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GM정보 : 브금저장소 - http://bgmstore.net/view/hUuq0

201501060945022246179A_1.jpg

 

안녕~ 매번 글을 올릴때 마다 경제 운지같은 우울한 이야기만 했는데

 

오늘은 기분 좋은 이야기로 글을 쓸 생각이야.

 

 

중국의 부동산 문제, 유로존의 경기침체, 러시아 운지 등으로

 

불안한 이때에 양호한 성장을 이어가고 있는 미국이지.

 

 

20141225103617_6263.jpg

 

아직 4분기 지표가 안 나왔지만, 빌빌기는 유럽과 일본에 비하면

 

미국이 작년 2, 3분기에 아주 멋진 모습을 보여주었어.

 

 

미국의 경제회복을 운운하기엔 시기상조겠지만 (간잽이에 설레발쟁이~)

 

정초부터 우리나라에 뒤숭숭한 일들이 많아서, 이번엔 좋은 이야기를 쓰고 싶어.

 

 

3234234234.png

 

미국은 양적완화라는 경제부양책을 써서 경제회복에 노력 중이야.

 

과거에는 정부지출을 통한 소비확대였는데, 이번에는 강한 자산시장이란 특이한 형태임.

 

 (양적완화는 작년 10월에 끝났고 이제 유동성 회수를 간보고 있음.)

 

 

2012021951371_2012021945611.jpg

 

2008년 금융위기로 운지한 미국 주가는 2012년에 회복하고

 

 

sed012014123117293378.jpg

지금은 17000 포인트에서 놀고 있지 ㄷㄷ (오늘 기준으로 17,427)

 

 

134642236.jpg

일부에서는 미국의 주가가 너무 높다는 주장도 있지만 (닥터 둠 루비니, 로버트 쉴러 교수님 의견)

 

 

미국의 주가상승은 주식투자를 많이 하는 미국인들에게 이익과 자신감 상승이 되었다고 생각해.

 

이런 이익과 자신감 상승이 소비지출로 이어지면 미국 경제에 이득이야.

 

 

4223423.png

 

또 2008년 경제위기로 운지했던 부동산 가격은  꾸준한 상승으로 운지 전 수준을 넘은 것으로 보여. 

 

자산가격 상승으로 주택소유자들의 소비지출 여력이 증가하는 것이지. 

 

 

 

534534534.png

주택가격 회복에 힘입어 주택착공 건수가 꾸준히 증가하고

 

주택재고도 꾸준히 줄어들고 있는 추세야.

 

 

아직 2000년 초 수준을 회복한 것은 아니지만, 미국의 건설업도 회복세라고 생각해.

 

 

 

AA_8444569_1.jpg

이런 주택시장과 주식시장의  상승과 회복으로

 

미국 가계의 자산이 크게 증가해서

 

경제위기 전인 2007년 수준을 넘어섰어.

 

 

 3242342342.png

자산버블 우려가 있을 수 있지만, 2008년 경제위기의 여파로

 

미국 가계가 디레버리징(부채감축)을 해서

 

2008년에 비하면 미국 가계가 건실하다고함.

 

 

5645645645654.png

 

뭐 가계부채가 크게 줄어든 것은 아니지만

 

어쨌든 줄어들어서 2008년보단 양호하다고 봐야지.  (우리나라 보쇼 ㄷㄷ)

 

 

 

AA_9429800_1.jpg

강한 자산시장 형태의 특이한 경제부양책이 효과를 보여서

 

미국의 소비지출이 증가했다고 생각해. 

 

 

AA_9434488_1.jpg

 

여기에 미국이 세일가스 개발에 힘입어 원유생산량이 역운지했어.

 

(2012년부터 꾸준히 증가했는데, 작년 11월에 갑자기 유가가 운지한 이유가 뭘까?)

 

 

2014112900276_0.jpg

 

석유가격은 크게 운지해서 저유가, 저물가의 초석이 되었고

 

미국의 생산량은 러시아를 추월해서 세계 2위야. (천조국의 위엄 캬~)

 

 

 

8831ad273116e57360e76d23e24ea1b4.jpg

 

그리고 유가하락, 강달러, 중국경제의 부진 등의 이유로

 

원자재 가격들이 줄줄이 하락 중임 ㅋㅋㅋㅋ

 

 

340279_761465_948.jpg

 

유가&원자재 하락은 생산비, 총생산, 소비, 투자, 소득, 경상수지 상승 효과가 있고

 

소비자물가는 하락 효과가 있어서 아주 좋은 일이야.

