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은 짧게 삼성전자의 결단력을 보여주는 두가지 사례에 대해서 글을 써보려 해
내가 삼성에 대해서만 글을 다루는 것은 아마 이번이 처음이야
가장 큰 이유는 그만큼 삼성은 우리나라의 대표기업이고 많은 정보가 신문을 통해 우리가 제일 잘 알고 있기 때문이야
우리나라에 있어 삼성전자가 차지하는 것은 통계적으로 GDP의 몇프로 수출의 몇프로 이익의 몇프로 법인세가 얼마고
직원이 몇명인지로도 보여지지만 경제분야에 기사수에서도 그 위대함이 느껴져
모든 경제지에서는 항상 삼성전자에 대해 주목을 하고 있고 열광하고 그들이 이루는 성과를 실어나르기 바빠
삼성전자만큼 행보에 언론에 주목을 받는 기업은 우리나라에선 없으며, 전세계적으로도 이젠 애플과 동일선상에 놓고 많은 기사가 나오지
내가 지금부터 쓰려는 사례는 공통점이 있어 바로 삼성의 결단력이 보여지는 사례라는 점이야
내가 쓴 글 중 일정부분을 차지하는 것이 바로 실패의 사례였어 그리고 그 사례 중 중요한 실패이유는
지나친 욕심 그리고 미래를 내다보지 못한 근시안적인 경우도 있지만 과감하게 기존 사업을 정리하지 못하고 시간만 보다가 망한 케이스가 많아
실제로 최근 이슈가 된 STX, 동양의 예에서 보면 그들이 지금같이 그룹해체로까지 가지 않을 기회가 있었어
STX의 경우 STX에너지란 알짜회사를 채권단이 1조에 팔라고 할 때 과감히 팔았다면 어느정도 위기를 극복할 시간을 벌 수 있었을 것이고
채권단의 신뢰를 얻어 강덕수가 쫒겨날 일도 없었을 수 있지
근데? STX에너지를 팔 타이밍을 놓쳐 결국 오릭스에 6000여억이란 헐값에 팔고 그 타이밍은 이미 배가 좌초되어 물이 들어오는 시점이였어
동양 역시 진작에 동양증권이나 동양매직을 팔았으면 지금 이사단을 피할 시간을 벌었을테지만 오너의 결단부족으로 그룹해체가 진행중이지
서론이 너무 길었는데 그럼 글을 시작할께
1. 삼성 HDD부문 사업 씨게이트에 매각
삼성은 2010년 4분기 기준으로 전세계 하드디스크 시장에서 총 11%의 시장 점유율을 확보한 세계 5위의 업체였어
근데 2011년 4월에 HDD 사업부문을 미국 씨게이트에 13억 7500만달러에 매각해
이중 반은 현금으로 반은 씨게이트 주식 약 9.6%(약 4500만주)에 해당하는 보통주로 받기로 한거야
그 배경은 HDD 사업의 수익성이 떨어지고 있었고 현재 붐을 일으키고 있는 SSD에 집중하기 위해서란게 중론이였지
삼성전자는 이 매각건으로 씨게이트의 2대주주로 올라서고 이사회에 참여하게 돼
그리고 이 건을 통해 낸드플래시 공급 및 기업 시장으로의 SSD 판로 확보라는 전략적 혜택을 얻을 수 있었고
기존 특허에 대한 공동 사용도 가능할 수 있었지
그리고 올 10월 초 삼성은 보유하고 있던 씨게이트 주식 약 3270만주를 팔아서 시세차익으로만 8000억을 챙겨버려
그러면서 아직도 지분 1250여만주를 남기며 이사회 주주로서 역할도 가능하며 씨게이트와의 전략적 협력관계도 지속할 것이라 발표했지
2. 삼성코닝정밀소재 보유 지분 미국 코닝에 매각 But 미국 코닝 지분 인수
삼성코닝정밀소재는 산업용 유리 및 판유리 가공품 제조업체로 TFT-LCD 정밀평판유리, 평판디스플레이 소재부품을 만들지
삼성 내에서 숨겨진 알짜 회사로 미국 코닝사와 합작하여 만든 회사야
원래 위와 같은 주식 지분 현황이였는데
10월 13일 뉴스에 나온대로 삼성디스플레이가 보유한 삼성코닝 지분 전량을 코닝에 넘기는 대신
코닝 자사의 우선전환주 19억달러를 받는단 거야 일종의 주식스왑이지
이 우선전환주는 7년뒤 보통주로 전환이 가능한데 이게 만약 보통주로 전환되면 삼성은 지분율 7.4%로 코닝의 1대주주로 올라서게 돼
쉽게 말해 삼성과 코닝의 자식인 삼성코닝정밀소재를 코닝에 넘기는 대신 다른 부모인 코닝의 주인이 되는거지
물론 삼성은 지분율 9% 이상으로 확대하지 않을 것을 합의하였고 경영권을 행사하지 않겠다 했어
이와 함께 삼성은 코닝과 맺은 2023년까지 10년동안 디스플레이 기판용 유리 남품계약을 유지하기로 했고.. (안정적 공급망 확보)
코닝과의 40여년간 이어온 협력관게를 더 공고히 할 수 있게 되었지
또한 삼성은 자신과의 강력한 협력관계로 인하여 코닝의 미래 주가가 긍정적이 되며 주가상승이 예상되어 자본이득도 얻을 수 있고
기존 LCD에서 OLED로 시장이 전환되는 과정에서 이번 거래로 생긴 현금을 통해 OLED에 더 투자할 여력이 생겨으며
코닝으로부터 주식 청산 과정에서 추가적인 배당성격으로 1조 7000억을 받게 된다고 컨퍼런스 콜에서 밝혔지..
