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정보) 셀트리온 관련 글 : http://www.ilbe.com/1097213856

2. STX가 운지하는 EU : http://www.ilbe.com/1170115246

3. (삼성VSLG) 삼성전자와 LG전자를 숫자를 통해 비교해 보자 : http://www.ilbe.com/1232179977

4. (정보) 우리나라 위기의 해운업과 그 중요성에 대해 알아보자 : http://www.ilbe.com/1255601125

5. (정보) 우리나라 위기의 건설업과 그 중요성에 대해 알아보자 : http://www.ilbe.com/1260372002

6. (정보) 재미로 보는 우리나라 재계 순위 변천사 Since 1997 : http://www.ilbe.com/1263714092

7. (정보) 두산그룹에 대해서 알아보자 1부 : http://www.ilbe.com/1266515561

8. (정보) 두산그룹에 대해서 알아보자 2부 : http://www.ilbe.com/1270940920

9. (정보) 우리나라에서 가장 쉽게 성장한 그룹(SK) : http://www.ilbe.com/1287563150
10. (정보) 우리나라에서 가장 인기없는 롯데그룹에 대해 알아보자 : http://www.ilbe.com/1292835263
11. (정보) CJ가 깡패기업인 EU : http://www.ilbe.com/1293979746
12. (정보) 우리나라 위기의 조선업에 대해 알아보자 : http://www.ilbe.com/1296469334
13. (정보) 우리나라 석유화학업과 이슈들에 대해 알아보자 : http://www.ilbe.com/1297606102
14. (정보) 대한항공이 속한 한진그룹에 대해 알아보자 : http://www.ilbe.com/1304467641
15. (정보) 태양광 산업에 대해 알아보자 : http://www.ilbe.com/1311339719
16. (정보) 전라도 대표기업 금호아시아나그룹에 대해 알아보자 : http://www.ilbe.com/1323292389
17. (정보) 기독교 기업 이랜드에 대해 알아보자 : http://www.ilbe.com/1358029170
18. (정보) STX팬오션 법정관리와 해운산업에 미치는 영향 : http://www.ilbe.com/1370849565
19. (정보) 한화가 대우조선해양 인수할 뻔한 SSUL : http://www.ilbe.com/1389615569
20. (정보) 몰락한 기업 시리즈1(쌍용그룹) : http://www.ilbe.com/1393603380

-----------------------------------------------------------------------------------------------------------------------------------------------

항상 Fact에 근거하여 정보글을 쓰는 입장에서 지금부터 내가 쓰는 글은 조금은 정치적 이슈가 껴있는 문제라 조심스러운 주제다

오늘 쓸 주제는 한화의 대한생명(현 한화생명) 인수에 대한 Behind Story에 대해 써볼까 해 

최대한 간단하게 써보려하니 재미있게 읽어줬음 한다. 


1. 신동아그룹의 해체 그리고 정치외압설(DJ정부)..

대한생명을 얘기하려면 신동아그룹을 말해야돼 신동아그룹을 먼저 알아보자

신동아그룹의 창업자는 1909년 4월 15일 황해도 재령에서 태어난 최성모야. 

해방전 이미 사리원 일대에서 정미업, 주유소, 운수업, 부동산업, 제재소, 제분공장 등 다양한 사업 경험을 통해 부를 축적한 그는
북한의 공산화와 함께 남한으로 내려와 사업을 일으킨 대표적인 이북 출신이 기업가로 알려져 있어

그런그가 사세를 확장해 나가고 1976년 사망을 하자 장남인 최순영이 가업을 승계하게 돼

신동아그룹 최순영 회장.jpg

위 사람이 바로 최순영 회장이야. 1939년생인 그가 기업을 이끌면서 더 큰 성장을 하게 되지

1979년 보유계약액 1조원 달성, 1985년 당시 동양 최고층 빌딩인 63빌딩 준공!(63빌딩은 대한생명꺼, 현재 한화생명)

1991년 말 신동아그룹의 계열사는 대한생명, 신동아화재해상보험, 서비스관광업체인 대생기업, 부동산관리 임대업체 대생개발, 
원양어업 제분업체 동아제분, 대생상호신용금고, 태흥산업 등이 있었어 

그렇게 순항하던 신동아그룹은 갑자기 철퇴를 맞게 돼. 1999년 9월 금융감독위원회는 부채가 자산을 2조 9080억 초과해 정상적인 
경영이 어려울 것이 명백하고 해약증가, 수입모험료 감소, 영업조직 동요와 이탈, 유동성 부족 등으로 영업을 지속하기 어렵다고 
판단해서 신주 인수를 위한 자본금 증가명령과 무상소각하는 자본금 감소명령이라는 초강경 조치를 취한거지 