 

 

정유업체는 유가하락으로 울상이겠지만

 

미국이나 한국이나 국가 전체로 보면 이득이지.

 

 

43243423.png

 

다만 유가하락을 언론에서 우려하는 이유가

 

원자재팔이 국가들이 줄줄이 운지해서 세계경제에 악영향을 줄까봐 그러는 거야.

 

 (러시아, 베네수엘라 등이 운지 예정에 있지 ㄷㄷ)

 

 

2415819fd3f644c4be4180662680e4f0.jpg

 

어쨌든 미국 가계의 자산상승, 셰일가스 여파 등으로

 

미국의 소비자신뢰지수가 회복되고 있고

 

 

article.jpg

 

실업률이 하락 중이고 고용도 꾸준히 늘어서

 

 

5345345345.png

 

2014년 4월에 2008년도 수준을 회복했다는 주장이 있어.

 

 

BN-DT475_realpa_G_20140718144638.jpg

 

다만 미국의 실질소득 증가는 지지부진한 상태여서 건실한 성장은 아닌 것 같아.

 

양적완화가 강한 자신시장 형태의 경제부양책이라 그런거라 생각해.

 

 

BN-DT474_CPI071_G_20140718144448.jpg

 

하지만 미국의 상품가격은 하락 추세이고

 

서비스가격은 상승 추세이니 실질임금이 늘어날 것이라고 기대하고 있어.

 

(미국이 서비스업 비중이 높은지라 ㅎㅎ)

 

 

AA_9434486_1.jpg 

양적완화 종료와 미국 경제성장으로 약달러에서 강달러(평가절상)로 전환되는데

 

그러면 미국의 상품수입이 다시 증가하지 않을까 기대함 ㅎㅎ

 

 

423542342.png

 

 

총액수가 아닌 부가가치로 따지면, 대미 수출이 우리나라에게 가장 크고

 

 

 

453453453.png

 

미국이 세계경제의 최종소비처란 점에서 미국의 경제회복은 반가운 일이야.

 

 

중국의 경기침체,  유로존 문제, 신흥국 위기가능성, 양적완화 종료 등의 변수가 있지만

 

미국경제는 꾸준히 회복할 것이고 계속 세계경제를 이끌 것이라고 생각해.

 

 

 

3줄 요약

 

1. 양적완화의 영향으로 강한 자산시장이 형성되어 미국의 가계자산이 증가함.

 

2. 셰일가스 여파로 저물가 추세 중, 소비자심리지수가 회복되고 소비지출이 상승.

 

3. 고용과 가계자산이 2008년 전 수준으로 회복함. 앞으로 미국의 회복을 기대함.

 

 

 

 

http://www.ilbe.com/4061949641  (묻재업)일본 운지 가능성에 대해 araboja

 

http://www.ilbe.com/4065586303 아베노믹스에 관하여 araboja

 

http://www.ilbe.com/4081542235 (묻재업) 우리나라 경제의 문제점과 미래에 대해 araboja

 

http://www.ilbe.com/4087029015 중국 부동산 운지 가능성에 대해 araboja

 

http://www.ilbe.com/4114054257 한국 부동산의 미래에 대해 araboja

 

http://www.ilbe.com/4140267534 (묻재업) 세계경제 위기 가능성에 대해 araboja

 

http://www.ilbe.com/4151711269 (묻재업) 통일의 경제성에 대해 araboja

 

http://www.ilbe.com/4173005326 (경제) 유로존 문제에 대해 araboja

 

http://www.ilbe.com/4187842437 (묻재업) 디플레이션에 대해 araboja

 

http://www.ilbe.com/4198412139 (묻재업) 하이퍼 인플레이션에 대해 araboja

 

http://www.ilbe.com/4222789599 미중 경제전쟁을 araboja

 

http://www.ilbe.com/4279400243 (묻재업) 천조국의 경제 동향을 araboja

 

http://www.ilbe.com/4316149843 (묻재업) 미국 양적완화 종료를 araboja

 

 
 

http://www.ilbe.com/4564563490 (묻재업) 셰일가스와 세계경제 변화를 araboj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