정말 이번 계약으로 삼성은 여러가지 이득을 보는 거야
3. 마치며
개인적으로 삼성이 다른 기업과 가장 차이가 나는 경쟁력을 꼽으라면
그건 시장이 변할때 과감하게 기존의 사업을 빠르게 정리하는 결단력이라 생각해
위 두사례에서 볼 수 있듯 기존 HDD시장에서 현재 SDD로 넘어가는 추세 그리고 LCD에서 OLED로 넘어가는 추세를
빠르게 읽고 바로 대처하는 삼성의 Speedy하면서도 과감한 의사결정은 정말 놀라워
글고 그 결정은 삼성에 막대한 수익을 안겨주었고
참으로 지지부진한 의사결정으로 망한 동양이나 STX와 비교하면 너무나도 대비되지
긴 글 읽어줘서 고맙다
요 약
1. 삼성은 2011년에 기존의 HDD사업을 미국 씨게이트에 약 13억 7500만 달러에 반은 현금으로 반은 주식(약 4500만주)으로 매각하고
2013년 10월에 보유하고 있던 주식 중 약 3500만주를 팔아서 시세차익으로만 8000억을 벌었음 그리고도 지분이 남고 전략적 관계는 지속
2. 삼성은 또한 미국 코닝사와 세운 합작회사 삼성코닝정밀소재의 지분 전량(삼성디스플레이 보유분)을 코닝에 넘기고 오히려 코닝의 우선전환주를
약 7.4% 보유함으로서 최대주주가 됨 또한 배당성격으로 1조 7000억도 받게되며 코닝과 전략적 협력관계는 더 공고해짐
3. 위 두사례 모두 삼성이 가진 사업이(HDD, LCD)가 변하는(SDD, OLED) 시기에 결정된 사항으로 이를 통해 삼성은 신사업에 더 역량을 집중하는
신의 한수가 됨
-------------------------------------------------------------------------------------------------------------------------------------
<기업 및 산업 관련 정보글 List>
1. (정보) 셀트리온 관련 글 : http://www.ilbe.com/1097213856
2. STX가 운지하는 EU : http://www.ilbe.com/1170115246
3. (삼성VSLG) 삼성전자와 LG전자를 숫자를 통해 비교해 보자 : http://www.ilbe.com/1232179977
4. (정보) 우리나라 위기의 해운업과 그 중요성에 대해 알아보자 : http://www.ilbe.com/1255601125
5. (정보) 우리나라 위기의 건설업과 그 중요성에 대해 알아보자 : http://www.ilbe.com/1260372002
6. (정보) 재미로 보는 우리나라 재계 순위 변천사 Since 1997 : http://www.ilbe.com/1263714092
7. (정보) 두산그룹에 대해서 알아보자 1부 : http://www.ilbe.com/1266515561
8. (정보) 두산그룹에 대해서 알아보자 2부 : http://www.ilbe.com/1270940920
36. (정보) 동양그룹 현재현 회장이 개새끼인 이유 : http://www.ilbe.com/2101146355
37. (정보) 이랜드 그룹 : http://www.ilbe.com/2106383848
38. (정보) 금호아시아나그룹 형제간 전쟁 : http://www.ilbe.com/2113828952
39. (정보) 효성그룹 제2의 CJ되는 중 그리고 차남의 통수 : http://www.ilbe.com/2122180541
40. (정보) 30살에 부회장이 된 청년, 모든 것을 포기하다(대한전선) : http://www.ilbe.com/2154740204
41. (정보) 중고차 2대로 시작해 라오스 최고의 기업을 세운 한국인 : http://www.ilbe.com/2160708388
42. (정보) LG가 반도체를 포기하게 된 배경(구본무의 눈물) : http://www.ilbe.com/224692110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