결국 신동아그룹은 해체의 길을 걷게 된거야 

근데 속내를 한번 들여다보자

1999년 당시 신동아그룹의 총자산은 19조 7000억, 연간 매출액은 9조 2000억이였어 어마했지 
주력사였던 대한생명은 1999년 2월 기준 자산 14조 6800억, 3조 5000억의 유동성 자금, 5만여명의 영업조직, 450만의 계약자를 보유해
매월 5000억의 보험료가 입금되고 있는 회사였어 

근데 당시 대한생명 고위직 임원은 "1998년 7월께 금융당국이 비공식라인을 통해 대한생명의 부실조사에 착수했고 그결과 대한생명이
5000여억을 신동아계열사에 부당 대출한 사실이 드러났는데 2개월 뒤 9월에 갑자기 이 규모가 2조 9000억이 6배가 늘어났다고 했다"고 
기사화 되었었지 

결국 부실계열사에 대한 대출 때문에 부실화되었다는 명분으로 1998년 대한생명은 부실 금융기관으로 지정되었고 공적자금이 투입되어 
매각과정을 밟게 돼 당시 최순영 회장은 1999년 외화 밀반출과 대한생명 부실 책임 등을 이유로 해임되었어 

더 웃긴건 1991년 1월 세상을 떠들썩하게 한 '옷 로비 의혹사건'이야 최순영 회장의 부인인 이형자씨가 남편의 구명을 위해 김태정 검찰총장의 
부인 연정희씨에게 옷을 선물했다는게 요지이지 

김태정.jpg

위 사람이 김태정이야 그 사건이 얼마나 파급이 컸던지 헌정사상 처음으로 특검이 구성되었고 서울지검과 대검에서 연정희씨는 유죄판결을 받아
이에 당시 법무부장관이던 김태정은 보름만에 사임했지 

근데 더 웃긴게 청와대 법무비서관이 '사건처리를 둘러싼 유언비어가 광범위하게 유포되어 있으니 최순영 회장을 구속해 사건을 신속히 
종결해야 한다'는 보고서가 김대중에게 보고된 다음날 아침 1999년 2월 10일 오전 7시에 최순영 회장은 영장도 없이 체포가 돼 

게다가 의견 제출할 기회는 단 1주일 밖에 없었고 불과 한달만에 대한생명은 공적자금 3조 5000억이 투입되고 매각수순에 이르르지..

이런 부분에 대해서 공병호씨는 그의 책 대한민국 기업흥망사에서 이렇게 서술하고 있어

"신동아그룹의 해체과정에서 헐값 계열사 처분으로 누군가는 상당한 이익을 취했을 것이다. 물론 이런 빌미를 제공한 점에서 최순영 회장이
책임을 완전이 면할 수는 없다. 그것은 바로 부실 규모를 말한다. 과욕에 의해 사세를 확장하지도 않았고 외도가 있었던 사람도 아니고, 
사적으로 돈을 유용할 만한 일에 깊이 관여할 사람도 아니었다. 다만 사업을 하는 과정에서 발생한 비용이라 할 수 있다. 그래서 최순영 
회장이 강력히 주장하는 정치적인 외압에 의한 그룹 해체에 힘이 실리게 된다. 얼마든지 정부가 재기의 기회를 줄 수 있었지만 '괘씸죄'가 
작용했다는 생각에 동조하는 사람들이 많다" 

최순영 회장은 또 2009년 3월 월간조선에서 자신의 억울함을 토로해 


2. 대한생명 매각과정

한화의 대한생명 인수과정은 의혹이 너무도 많았어 실제로 노무현 정부에서도 의혹이 끊이질 않았고 2010년 당시 한나라당 이종구 의원이
한화의 대한생명 인수 감사청구권을 요청하기까지 했어

대한생명.jpg

당시 상황을 살펴보면 대한생명이 매각수순에 들어가고 

그해 5월과 6월 한화가 2, 3차 공개입찰에 뛰어들었으나 98년 퇴출된 한화종금 및 충청은행 대주주로서의 부실책임을 이유로 
입찰자격이 박탈됬어 공개입찰이 계속 유찰되자 당시 금감위는 7월 대한생명을 부실 금융기관으로 지정했지 이후 공적자금을 약 3조 5천억 지원했고

근데 입찰자격이 박탈됬던 한화는 이후 금융당국의 지원사격으로 인수적격자로 변모하게 돼 

그과정을 보면(한국일보 2011.6.27 기사 : 대한생명헐값 매각 결론 내용 발췌)

금감위는 99년 말'최근 5년간 부실금융기관의 최대주주 등 부실경영에 관련된 사실이 있는 경우 금융기관 설립을 허가하지 않을 수 있다'는 
설립인허가 지침을 개정, 일정 수준의 경제적 책임을 부담한 경우 이 규정의 적용을 배제토록 했다.
한화는 한화종금에 투입된 공적자금 1조4,794억원 중 1,300억원을 매입, 한화종금 부실책임에서 벗어났다. 

