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정보) 셀트리온 관련 글 : http://www.ilbe.com/1097213856
2. STX가 운지하는 EU : http://www.ilbe.com/1170115246
3. (삼성VSLG) 삼성전자와 LG전자를 숫자를 통해 비교해 보자 : http://www.ilbe.com/1232179977
4. (정보) 우리나라 위기의 해운업과 그 중요성에 대해 알아보자 : http://www.ilbe.com/1255601125
5. (정보) 우리나라 위기의 건설업과 그 중요성에 대해 알아보자 : http://www.ilbe.com/1260372002
6. (정보) 재미로 보는 우리나라 재계 순위 변천사 Since 1997 : http://www.ilbe.com/1263714092
7. (정보) 두산그룹에 대해서 알아보자 1부 : http://www.ilbe.com/1266515561
8. (정보) 두산그룹에 대해서 알아보자 2부 : http://www.ilbe.com/1270940920
12. (정보) 우리나라 위기의 조선업에 대해 알아보자 : http://www.ilbe.com/1296469334
-----------------------------------------------------------------------------------------------------------------------------------------------
공약한대로 이번엔 우리나라 석유화학업에 대해 알아보도록 할께
아 근데 잡담하자면 요즘 일베에 글올리는 빈도가 늘고 있다 ㅋㅋ 이런 글을 올릴때는 저격을 많이 당할 수 있기에 내 그냥 SSUL을 풀면
ㅁㅈㅎ 당하기 때문에 최대한 객관적으로 쓰고자 이곳저곳 자료도 많이 보고 숫자로 풀려고 노력을 많이 한다 귀엽게 봐줘라
암튼 다시 글을 써내려가자
우선 우리나라 석유화학에 대해 알아보자
석유화학업이란 뭘까? 사전적 의미를 살펴보면
그래서 내가 글을 쓰는 데 있어 정유업은 제외하도록 할꺼야
먼저 석유화학업의 특징을 좀 살펴봐야돼 그래야 이해하기 쉬울테니
석유화학산업 특징
석유화학 산업은 원유정제 과정에서 분리되는 나프타를 기초원료로 에틸렌과 프로필렌, 부타디엔 등의 기초유분을 생산해
기초유분이 중합, 화학반응을 거치면 합성수지, 합성섬유원료, 합성고무, 기타 화공약품 등 유도제품이 되지
즉 석유화학제품은 사용되지 않는 분야가 없을 정도로 광범위한 기초 원자재야
이 석유화학산업은 전후방 산업과의 연계가 매우 높고 막대한 설비와 대규모 자본투자가 필요해 진입장벽이 높다는 특성이 있지
단위설비 규모가 커질 수록 단위 생산당 원재료와 에너지 비용이 줄기 때문이야 즉 설비가 커야 생산원가가 낮지
현재 우리나라의 에틸렌 생산능력은 2011년도 기준 약 792만톤으로 전세계의 약 5%를 차지하고 있어
자 그렇다면 우리나라의 대표적인 석유화학 기업은 어디가 있을까?
우리나라 대표 석유화학 기업
LG화학, 롯데케미칼(구 호남석유 + 케이피케미칼), SK종합화학, 금호석유화학, 한화케미칼, 여천NCC 등 엄청 많아 매출 규모도 엄청 크지
(물론 여천 NCC, OCI, 삼성토탈 등도 어)
이런 기업들의 실적은 주식해본 게이들은 알겠지만 2011년도만 해도 화학주는 날라다녔지 금호석유, 호남석유로 돈번 게이들도 많을 꺼야
근데 2012년은 처참했어 왜냐? 세계 경기가 안좋았지 가장 경기에 민감한 산업이다 보니.. 근데 2013년 실적은 2012년보다 더 안 좋아
주요기업들의 실적과 체력을 한번 볼까?
보통 LG화학이 자동차 배터리를 만든다고 해서 석유화학이 비중이 낮은 줄 알지만 LG화학에 있어 석유화학부문의 비중은 80%가 넘어.
