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랜만에 정보글을 쓴다. 


요즘 너무너무 덥고 사무실에서도 2시부터 4시까지는 에스컬레이터도 가동을 안할 정도로 

전력난이 심하단 것을 피부로 느끼면서 과연 왜? 이렇게 전력난이 심화됬을까? 


막연하게만 기사로 접하던 것을 한번 공부해보고 그것을 공유해보면 좋겠다 싶어서 키보드를 치고 있어 

조금 길지 모르겠더라도 한번 정독해보면 막연히 윤상직 산업통상자원부 장관을 욕하는 사람들을 반박할 수 있을꺼라 생각해 


우선 이 글을 쓰기에 앞서 내가 제시하는 거의 대부분의 자료는 2013년도 2월에 지식경제부가 발간한 제6차 전력수급기본계획이란

문건에 나오는 것임을 밝힐께 


급한 게이는 밑에 3줄 요약만 봐도 될꺼다


1. 전력수급기본계획이란?


전력수급기본계획은 쉽게 말해 2년 마다 전력수급 안정을 위해 전력수요를 전망하고 수요관리 목표를 수립하고 적정예비율을 감안하여

발전소 건설계획, 신재생에너지 비율 등 정채방향을 제시하는 지식경제부에서 주관하는 매우 중요한 계획이자 PJT라 할 수 있어

(현재는 산업통상자원부)


이런 목표가 수립되면 이를 기반으로 인가받은 발전소를 발전사업자가 건설하여 운영하게 되지 

이런 전력수급계획에 승인을 받아야 민간발전사업자(포스코, 동부. STX에너지 등)가 건설을 할 수 있는거야 물론 공공발전사업자(남동발전, 서부발전 등)도

마찬가지겠지?


2. 전력소비현황



전력소비량 세계순위.png 전력설비규모세계순위.png


위 자료를 보면 우리나라는 세계 8위의 전력소비량을 자랑하지 경제규모에 비해 소비량이 높음을 알 수 있지?

이는 우리나라가 전력을 많이 사용하는 제조업의 비중이 높은 것에 기인해 


근데 문제는 전력소비량은 8위이지만 전력설비규모는 세계 13위에 불과해 게다가 예비율은 다른 선진국들이 25%를 넘는 것에 

비교하면 우리나라는 10% 미만의 예비율을 보여 


즉 현재 전력설비가 매우 부족한 상황임을 위 자료로서 쉽게 알 수 있지 



그렇다면 우리나라 전력 소비의 현황은 어떨까?


부문별전력판매량비중.png


사실 우리나라의 전력소비에 있어 대부분이 산업에 활용돼 그 비중은 '11년도 기준으로 72%를 상회하지 

가정용 비중은 약 17%에 불과한데 최근 절전을 강조하며 가정 에어컨 사용을 자제하는 캠페인을 벌이고 산업통상자원부 장관이 

국민 호소문까지 발표한 것은 바로


최대전력및기본부하분야별비중.png


위 자료를 보면 알겠지만 주택용 일반용의 경우 하계 피크시 전력사용량이 상당히 많이 느는 것을 알 수 있어 

하계 에어컨사용이 늘거나 동계에 온풍기 사용이 늘면 전력의 양이 거의 1.5배로 늘기때문이야 


물론 절대사용량에 있어 그 양은 산업용보다 낮은건 분명하지만 말야


연도별하계동계최대수요.png

위 그래프를 보면 알겠지만 2011년의 하계 동계 최대수요는 2002년과 비교했을때 약 1.7배 정도 커진 것을 알 수 있어 



3. 전력난의 이유는?


전력수요예측및실적.png


위자료를 보면 알겠지만 최근의 전력난은 바로 전력 수요 예측을 훨씬 상회하는 실질 전력사용량이지 


전력설비용량을 늘리기 위해서는 발전소를 지어야 돼 그 발전소의 에너지원 형태에 따라 

원전, 화력, LNG, 수력, 양수발전소 같은 형태가 될 것이고 


근데 이런 발전소를 짓기위해선 상당히 많은 시간이 걸려 왜냐면 

공사기간도 기간이지만 그 부지를 매입하고 그 과정에서의 지역주민과의 갈등을 봉합해 가는데 많은 대화와 시간이 필요하기 때문이야 


통상 화력발전소를 상업운전하는데 약 5년정도(최소)라고 보면 돼 


근데 2006년에 수립한 제 3차 전력수급계획에서의 수요예측이 잘못되었기 때문에 지금까지 그 파급이 있다고 보면 돼 


연도별 예비력 예비율추이.png


위자료를 보면 알겠지만 공급능력 예비율은 점차 낮아지고 있어 약 3.8%에 불과해('12년도 기준)