또 한화증권의 선물업 진출 인가 과정에서 불거진 충청은행 부실 책임 문제는 2001년 4월 금감위 및 증권선물위원회(증선위)에서 '외환위기 전후로 퇴출된 5개 은행(충청, 동화, 동남, 대동, 경기은행)은 대주주의 경영참여 및 부실책임이 없는 것으로 포괄의제 한다'는 결론을 내려주면서 면제됐다.

공적자금관리위원회(공자위)가 대생 매각을 재추진키로 의결한 것은 2001년 3월. 한화의 인수 부적격 요인이 모두 해소된 뒤였다. 그 후로는 일사천리였다. 
그 해 8월 '국내외 보험사 또는 보험사가 포함된 컨소시엄에 지분 51% 이상 매각'이라는 방안을 세웠고, 9월에는 대생에 추가로 1조5,000억원에 달하는 
공적자금을 투입했다. 그리고 한 달 뒤 한화컨소시엄은 대생 인수의향서를 단독 접수하고, 이듬해 6월 인수 우선협상대상자로 선정됐다.

이 과정에서도 특혜 의혹이 일었다. 보험업법의 '주요출자자요건'(부채비율 200% 미만)에 한화컨소시엄이 저촉됐기 때문이다. 당시 한화그룹의 부채비율은 232.2%였고, 2002년 3월 ㈜한화 등 3개사가 8,000억원 규모의 분식회계를 한 사실이 적발돼 증선위로부터 징계를 받았다.

이 때문에 공자위 매각심사소위가 '한화컨소시엄 인수 자격 부적격'이라는 내용의 보고서를 작성했지만, 공자위 사무국은 '문제는 있지만 공자위가 판단할
사항'이라고 수정했다. 공자위는 9월 한화컨소시엄에 대생 매각을 최종 의결했으며, 그해 12월 21일 예보는 대생 지분 51%를 8,236억원에 한화에 매각했다.
3조5,500억원의 공적자금이 투입되고 전년도 당기순이익이 9,000억원에 달했던 대생이 헐값에 팔렸다는 비판이 쏟아진 것은 당연했다

2002년 9월 정형근 당시 한나라당 의원은 국회 정무위원회 국정감사에서 한화그룹이 대생 인수를 위해 정관계 로비를 벌였다는 의혹을 폭로했고,
김승연 한화그룹 회장과 김연배 전 한화증권 부회장이 기소됐다. 그러나 결과는 '용두사미'. 김 회장은 3,000만원 벌금형만 받았고, 
김 전 부회장에겐 정치자금법 위반 혐의만 인정됐다. 
한화가 컨소시엄을 이룬 맥쿼리생명과 이면계약을 체결해서 입찰을 방해했다는 혐의에 대해서도 대법원은 2006년 무죄 판결을 내렸다. 
이로써 한화그룹의 대생 인수 과정에서 불거진 모든 특혜ㆍ로비 의혹은 흐지부지 덮어졌다..

3. 내 생각

이래도 한화그룹이 애국보수 기업이라며 빨 수 있을까? 난 아니라 본다.. 알려지지 않은 DJ정부의 수혜기업은 한화다 
금호만 그런거 같지만 한화가 오히려 더 수혜를 입은거다 

당시 한화그룹은 그 우량한 대한생명(3조 5000억의 공적자금 투입)을 8236억에 인수했고 이가운데서 인수시점에 
50%인 4118억을 지불하고 절반은 2년 후에 지불하는 상당히 편향적 계약으로 헐값에 인수를 한거야 

지금 한화생명이 되었지만 지금 한화생명의 총자산 규모는 '12년 6월 말 기준 70조280억원, 
수입보험료는 11조8,322억원(FY2011 기준)으로 생명보험업계 2위(1위는 삼성생명)이야.. 

이래도 한화가 깨끗하고 의리있는 기업이라 할 수 있겠어? 

물론 한화가 천안함 유족들 취업시키고 한 행동은 칭찬받아야 마땅하고 하지만.. 

이 대한생명 인수 스토리를 아는 사람은 한화를 좋아할 수 없다.. 

참고로 최순영회장 감옥생활 10년하고 풀려났다..


3줄요약

1. 신동아그룹은 잘나갔으나 대한생명의 계열사 부당대출과 최순영회장 부인의 옷로비사건으로 그룹이 해체 됨
2. 이에는 여러 의혹이 있으나 정치적 개입에 의한 것이 압도적 정설이며 당시는 DJ정부
3. 한화는 신동아그룹의 주력이자 거의 전부라 할 수 있는 우량 회사인 대한생명을 정부의 지원속에 입찰자격이 박탈됬음에도 불구하고
   결국 8000여억에 그것도 절반만 인수대금 즉시 내고 반은 2년후 내는 조건으로 인수해버림 그게 현재 한화생명..

결론 : 한화가 깨끗하고 의리있다? 최근의 행보는 칭찬받아 마땅하나(천안함 가족 채용 등) 대한생명 인수 사실은 객관적으로 살펴보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