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정보) 셀트리온 관련 글 : http://www.ilbe.com/1097213856

2. STX가 운지하는 EU : http://www.ilbe.com/1170115246

3. (삼성VSLG) 삼성전자와 LG전자를 숫자를 통해 비교해 보자 : http://www.ilbe.com/1232179977

4. (정보) 우리나라 위기의 해운업과 그 중요성에 대해 알아보자 : http://www.ilbe.com/1255601125

5. (정보) 우리나라 위기의 건설업과 그 중요성에 대해 알아보자 : http://www.ilbe.com/1260372002

6. (정보) 재미로 보는 우리나라 재계 순위 변천사 Since 1997 : http://www.ilbe.com/1263714092

7. (정보) 두산그룹에 대해서 알아보자 1부 : http://www.ilbe.com/1266515561

8. (정보) 두산그룹에 대해서 알아보자 2부 : http://www.ilbe.com/1270940920

9. (정보) 우리나라에서 가장 쉽게 성장한 그룹(SK) : http://www.ilbe.com/1287563150
10. (정보) 우리나라에서 가장 인기없는 롯데그룹에 대해 알아보자 : http://www.ilbe.com/1292835263
11. (정보) CJ가 깡패기업인 EU : http://www.ilbe.com/1293979746

-----------------------------------------------------------------------------------------------------------------------------------------------

오랜만에 다시 위기 산업에 대해 글을 쓰려해 내가 지목했던 우리나라 위기의 산업은 
1. 해운업  2. 조선업  3. 건설업 을 꼽았었지 실제로 이 산업군들에 대한 언론의 관심이 쏠려서 많은 기사들을 쏟아내고 

그 중 해운업, 건설업은 썼었지만 아직 조선업에 대해선 글을 미뤄왔었는데 오늘 마저 쓰려고 한다. 

먼저 우리나라 조선산업의 위상을 한번 살펴볼까?

한중일조선수주량비교.PNG

보면 알겠지만 우리나라는 세계 조선 강국이야 2010년 잠깐 중국에 세계 1위를 내주었지만 일시적이였어

지속적으로 수주량에서 1위를 차지해왔고 지금도 그래 

그리고 더 대단한건 수주량 뿐이 아니라 단가도 중국, 일본을 압도해 이게 무슨 의미냐면 금액/수주량 개념으로 보면

수주의 질이 높다는 것이지 수주질로 보면 중국보다 같은 수주량으로 2012년 기준 84% 금액이 더 높았단 것이고

이에는 우리 기술이 더 높고 고부가가치의 선박들을 수주를 함을 반증해

 
그럼 조선업의 업황을 한번 살펴볼까?

2008년 세계 금융위기가 시작되며 수주량이 운지하기 시작하고 2009년은 거의 수주가 발생을 안하고 발주를 주는 선주들이

저가의 중국업체에 돈을 대며 선박을 건조해 중국이 뜨기 시작했지 그러나 절대량으로 보면 수주량이 지속적으로 하락하여

2012년 수주량은 우리나라 기준으로 보면 2007년 대비 약 23%수준으로 떨어지지

그런데 잘 표를 살펴보면 평균 단가(금액/수주량)를 보면 중국은 지속적으로 떨어지고 있어 

이게 뭘 의미하느냐? 단가를 후려쳐 저가에 수주를 하고 있단 거야 반면 우리나라는 2010년을 정점으로 이후부터는 

평균단가가 상승을 하고 있지 여기서 유추할 수 있는건 기사에도 많이 봤듯 고부가가치 선박 수주를 통해 포르폴리오를 다각화하며

Risk관리에 나서고 있단 거야 

반면 중국은 지속적으로 저가수주에 나서며 상선, Bulk 선등 부가가치가 낮은 선박에 수주에 힘을 쏟으며 중국 업체끼리 제살 깎아 먹듯이

수주에 나서고 이에 많은 업체들이 나가떨어지고 있고 중국정부에서는 조선업 구조조정을 검토하고 있는 상황이야.


그럼 우리나라 Major 조선업체의 상황을 살펴볼까?

국내주요조선사현황.PNG

위 자료는 다트에서 내가 별도재무제표를 보고 작성했어 별도를 본 이유는 현대중공업의 경우 현대오일뱅크 등 비조선실적이 많이 포함되어 객관성이 떨어지기 떄문에 

4사 모두 같은 기준으로 별도재무제표 기준으로 작성을 해봤어 

우선 위 표를 봤을때 우리나라 흔히 얘기하는 빅 3는 선방을 하고 있다는 것을 볼 수 있지. 조선업임에도 불구하고 부채비율이 현대중공업은 107%수준, 

삼성중공업은 지속적으로 개선되어 198.3%, 대우조선해양은 조금씩 악화되어 236.6% 야. 

