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GM정보 : 브금저장소 - http://bgmstore.net/view/PtQ2n

 

42423432423.png

 

안녕~ 브라질에 관련된 큰 이슈(운지!)가 없지만

 

일요일이고 하니 일베글을 쓰고 싶어서 찾아 왔어 ㅎㅎ

 

 

브라질은 남미의 왕초급 국가에 세계경제에 비중이 있는 나라라

 

좋은 일베 주제라고 생각해.

 

 

 

목차는

 

1. 브라질의 흥망

 

2. 브라질 경제 상황

 

3. 위기 가능성은 어느정도?

 

이렇게 쓸 생각이야.

 

 

 

1. 브라질의 흥망

 

브라질_하이퍼.jpg

 

옛날에 브라질은 무시무시한 하이퍼 인플레이션으로

 

국가경제가 완전히 거덜나서 운지한 나라야. (물가상승률 3000% ㄷㄷ)

 

 

 

 

htm_2009100602045350005010-001.jpg

 

하지만 룰라 대통령 집권 후(2003~2010) 브라질은 달라지기 시작했어.

 

주가는 계속 오르고 소비자물가 상승률은 10% 대에서 5% 이하로 낮아지고

 

 

20120129001040_0.jpg

 

GDP는 7년 사이에 4배 상승했음.

 

 

브라질_경제변화표.jpg

 

최하층, 하층 비중은 크게 줄고 중산충 비중은 크게 늘었고

 

 

Brazil-FDI-JAN2014.jpg

 

외국인 투자금(Foreign Direct Investment)은 룰라대통령 집권기에 엄청나게 유입되었음 ㄷㄷ

 

 

740_042_2.jpg

 

이런 경제성장 덕분에 실업률은 절반으로 낮아지고 소매판매도 증가함.

 

 

2014-10-26T234713Z_1509562366_GM1EAAR0LJ901_RTRMADP_2_BRAZIL-ELECTIONS_NAVER_99_20141027102408.jpg

 

룰라 대통령의 놀라운 경제성공 덕분에

 

지우마 호세프에게 성공적으로 정권을 물러주었음.

 

 

%BA%EA%B6%F3%C1%FA%B0%E6%C1%A6%C0%A7%B1%E23.jpg

 

하지만 호세프 집권 이후 브라질의 경제는 침체되었음 ㅋㅋ

 

물가는 오르고, 주가는 떨어지고, 경제는 마이너스 성장할랑 말랑함.

 

 

PS15010600223.jpg

 

룰라 집권기(2003~2010)에는 고성장을 했다가

 

호세프 (2011~) 집권하자 경제성장률이 팍 떨어짐 ㅋㅋ

 

 

20140709000725_0.jpg

 

호세프 대통령이 정치를 못해서 브라질이 운지하는 것인가?

 

이제 그걸 알아보려고 해 ㅎㅎ

 

 

1. 브라질의 흥망

 

1) 브라질은 하이퍼 인플레이션으로 운지했던 나라임.

 

2) 룰라 집권기에 GDP는 4배나 커지고, 중산층이 크게 늘고, 물가는 안정되고, 외국인 투자는 크게 증가함.

 

3) 하지만 호세프 대통령이 집권한 후 브라질 경제는 부엉이바위로 향하는 중.

 

 

 

2. 브라질 경제 상황

 

617px-Brazil_Export_Treemap.jpg

 

브라질의 수출구조를 살펴보면

 

노란색은 농업, 검은색은 석유 등의 원자재, 파란색은 제조업, 분홍색은 화학, 빨간색은 건설업, 초록색은 의류업 등이야.

 

비중을 살펴보면 원자재 비중이 높은 나라지.

 

 

Brazil_Trade_Balance_Dec_2014.PNG

 

브라질의 수출증가율 자료를 보면 엄청 놀라워.

 

2004~2008년에 수출 증가율이 50% 가까이 상승하는 것을 볼 수 있어.

