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정보) 셀트리온 관련 글 : http://www.ilbe.com/1097213856
2. STX가 운지하는 EU : http://www.ilbe.com/1170115246
3. (삼성VSLG) 삼성전자와 LG전자를 숫자를 통해 비교해 보자 : http://www.ilbe.com/1232179977
4. (정보) 우리나라 위기의 해운업과 그 중요성에 대해 알아보자 : http://www.ilbe.com/1255601125
5. (정보) 우리나라 위기의 건설업과 그 중요성에 대해 알아보자 : http://www.ilbe.com/1260372002
6. (정보) 재미로 보는 우리나라 재계 순위 변천사 Since 1997 : http://www.ilbe.com/1263714092
7. (정보) 두산그룹에 대해서 알아보자 1부 : http://www.ilbe.com/1266515561
8. (정보) 두산그룹에 대해서 알아보자 2부 : http://www.ilbe.com/1270940920
11. (정보) CJ가 깡패기업인 EU : http://www.ilbe.com/1293979746
12. (정보) 우리나라 위기의 조선업에 대해 알아보자 : http://www.ilbe.com/1296469334
13. (정보) 우리나라 석유화학업과 이슈들에 대해 알아보자 : http://www.ilbe.com/1297606102
14. (정보) 대한항공이 속한 한진그룹에 대해 알아보자 : http://www.ilbe.com/1304467641
15. (정보) 태양광 산업에 대해 알아보자 : http://www.ilbe.com/1311339719
-----------------------------------------------------------------------------------------------------------------------------------------------
오늘은 일베에서 전라도 출신 기업 하는 금호아시아나그룹에 대해 써볼까해
M&A 승자의 저주의 대명사 금호아시아나...
한때 구직자들이 입사하고 싶은 기업 1위였던 아름다운 기업 금호아시아나가
어떻게 재벌이 되었고 운지하여 현재에 이르렀는지 글을 써보도록 하겠다
1. 금호 창업자 박인천 그리고 택시와 버스운수사업
위 사람이 창업자 박인천(1901~1984)
금호아시아나그룹의 창업자 박인천은 1901년에 전남 나주시 다시면 신곡리에서 빈농 박옥용의 4남2녀 중 3남으로 태어났어
그는 어려서부터 성격이 급하고 고집이 세었으나 숫자계산에 뛰어났다고 해
1924년부터 해방까지 경찰로 근무를 했었고 해방후 그만두고 지인들과 약품배달업을 개시해 약간의 돈을 모으고 택시운수업에 착수했어
당시 광주시의 여객운수사업이 매우 낙후한 것을 간파했던거였지
박인천은 경찰시절 친분이 있던 강진의 갑부 유재의로부터 거금 10만 원(쌀 1400여 가마에 해당)을 빌려 1935년형 포드 5인승과
1933년형 내쉬 등 중고 택시 2대를 구입해서 1946년에 광주 황금동에 ‘광주택시’란 상호로 사무실을 오픈했어
당시 그의 나이는 46세로 다른 창업주와 비교해 나이가 많은 편이였지
그가 가장 신경을 쓴 부분은 확실한 자동차의 정비와 정시에 정차하는 것이었어 이를 통해 광주택시는 광주의 명물이 되었지
박인천은 택시운수사업을 통해 많은 돈을 벌었고 이를 계기로 버스운수사업에도 진출했어
광주 인근의 노선별 승객 수, 자금 동원능력, 사업전망 등을 면밀히 조사한 뒤 1948년에 광주여객을 설립하고
‘광주-장성’, ‘광주-화순’ 왕복노선을 시작으로 버스운송 사업을 시작한 거였지
이 노선은 광주여객이 독점한 탓에 호황을 구가해서 사업 1년만인 1949년에는 버스 보유대수가 13대로 불어나
그러나 6. 25전쟁으로 버스들이 대부분 징발되거나 도난, 파손이 되어버렸지 그러나 그는 부서진 차체와 부품들을 수거해
1950년 10월 말 목탄 버스 2대를 조립해서 버스사업을 재개해
당시 교통수단이 턱없이 부족한 탓에 광주여객은 전쟁특수를 누리게 되고 전라남도 전역으로 노선망을 확대할 뿐만 아니라
1953년 휴전 무렵에는 전북지방과 멀리 부산까지 노선을 확대해
당시 여객운수업에 있어 노선확보는 전쟁 그 자체였어 다른 행정구역으로 노선을 확대할 경우 해당 지역의 경쟁업체들이
수단과 방법을 가리지 않고 집요하게 진출을 방해했기 때문이었지
더구나 전라도 버스가 경상도로 진출했던 탓에 광주여객이 받는 고통은 더욱 컸다고 해 새로 진출하는 곳마다 지역 경쟁업체들이
깡패들을 동원해서 운행을 방해하는 경우도 비일비재했어
그러나 그럴수록 경상도에 있는 전라도 출신 승객들이 더 많이 이용함으로써 광주여객은 성장할 수 있었어 전라도민들의 애향심 덕을 본 거지
역시 전라도 클라스 대단하노?