반면 기술격차가 있어 해양플랜트나 특수선 수주를 못한 STX조선해양은 중국조선업체와의 힘겨운 싸움과 그룹 Risk로 지속적으로 운지하여 무려 부채비율이 

771.5%나 돼. 그래서 현재 산은-채권단과 자율협약을 맺어 구조조정을 앞두고 있지 


먼저 현대중공업을 자세히 보자 

현대중공업.PNG

위 자료는 다트 2013년 1분기 분기실적서의 사업내용을 보고 작성한거야 보면 알겠지만 현대중공업은 사업구조가 다각화 되어 있어 

조선엔진도 독자생산하지 그래서 조선부문의 영업이익률이 지속적으로 하락하는 것을 나머지 부문에서 채워주고 있어 특히 

엔진기계부문은 현대 중공업에 있어 가장 높은 영업이익률로 효자 부문이지 

근데 현대중공업을 보면 알겠지만 지속적으로 전부문의 영업이익율이 낮아지고 있어 이에 따라 주가도 운지한게 회복이 안되고 있지 

왜냐? 미래에 대한 희망이 별로 높지 않기 때문이야


그럼 삼성중공업을 보자 

삼성중공업은 부문별 실적을 공유하고 있지 않아. 그래서 최근 어떻게 수주를 하고 있나 기사들을 보면 대체로 
빅 3중 가장 높은 영업이익률을 자랑하고 있고 세계 최고의 기술력을 보유한 드릴쉽 부분이 업황이 안좋으나 LNG-FPSO분야로
시장 확장을 한 것이 계속적으로 성공을 거두고 있다는 평가야 

그래서 위의 실적에서도 보이듯 올해 1분기 영업이익률이 무려 11.4%에 달하고 '11년도부터 지속적으로 영업이익률이 상승하고 있어
물론 매출도 늘어나고 있어 지금 현상황에서 빅3중 가장 잘 나간다고 보면 돼


그럼 대우조선해양을 보자 

대우조선해양.PNG
영업이익은 공개를 안하고 있으나 보면 알겠지만 대우조선해양은 조선부문을 줄이고 해양특수선사업분야를 늘리고자 노력한 것을 알 수 있지 
그러나 실적을 보면 쉽지 않은 것을 알 수 있어 영업이익률이 2011년 8.4%에서 지속적으로 운지하여 올 1분기 영업이익률은 1.9%에 불과해


하지만 여기서 알아야 될 것이 수주를 하면 통상 배를 건조하여 매출과 수익에 잡히는 시기는 선종에 따라 다르겠지만 최소 2년 이후야 

지금 조선사들의 실적이 안좋은 것은 위 한중일 비교표에서 알 수 있듯 2010년에 저가로 수주에 나선게 이제 잡히기 떄문이야 이건 꼭 알아둬야돼~

그래서 대우조선해양은 2010년 유난히도 저가수주에 많이 나섰기 때문에 실적이 안 좋다고 봐야돼


그럼 이슈인 STX조선해양을 볼까 

STX조선해양.PNG

처참한 수준이야 기술격차가 빅3와 현격히 나는게 위에 실적에서 느껴지지? 특수선 부분의 실적은 거의 없다고 봐도 무방해 게다가 
연결기준으로 나와있어서 사업내용에 크루즈부문이 잡혀 있는데 이건 STX유럽 실적이야 근데 적자지 
엔진도 만들고 있지만 적자.. 모든 사업부문이 적자 투성이야 얼마나 망가진지 알겠지 


그렇다면 중소 조선업체들은 어떨까? 

다시한번 말하지만 우리나라 빅3를 제외하고 타 조선업체들은 기술에 있어서 중국업체들과 기술격차가 크지 않다고 봐야 돼 

그렇기 때문에 중국업체들이 지속적으로 단가를 후려치고 있는 상황에서 고전하고 있고 STX조선해양이 나가떨어진 데는 

중국과 경쟁을 하는 선종이 주력이다보니 가격경쟁이 안되고 수주는 해야되니 울며 겨자먹기로 저가수주를 했지만 곧 실적 운지를 하는 거지 

성동조선도 워크아웃중이고.. 


그래서 종합해서 우리나라 조선업체를 보면

빅 3 : 나름 선방을 하고 있고 삼성중공업은 상당히 잘 나가고 있다 현상황에서 빅3를 보면 삼성중공업>현대중공업>대우조선해양으로 잘 나간다 보면돼 
나머지 : 중국과 힘겹게 가격경쟁을 하며 생존을 위해 노력하고 있지만 쉽지 않아. 해양특수선 분야는 기술벽이 높기때문에 노크하기도 쉽지 않고

결론 : 우리나라 조선업이 힘들지만 빅 3는 선방을 하고 있으나 나머지 조선업체는 생존을 위해 피말리는 경쟁을 중국과 하고 있으나 쉽지 않다


다음에는 현재 주식이 운지하고 있는 화학 업종의 이슈에 대해 글을 써볼까 해 왜냐하면 셰일 가스가 한 몫을 하고 있거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