 

믿기 어려워서 다른 자료를 찾아봤더니

 

 

null_20140416105313648.jpg

 

어마어마한 수출증가율이 사실임을 알 수 있게 되었어 ㄷㄷ.

 

대중국 수출이 엄청나게 증가한 것이야.

 

 

3453453453.png

 

원자재 수출 비중이 전체수출의 64%인 나라이니깐 (2010년 기준)

 

주요수출품인 식량, 철광석, 원유 수출에 무역이 좌우되는 것이야.

 

453453453.png

 

브라질의 수출은 주로 중국과 유럽으로

 

보고서에 따르면 중국에 철광석과 원유를 팔고, 유럽에 식량을 수출한다고 해.  

 

 

 

3efc9ac6723e6e8b9bcb3144263bdabb.jpg

 

브라질 수출의 15% 차지하는 철광석은

 

세계 조강생산력의 절반을 차지하는 중국에 주로 수출되는데

 

 

61bcae69fa2c3903c0f1b26423c515e2.png

 

중국은 부동산침체 때문에 철강재고가 급증한 상태야.

 

철광석 수출이 늘기 어려운 상황이지 ㅋㅋ (호주산 철광석 가격이 운지 중이고)

 

 

d726e225abd9fd8b5be183af3f685c66.jpg

 

또 유럽도 경기침체로 빌빌거리고 있으니

 

브라질의 식량 수출이 잘 되기 어려운 상황이야.

 

 

201410150218_11150922814418_1.jpg

 

그리고 국제곡물가가 하락 중이라 큰 재미보기 어려운 상황이지.

 

(브라질이 주로 콩 수출이지만, 짤은 곡물가 핵심이자 우리에게 중요한 밀로 사용.)

 

 null_20141016143842372.jpg

수출이 재미를 보지 못하는 탓인지, 산업생산 증가율도

 

2014년 들어서 마이너스 성장함.

 

 

%BA%EA%B6%F3%C1%FA%B0%E6%C1%A6%C0%A7%B1%E2.jpg

 

브라질의 수출이 이러다 보니 환율이 절반 가까이 하락 중이고

 

 

534534534534.png

 

환율 평가절하 탓인지 소비자물가도 오르는 중이야.

 

경제성장률은 바닥인데, 물가는 높으니 실질 경제성장률은 마이너스라고 봐야지.

 

 

 

2. 브라질 경제 상황

 

1) 브라질은 원자재 수출국으로 중국의 경제성장 덕분에 큰 재미를 보았음. 룰라 대통령의 경제성공의 원인

 

2) 중국의 성장둔화와 유로존 경지침체로 브라질도 덩달아 어려워짐.

 

3) 산업생산도 위축되어서 경제성장률이 낮아지고, 환율이 요동쳐서 물가상승률이 올라감.

 

 

 

3. 위기 가능성은 어느정도?

 

 

524234234.png

 

브라질은 원자재 수출을 많이 해도 경상수지는 늘 적자인 재미난 나라야.

 

이유는 경제성장을 위해 쓰는 돈이 버는 돈보다 많기 때문이야.

 

 

2011091405721_2011091525861.jpg

 

 

브라질의 고성장을 보고 외국인 투자가 상당히 많았고

 

 

4570_94374.jpg

 

미개발된 땅이 많다보니 개발할 여지도 많아

 

 

45345345353.png

 

브라질 인프라가 많이 부족한데 도로망은 주변국가들보다 후진 수준이지

 

뭐 이유야 땅이 그만큼 넓으니깐 ㅋㅋ

 

 

345345345345345.png

 

이러다보니 수출입에 들어가는 물류비용이 높아서

 

인프라를 개발할 필요성이 큰 나라야.