2. 경쟁 업체 합병, 삼양타이어 설립
당시 버스여객 신규노선 확장에는 교통부, 내무부 등으로부터 허가를 받아야 하는 번거로움이 컸어 그래서 광주여객은 아예 경쟁업체의
노선을 사버림으로써 사세를 확장해 나갔지
1960년 9월에는 자본금 삼양타이어를 설립해 자동차 대수가 성장하고 있고 광주여개 자체 타이어 수요도 엄청나서 시작을 한거였지
하지만 당시 삼양타이어는 '호박타이어'란 별명을 얻을만큼 품질이 형편이 없었어 그러나 박인천은 광주여객의 수익을 다 투입하고
고리까지 써서 투자를 했지
이런 노력으로 1965년 KS마크를 획득하고 천운이 따랐는지 군납업체로 지정되어 매출이 신장돼 1969년에는 연산 25만본 규모로 확장되고
1974년 국내 1위에 오르게 돼
버스에서 시작하여 타이어까지 참 독특한 사업확장이지?
3. 고속버스사업 진출에 운지할 뻔하나 8.3 조치로 극적으로 역운지
광주여객의 다각화 작업은 1970년 고속버스사업에 진출하면서 시작돼
당시 우리나라는 1967년 경인고속도로, 1970년 경부고속도로의 완공으로 전국이 일일생활권으로 변모하며 고속버스산업이 크게 돼
그러나 당시 한진, 한남, 천일고속 등 선발업체가 시장을 분할지배하고 있었는데 뒤늦게 뛰어든 광주여객은 해외차관까지 들어다가
최고급 벤츠 버스를 투입하고 노력했지만 사업은 쉽지 않았어 게다가 호남고속도로는 개통되기 전이여서 본거지인 전라도 지역기반을
활용못한 것도 컸지
삼양타이어 역시 지속 투자가 필요하여 광주여객의 재무구조는 취약해졌어 고금리의 사채까지 많이 끌어썼고...
그런 광주여객은 1972년 8월 3일 자정을 기해 기습적으로 발표된 '8.3조치(경제의 안정과 성장에 관한 대통령 긴급명령 15호)'덕에
극적으로 회생해 이 조치로 모든 사채를 거래에 신고하면 원리금은 3년거치 5년 균등 분할상환하며 이자율은 연 1.35%를 초과할 수
없게 하는 파격적인 조치였어 이 모든건 원조가카가 경제개발을 위해 단행한 조치였지
광주여객은 그 수혜자였고
4. 호남고속도로 개통
1973년 호남고속도로가 개통되며 광주여객은 호남지역 고속버스 승객들을 독차지하여 회생하고 국내 고속버스업계에 최강기업이 되었어
게다가 삼양타이어 역시 경제성장으로 소득이 증대하며 자동차 판매량이 늘어남에 따라 굴지의 타이어메이커가 되었지
5. 수출 가능 사업 무차별 인수
1972년 무역업체인 금호실업이 설립돼 이후 금호실업은 그룹의 주력기업이 되지 컨트롤타워 역할도 하고
이후 1973년 4월 : 모빌코리아윤활유공업 설립 6월 곡성제사 인수 8월 : 광주고속관광 설립 10월 : 삼양타이어가 전남제사를 흡수합병 12월 : 금호전자 설립
1974년 6월 : 광주투자금융 설립 11월 : 광주고속이 경쟁업체인 한남고속을 흡수통합
1975년 9월 : 금호실업이 광주은행에 지분참여 10월 : 삼양타이어가 방산업체로 지정
1976년 1월 : 삼양타이어가 유니로얄판매를 인수하고 3월과 8월 : 금호실업이 극동철강과 마포산업을 각각 인수
12월 : 금호실업 국내 11번째로 종합무역상사로 지정, 금호화학 설립
1977년 2월, 8월 : 천우사 전자공장, 동남전기 안양공장 인수, 제일토건 인수(금호건설로 사명변경)
위 같이 수출이 가능한 사업들을 무차별적으로 인수, 설립한고 금호실업이 지주사 역할을 했어 이렇게 금호는 국내 10위권의 재벌로 성장했지
그러나 금호그룹은 종합상사를 자진 반납하는 등 경영여건이 매우 안좋아져 무분별한 확장이 부메랑이 되어 돌아온거였지 결국
전기, 전자, 철강사업들을 매각하여 그룹규모도 축소돼
6. 제2 민간한공사가 되다
1987년부터 전두환 대통령 말기 제2 민간항공사 설립을 검토하고 이 설립에 결국 1988년 2월 15일 금호그룹이 지정이 돼 제2 민간한공사로
이틀뒤 서울항공(아시아나 전신)을 설립하고 새롭게 항공사업에 진출해 이를 계기로 금호는 그간의 어려움을 딛고 정상의 기업집단으로
부상하였지
아시아나 항공은 설립 이후 착실히 성장을 지속하여 비록 매출이나 규모면에서는 대한항공의 절반수준에 불과하나