정말 우리나라에서 가장 우량한 기업중에 하나인데 부채비율 봐라.. 엄청 낮지? 영업이익도 괜찮고
롯데케미칼도 부채비율이 약 78% 수준으로 매우 우량한 기업이지 롯데 붙은 기업 중 그나마 우리나라에서 제조업 하며 알짜 회사다
근데 롯데케미칼의 주가는 운지하고 있지 왜냐? 영업실적이 안좋기 때문이야 제작년만 해도 영업이익률이 9.4%에 달했지만 최근 영업이익률은 2%대에
머물러 있어 당연히 PER가 높아지기에 주가는 조정되고 있지
한화케미칼 같은 경우 최근 태양광산업에 손을 대면서 투자를 하고 있고 실제로 태양광 부문에서 큰 적자를 거두며 영업실적이 안좋고
부채비율도 타 경쟁기업에 비해 꽤 높은 편이야 물론 아직 200% 안쪽이라 양호하지만.. 한화케미칼 주가 보면 답이 안나오는 수준이지
금호석유화학 같은 경우 금호 들어간 기업중 아마 가장 알짜 회사지 그룹 Risk에서 가장 먼저 벗어났구.. 2011년 금호석유로 돈 번 게이 꽤 있을 꺼다
위 표를 보면 공통적으로 영업이익률이 나빠지고 있어 근데 왜 그럴까? 물론 개별 회사의 상황도 작용을 하겠지만
화학업종 자체의 전망이 그리 밝지 않아.
최근 주식시장에서도 화학업종은 거의 외면을 받고 있어 왜냐? 미래에 대한 Risk가 매우 크기 때문이야
그 Risk는 크게 두가지가 있다고 볼 수 있어
1. 셰일 가스
셰일가스는 진흙에 쌓여 만들어진 퇴적암층인 셰일층에 존재하는 천연가스야.
위 그림과 빨간색으로 표현된 부분을 보면 쉽게 이해가 될꺼야
위 표에서 보듯 북미, 중국, 심지어 유럽에도 미칠듯이 매장이 되어 있었지 근데 몇년 전까지만 해도 이슈가 되지 못했어 왜냐?
바로 생산비용이 많이 들어서 상업성이 없었던 거야 근데 기술개발이 획기적으로 진행되며 이젠 수익이 나는 시점에 이르게 되었지
이 기술은 아래 표로 대체할께 어려우니 혹시 지질학이나 석유공학쪽 전공하는 게이 있음 SSUL 풀어주면 고맙곘다
이렇게 셰일가스가 이슈화 되면서 미국과 중국의 에너지 기업들은 선제적으로 통큰 투자를 하고 있어
에너지 주요소비국인 미국, 중국, 유럽 등은 에너지 안보차원에서도 셰일가스 개발에 적극적이야
몇년 전 러시아와 우크라이나 간 가스요금 분쟁으로 2006년과 2009년 러시아는 가스공급을 중단해버려
러시아의 유럽 가스공급량중 80%가 우크라이나를 경유하는 가스관으로 공급하는데 러시아의 저 조치로 유럽에선 위기감을 느꼈었지
또한 2011년에는 러시아의 이례적 한파로 유럽 가스공급량이 30%감소하여 서유럽 가스대란이 발생한 것도 한 이유가 되었지
이런 셰일가스가 가져올 변화는 크게 3가지로 요약돼
1-1. 저가격 가스 시대의 도래
미국 셰일가스 생산 확대로 미국은 가스 수입국에서 2020년 세계 4위 가스 수출국으로 전환될 것으로 예상돼
이렇게 되면 세계 천연가스 가격이 장기적으로 안정이 되곘지? 세계 LNG수입량에 59%를 차지하는 아시아의 천연가스 가격은
미국의 수출이 본격화되는 2016년 이후 1MMBtu당 11달러 수준에서 안정될 것으로 전망되고 있지
이는 분명 LNG 주 수입국인 일본과 우리나라에겐 좋은 것이지
1-2. 가스원료 중심으로 석유화학 산업 구조가 전환
셰일가스 개발이 본격화된 2006년 이후 북미 석유화학산업은 저렴한 원료를 바탕으로 부흥기에 진입했어
반면 동북아 지역은 고유가로 수익성이 악화되고 있지
이에 따라 향후 석유화학산업은 가스 원료 설비 중심으로 전환될 전망이야
간단히 설명하자면 중동과 북미의 에틸렌 공장은 이미 가스 원료 설비 중심으로 정착된 반면 중국과 우리나라를 비롯한 동북아는
나프타 원료 설비가 대부분을 차지해
위 표를 보면 확연히 드러나지?
