스럽게 출구전략을 시행하면 신흥시장에서 자금이 이탈해서 신흥국 경제위기가 올 수 있음.
2) 주가가 갑자기 폭락할 수도 있음.
3) 고로 양적완화 종료 과정은 점진적으로 천천히 진행해야함.
4. 양적완화 종료의 영향

현재 세계적으로 무역 상황이 좋지가 않아.
비관적인 경제학자는 조용한 대공황으로 칭하기도 할 정도야.
경제회복을 운운하기엔 아직 이르지 않나 싶을 정도지.

그리고 세계로 퍼진 투자자본이 미국 금리인상하면 미국으로 이동할 것이라고 전망하는데,
그러면 신흥국들에 위기가 올 지도 몰라.
우리나라는 양적완화 기간에만 약 120조 정도의 외국의 투자자본이 유입됨.

미국의 양적완화 종료가 신흥국에 미칠 영향은 이렇다고 해.
간단히는 미국 금리인상으로 자금이 빠져나가는 것이지.

위험군으로는 이렇다고 함. 우리나라는 비교적 건실해보여서 다행임.

보충 자료.

요것도 보충자료.

그리고 대부분의 경제학자들은 미국 경제를 우호적으로 보는데
일부는 양적완화는 진통제 투여로 미국경제에 큰 도움이 안 되었다고 주장하는 학자들도 있어.
미국의 화폐유통속도가 갈수록 떨어지는 것도 생각해봐야할 문제야.

또 일부에선 양적완화는 주식과 부동산 같은 금융에만 영향을 끼쳤고, 실물에는 큰 도움이 안되었다고 주장하기도 해.
뭐 양적완화가 점진적으로 종료하다보면 누구 말이 맞는지는 결과로 알게 되겟지.
4. 양적완화 종료의 영향의 요약
1) 신흥국에 몰려간 투자자금이 미국으로 이탈해서 신흥국 위기가 올 수 도 있음.
2) 양적완화 종료로 금융시장에 악영향을 줄 수도 있음.
3) 양적완화 처방이 줄어 들면 진짜 미국경제가 어떤지 알 수 있음.
3줄 요약
1) 양적완화는 통화정책과 재정정책이 어려울 때 쓰는 방법으로 중앙은행이 직접 유동성 공급
2) 점진적으로 서서히 3천조원 넘는 돈 회수할거임.
3) 종료 과정에서 투자자금이 미국으로 가서 주가하락이나 신흥국 위기 가능성이 있을 수도 있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