2013년 4월 기준 79대의 항공기를 보유하고 있고 국내 12개 도시 14개 노선, 국제 23개 국가 71개도시 91개 노선을 운영하는
자산 규모 6조원 규모의 건실한 회사가 되었지
7. 90년대 성장 그리고 IMF
아시아나항공의 약진과 삼양타이어의 성장, 석유화학계열사들의 약진으로 1995년 금호아시아나그룹은 매출 4조원으로
재계서열 17위권의 재벌이였어
그러나 IMF를 맞자 뼈를 깎는 구조조정을 2003년까지 이어나가
계열사간 합병, 지분매각 청산 등을 통해 한계사업에서 철수하고 비주력사업을 정리해나갔지
그결과 32개의 계열사는 2001년 15개로 줄었고 자본유치, 부동산 및 유가증권 매각, 유상증자 등을 통해 약 3조원의 유동성을 확보
1997년 기준 부채비율이 966%에 이르던 것을 2001년에는 360%까지 낮추는 등 재무구조를 개선해갔지
8. 무모한 도전의 아름다운 기업 금호아시아나의 운지
2003년까지 구조조정으로 겨우 자리를 잡은 금호아시아나그룹.. 그들이 선택한 것은 욕심이였어
금호아시아나그룹 회장 박삼구는 2006년 건설을 중심으로 한 그룹의 미래비전을 제시하며 당시 시공사 2위의 대우건설 인수에
올인을 하게 돼
당시 대우건설에 뛰어든 기업현황은
위와 같았어 실상 금호, 두산 말고는 대기업 규모 차이가 컸었지 근데 문제는 너무나도 미칠듯한 가격으로 금호가 인수했단 거였어
6조 6천억... 정말 엄청난 거금을 투자해 금호는 대우건설을 마침내 인수했지
근데 당시 박삼구는 2조원이면 대우건설을 먹을수 있을 꺼라 판단하고 인수시도를 했지만 경쟁이 치열했고 본인의 고집에 의해
저 미친 가격에 대우건설을 먹었던 거야(참고로 오늘자 대우건설 주가 7890원 시총 약 3조 3천억)
그러나 당시 금호아시아나 계열사들(금호산업, 금호타이어, 금호석화, 아시아나항공)의 평균 부채비율은 200%정도였어
물론 높진 않았지만 6조 6천억 중 2조 9천억을 자체자금으로 조달하고 나머지는 재무적투자자(FI)로 부터 차입을 했지
이로인해 당시 금호아시아나의 부채비율은 미친듯이 높았어 게다가 FI로부터 차입을 할때 자금을 조달받는 방식으로
풋백옵션을 내걸어 즉 2009년 12월 15일 만기로 FI들의 주식을 주당 3만 4천원에 되사주기로 했던 거야
그만큼 금호는 무리수를 둔거야.. 당시 건설업의 호황과 대우건설 경영에 대한 집착이 그렇게 만든거지
게다가 이에 더해 대우건설의 현금성 자산, 대우건설을 이용한 차입금을 통해 대한통운이란 우리나라 육상물류 1위업체 마저
2008년 1월 인수해버려 그 금액은 무려 4조 1천 40억... 미친거지 대우건설과 대한통운에 거의 11조를 쏟아부었지
결국 금호아시아나 그룹은 이로인해 재계 8위까지 오르고 TV에 무수히 많은 아름다운 기업 금호아시아나 CF를
틀어대며 인기는 치솟았지 1년 천하였지
위 사진 보이지? 서울역 서울스퀘어.. 금호로고가 붙어있었지.. 금호사람들은 뿌듯해 했었지
결국 높아진 부채비율로 그룹 Risk를 견디지 못한 박삼구 회장은 대우건설을 팔고(산은 인수)
워크아웃... 전그룹이 워크아웃 현재의 STX 비슷하지?
그리고 2011년 대한통운 마저 CJ에 매각
게다가 형제끼리 싸움마저 붙어 계열분리 가속화 되어
운지중이지.. 지금도 재무구조개선약정 맺고 있어(금호석화 빼고)
종 합
1. 광주 기반으로 버스 사업으로 시작한 금호는 호남고속도로 완공과 함께 호남지역민의 열렬한 성원에 힘입어
고속버스사업으로 큰 돈을 벌고 재벌화 시작
2. 중간중간 아마 대기업 중 고비를 가장 많이 넘긴 금호(8.4 조치, IMF, 최근)는 IMF이후 구조조정을 단행하고
엄청난 고난을 이겨내고 2003년 구조조정 완료하나 박삼구 회장은 2006년 뜬금없이 대우건설 인수 올인!
3. 대우건설도 모자라 대한통운 마저 인수 총 약 11조 퍼부음 역시나 2008년 금융위기, 무리한 차입과 풋백옵션 등으로
대우건설, 대한통운 토해내고 그룹 전체 워크아웃! 운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