이는 무엇을 의미하냐? 셰일가스 가격이 떨어지니 당연히 가스 원료로 석유화학제품을 생산하는게 수익이 늘어나겠지?
그러다 보면 우리나라가 기존 나프타 중심의 설비로 석유화학제품을 만드는 것은 수익성이 떨어지고 경쟁력이 없어지겠지?
그럼 어떻게 해야겠어? 우리나라 석유화학기업은 선택을 해야겠지.. 가스 원료로 생산하는 설비를 대규모로 투자를 해야 될 날이 온다는거야
기존의 석유화학업계의 패러다임이 변하는 거지
1-3. 가스발전 비중 확대
천연가스 가격이 안정화 되면 자연히 그 원료로 발전을 하는 가스발전이 전력수요의 대응방안이 되는건 당연한 거겠지
게다가 가스발전은 온실가스 배출량도 적어서 친환경적이기도 하고 그래서 향후 LNG복합발전 등이 더 확대 될 꺼야
종합해보면 셰일가스는 우리나라 석유화학업계에 큰 변화를 이끌어 올 것이고 이는 그리 긍정적이지 않아 이때문에
우리나라 석유화학업계의 주식이 운지하고 있는 큰 이유가 되기도 하지
또 우리나라 석유화학업계에 Risk는 뭐냐면
2. 중동국가 석유화학 대규모 설비투자
중동 국가들이 석유화학에 대규모 설비투자에 나서고 있다는 점이야
엄청난 오일머니를 바탕으로 에탄가스 생산설비를 증설하면서 가격경쟁력이 우리나라 대비 10% 정도 싸
이게 또 하나 우리나라 석유화학업체에 큰 위협이 되고 있어
반면에 우리나라 플랜트 업체엔 기회지 왜냐 많은 플랜트 수요가 중동에서 생겨나고 실제로 우리나라 플랜트 수주의 반정도는 중동에서
일어나고 있지
종합 결론
종합해보면 우리나라 석유화학 업계에 있어서 머지않은 시기에 큰 패러다임의 변화와 전환점이 올꺼야
1. 셰일가스의 개발 : 미국, 중국 등의 셰일가스 개발에 따른 가스가격의 안정화, 가스원료로 생산한 석유화학제품 가격경쟁력 증가에 따른
기존 우리나라 석유화학업체의 주 원료인 나프타 기반 제품경쟁력 하락
2. 중동 설비 투자 : 오일머니로 화학설비 대규모 증설에 따라 10% 가격경쟁력 우위를 바탕으로 우리나라 석유화학업체에 큰 위협
근데 역발상으로 이런 셰일가스나 중동설비투자는
우리나라 다른 산업엔 웃기게도 기회가 되지
1. 셰일가스를 실어나르는 배를 만드는 조선업
2. 실어나르는 해운업
3. 설비를 만드는 플랜트 건설업
암튼 여기까지 글을 쓰도록 할께
요즘 일베에 중독이 된거 같다 너무 많은 글을 싸질러서 혹시나 거스르는 게이가 있을까봐 걱정이지만 응원해 주는 게이들이 있어서
글을 써봤다. 혹시나 궁금한 산업이나 기업에 대해 의견 있으면 내가 아는 거면 공부도 해서 글을 써볼께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