 

 

524234234.png

 

브라질은 재정수지도 적자인 나라인데 

 

이유는 하이퍼 인플레이션으로 거덜난 국민경제를 살리기 위해

 

원자재수출로 번 이득 중 일부를 국민들에게 나눠주기 때문이지.

 

 

4234242342.png

 

이런 노력 덕분에 중산층 비중이 꾸준히 늘고 있는 추세야.

 

 

 

5345345343534.png

 

하지만 중국의 성장둔화, 유로존 경기침체 때문에 경제성장이 운지하고 있으니

 

브라질 정부는 경상수지 & 재정수지 적자를 줄일 필요성이 커지는 상황이야.

 

  

 16436_50979_1317.jpg

 

외국인 투자금이 많지만 브라질의 외환보유고도 많아서 운지는 속단하기 이르다고 생각해.

 

물론 러시아가 1년사이에 외환보유고가 25% 증발했다는 점을 생각하면, 외국인투자금 유출이 무섭지.

 

 

하지만 인터넷 검색을 살펴봐도 버블이 없고, 부채비율이 양호해서

 

큰 단점은 안보이는 상황이야.  

 

53453453454.png

 

유럽의 경기침체랑 중국의 성장둔화가 계속 되고

 

원자재 가격이 계속 떨어지면 가능성이 커지겠지만

 

 아직은 브라질 경제가 괜찮은 상황으로 생각해.

 

 

 

3. 위기 가능성은 어느정도?

 

1) 브라질은 수출을 많이 하는나라이면서 경상수지& 재정수지는 적자인 나라임. 이유는  경제개발을 위해 더 많이 투자함.

 

2) 원자재 수출 둔화로 어려움으 겪고 있어 경상수지와 재정수지 적자를 줄일 필요성이 커짐.

 

3) 외환보유고가 커서 큰 문제점은 없어보이나 외국인투자금 유출은 경계해야함. 중국과 유럽의 상황 변화에 따라 브라질 상황도 유동적

 

 

 

 3줄 요약

 

1) 룰라 대통령 때에는 수출이 약  50% 증가해서 아주 좋았음. 룰라 대통령의 성공에는 해외요인도 큼.

 

2) 원자재 수출 위축으로 호세프 대통령이 어려움을 겪고 있음. 경제성장률, 산업생산이 줄고, 물가가 급상승함.

 

3) 원자재 수출비중이 높은 나라라 원자재 가격등락에 따라 나라 경제가 흥하고 망함.

 

 

http://www.ilbe.com/4061949641  (묻재업)일본 운지 가능성에 대해 araboja

 

http://www.ilbe.com/4065586303 아베노믹스에 관하여 araboja

 

http://www.ilbe.com/4081542235 (묻재업) 우리나라 경제의 문제점과 미래에 대해 araboja

 

http://www.ilbe.com/4087029015 중국 부동산 운지 가능성에 대해 araboja

 

http://www.ilbe.com/4114054257 한국 부동산의 미래에 대해 araboja

 

http://www.ilbe.com/4140267534 (묻재업) 세계경제 위기 가능성에 대해 araboja

 

http://www.ilbe.com/4151711269 (묻재업) 통일의 경제성에 대해 araboja

 

http://www.ilbe.com/4173005326 (경제) 유로존 문제에 대해 araboja

 

http://www.ilbe.com/4187842437 (묻재업) 디플레이션에 대해 araboja

 

http://www.ilbe.com/4198412139 (묻재업) 하이퍼 인플레이션에 대해 araboja

 

http://www.ilbe.com/4222789599 미중 경제전쟁을 araboja

 

http://www.ilbe.com/4279400243 (묻재업) 천조국의 경제 동향을 araboja

 

http://www.ilbe.com/4316149843 (묻재업) 미국 양적완화 종료를 araboja

 

 
 

http://www.ilbe.com/4564563490 (묻재업) 셰일가스와 세계경제 변화를 araboja

 
http://www.ilbe.com/4634850286 아르헨티나 디폴트를 araboj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