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정보) 셀트리온 관련 글 : http://www.ilbe.com/1097213856

2. STX가 운지하는 EU : http://www.ilbe.com/1170115246

3. (삼성VSLG) 삼성전자와 LG전자를 숫자를 통해 비교해 보자 : http://www.ilbe.com/1232179977

4. (정보) 우리나라 위기의 해운업과 그 중요성에 대해 알아보자 : http://www.ilbe.com/1255601125

5. (정보) 우리나라 위기의 건설업과 그 중요성에 대해 알아보자 : http://www.ilbe.com/1260372002

6. (정보) 재미로 보는 우리나라 재계 순위 변천사 Since 1997 : http://www.ilbe.com/1263714092" target="_blank">http://www.ilbe.com/1263714092

7. (정보) 두산그룹에 대해서 알아보자 1부 : http://www.ilbe.com/1266515561

8. (정보) 두산그룹에 대해서 알아보자 2부 : http://www.ilbe.com/1270940920

9. (정보) 우리나라에서 가장 쉽게 성장한 그룹(SK) : http://www.ilbe.com/1287563150
10. (정보) 우리나라에서 가장 인기없는 롯데그룹에 대해 알아보자 : http://www.ilbe.com/1292835263
11. (정보) CJ가 깡패기업인 EU : http://www.ilbe.com/1293979746
12. (정보) 우리나라 위기의 조선업에 대해 알아보자 : http://www.ilbe.com/1296469334
13. (정보) 우리나라 석유화학업과 이슈들에 대해 알아보자 : http://www.ilbe.com/1297606102
14. (정보) 대한항공이 속한 한진그룹에 대해 알아보자 : http://www.ilbe.com/1304467641
15. (정보) 태양광 산업에 대해 알아보자 : http://www.ilbe.com/1311339719
16. (정보) 전라도 대표기업 금호아시아나그룹에 대해 알아보자 : http://www.ilbe.com/1323292389
17. (정보) 기독교 기업 이랜드에 대해 알아보자 : http://www.ilbe.com/1358029170
18. (정보) STX팬오션 법정관리와 해운산업에 미치는 영향 : http://www.ilbe.com/1370849565
19. (정보) 한화가 대우조선해양 인수할 뻔한 SSUL : http://www.ilbe.com/1389615569

-----------------------------------------------------------------------------------------------------------------------------------------------

요즘 정보글을 쓰며 느끼는 점은 이게 내 삶에 하나의 낙이 되었다는 거다. 퇴근하고 피곤하더라도 과거에는 티비보며 낄낄대거나 
그냥 일베만 눌렀었는데 요즘 이것저것 자료도 찾고 글도 쓰며 많은 게이들의 의견도 듣고 내가 몰랐던 것도 많이 배우고 매우 재미가 있다 

그러던 어느날 아 몰락한 그룹에 대해서 글을 써보면 어떨까 싶었다. 그래서 몇가지 내가 아는 지식을 기반으로 자료를 찾아보며 더 공부해서
기업의 몰락사에 관한 글을 써보기로 했다. 어떻게 성장을 했는지 보다는 어떻게 망했는지 위주로 글을 써야 교훈을 얻고 또 재미가 있을 것 같아서
그 방향으로 글을 써볼꺼다. 그 시리즈의 첫번째는 바로 "쌍용"그룹이다. 가볍게 써보겠다.
쌍용그룹.jpg


1. 쌍용그룹의 전성기 위엄

이 링크에 내가 썼듯이 쌍용은 1997년 재계 6위에 달하는 재벌이였다. 당시 쌍용의 계열사를 살펴보면

(주)쌍용 : 쌍용그룹의 모기업이자 무역회사(GS그룹이 인수하여 GS글로벌)
쌍용양회 : 잘 알다시피 시멘트업체로  실질적 알짜회사로 지주회사역할을 했으나 그룹해체 이후 채권단이 40% 이상 지분 보유, 일본 태평양시멘트 27% 지분 보유
쌍용자동차 : 그룹해체의 원흉... (대우가 인수 - 대우그룹 워크아웃 - 채권단 인수 - 중국국영기업 상하이치쳐에 인수 - 법정관리 - 인도 마힌드라 인수)
쌍용건설 : 해외건축사업에 강점을 가진 잘나가는 건설회사(시공업체 순위 13위나 현재 워크아웃 중) 쌍용일가 김석준이 CEO나 고용된 바지사장.. 
남광토건 :  워크아웃 이후 회생하는듯 했으나 최근 법정관리..
쌍용제지 : 한때 P&G에서 인수하였으나 나중에 벌도법인으로 설립, 전문용지 제조업체
쌍용정유 : 정유업체였으나 그룹해체로 아람코에서 인수하여 현재 S-OIL
쌍용투자증권 : 미국의 H&O AP에 매각, 이후 굿모니증권 - 현재 신한금융투자로 합병
쌍용화재 : 흥국생명에 인수 된후 현재 흥국화재
쌍용중공업 : 당시 CFO인 강덕수가 인수하여 STX로 출범
쌍용정공 : 그룹 분리 후 심팩(프레스제조기업)
쌍용정보통신
용평리조트 : 세계일보(통일교)에 매각


위를 보면 알겠지만 하는 사업이 
시멘트 , 건설사업, 자동차사업, 제지사업, 중공업, 프레스사업, 증권, 보험에 엄청난 용평리조트까지.. 
알짜 사업군들을 대게 많이 보유하고 있었지 

현재 4대 그룹과 비교해도 오히려 더 괜찮은 사업구조야  자동차를 뺴도 상당히 알짜사업들이 많고 정유까지 하니.. 


2. 쌍용그룹의 몰락

쌍용그룹의 엄청난 성장에는 사실 창업주인 김성곤 회장의 역할이 컸어 게다가 김성곤 회장은 박정희 각하와 절친한 사이였지 게다가 그는 정치를 했어
공화당 내 실력자란 소리까지 들었으니깐..

아무튼 쌍용그룹은 1940~50년대에는 면방직, 보험, 무역 1960년대 시멘트, 제지, 해운 1970년대 정유, 중공업, 종합상사, 건설
1980년대 컴퓨터, 증권, 자동차까지 우리나라 산업의 흐름과 거의 맥을 같이 하며 성장을 해왔었지

그러던 쌍용의 몰락은 사실 모 여러요인이 있겠지만 난 전적으로 공병호씨의 의견에 공감을 해 그는 대한민국 기업흥망사란 책에서 쌍용그룹이 
그동안의 성과를 뒤집은 결정은 석원 회장이 그룹 성장동력을 자동차 사업에서 찾은 일이라고 표현했지 

김석원.jpg

위 사람이 김석원회장이야. 그는 자신의 취임 20주년에(당시 나이 51세) 미래의 유망산업인 자동차 산업을 중심으로 자동차 부품, 엔진, 섬유직기 등
종합기계산업을 그룹 주력 업종으로 키우겠다고 밝혀 

당초의 계획은 4년에 걸쳐 3조원을 투자하여 연산 30만대 규모의 종합 자동차메이커로 도약하는 것이었어 

근데 사실 쌍용그룹은 1986년 10월 1일, 삼성그룹과 효성그룹 등이 참여한 동아자동차 인수전에서 승리하여 자동차사업에 이미 뛰어들었었어
당시 한 기사에선 쌍용자동차의 앞날에 대해 쌍용자동차가 우리 자동차 업계에서 굳게 자리를 잡을수 있을지 아니면 영원히 군소회사로 전락할지
2~3년 안에 결판날 것이 확실하다고 전망했지 

계속된 과도한 투자와 IMF가 겹치면서  그룹계열사의 지원이 그룹계열사의 동반 부실과 그룹해체로 이어지고 만거야 

사실 왜 그지경이 되도록 쌍용은 자동차에 그렇게 집착을 했을까? 

그룹내에서도 자동차 사업을 조기에 정리해야 한다는 의견이 우세했었지만 김석원 회장 자신이 자동차에 대한 애착을 버리지 못했고 자동차 사업에 
건실한 그룹계열사들이 물려 들어가는 상황이 벌어진거지.

여기서 우리는 큰 교훈을 얻을 수 있어 얼마나 그룹이나 기업의 오너의 판단력이 중요한지.. 
최근의 STX운지나 웅진그룹의 운지에서 봐도 오너의 판단이 얼마나 중요한지 볼 수 있었자나 

근데 난 개인적으로 더 웃긴건  STX야.. 쌍용출신인 강덕수가 어떻게 쌍용이 무너지는지 봤으면서 또 피부로 느꼈으면서도 어떻게 이렇게 
쌍용과 같은 케이스로 무너지는지.. 

3. 에필로그 

김석원 회장은 자동차에 투자를 하면서 웃긴건 1996년 15대 국회의원으로 정계에 진출했었다는 거야 
기업경영이란 본업을 망각하고 정치를 한거지 

1997년부터 쌍용자동차 부실문제가 본격화되고 IMF로 인한 그룹 유동성 문제가 불거지고 나서야 1998년 2월 국회의원직을 사퇴하고
그룹회장으로 복귀하나 이를 어째? 이미 다 일은 터져버렸는데 

그렇게 쌍용그룹은 해체 되어 갔고 김석원 일가는 쓸쓸히 모든걸 내려놓았고 김석원 회장 둘째아들은 자살까지 했어.. 


4. 결   론

1. 쌍용그룹은 정말 알짜 사업군을 많이 가진 재벌기업이였음 
2. 하지만 김석원 회장의 자동차산업에 대한 집착과 정치겸업이란 외도로 그룹이 해체되고 말아 (IMF도 있었음)
3. 우리가 여기서 배워야 될 교훈은 다음 두가지 
    1) 그룹이나 기업 오너의 잘못된 판단이 얼마나 큰 피해를 주는지 그리고 중요한지
    2) 잘할 수 있는 것에 집중하자 


긴 글 읽어줘서 고맙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