일례로 '12년도에 총 75회의 수급경보를 발령하고 수요관리에 약 3860억의 지출을 했어 (준비 63회, 관심 10회, 주의 2회)


그럼 왜 이렇게 수요가 늘었을까?


3-1. 경제성장

경제성장률과전력소비량증가율비교.png

위 그래프와 같이 경제성장률과 전력소비량 증가율은 매우 흐름이 비슷해 

우리나라의 경제성장이 지속적으로 이루어졌기에 당연히 전력소비량이 늘었지


3-2. 산업구조


우리나라는 GDP중 제조업의 비중이 다른 선진국에 비교해 매우 높은 편이야 

제조업은 다른 산업보다 전력을 많이 소비하지 


* 실제로 제조업 전력소비량은 농업이나 서비스업의 약 3배를 초과한다고 해


3-3. 생활환경의 변화


핵가족화 심화, 주택증가, 가전기기 보급의 확대로 전력 소비량이 매우 늘었어


가구별 전기사용량 비교.png

위 자료를 보면 알겠지만 1인가구의 전기사용량이 다인가구의 1인 전기사용량보다 훨씬 높음을 알 수 있지?


3-4. 타에너지원에서 전환수요 증가


전기요금과물가비교.png

위 그래프를 보면 알겠지만 등유나 도시가스 가격은 매우 높아지나 상대적으로 전력가격은 그대로야 

그래서 다른 에너지원에서 전기로 수요가 옮겨오는 현상이 발생을 해 


에를 들면 예전에는 등유를 때는 온풍기를 사용했다면 등유보다 전기가 더 싸니 전기 온풍기를 떼는 원리라 보면 돼 


3-5. 냉난방 수요증가 


최근 이상기온으로 여름에는 무지 덥고 겨울엔 무지 추운 날씨가 지속되어 그에 맞게 

에어컨과 온풍기의 구입이 늘고 그만큼 전력사용량이 증가하게 되었지 



그럼 수요 말고 공급부족의 원인은 어떤게 있을까?


앞서 설명한 전력수급계획의 수요예측 오류 외에 


두번째로 당초 수립한 수급계획 대비 발전소의 준공이 지연되거나 취소되는 사례가 증가한 것을 들 수 있어 

'13년도 가동예정이었던 4,150MW 설비의 준공이 지연되거나 취소가 되었다고 해 


이는 지역이기주의의 탓이 크다고 볼 수 있지 화력발전에 대한 이미지가 안좋고 님비현상으로 자기지역에 발전소를 짓는 것을

원치 않기에 계속 발전소 건설 계획이 늦어지게 된데 기인한게 크다고 봐 개인적으로


마지막으론 알다시피 최근 원전 납품비리 등 여러 문제로 원전의 가동이 중단된게 무엇보다 큰 이유야 



4. 기타 에필로그


우리나라 전력 부문별 비중은 어떻게 될까?


연말기준원별발전설비규모.png


'12년도 기준으로 우리나라에서 가장 높은 비중을 차지하는 발전설비는


석탄-LNG-원자력순이야 



그럼 우리나라 전기요금은 비싼걸까?


전기요금 국제비교.png


우리나라 가정용 전기요금은 주요 선진국 심지어 OECD평균과 비교해도 매우 낮은 편이야 


가정만 싸느냐? 아니 산업용 역시 매우 싸 



마지막으로 우리나라 전기 품질은 어떨까?


전기품질국제비교.png


자료를 보면 알겠지만 우리나라의 전기품질은 거의 세계 최고 수준을 자랑해 

한전 다니는 게이 있을지 모르겠지만 한전이나 한전 KPS 게이들은 자부심이 크다 왜냐?


자기들의 기술에 대한 자부심이 있기때문이지! 그리고 그 자부심은 근거가 있어 




진짜 마지막으로 세줄요약


1. 우리나라 최근의 전력난에는 많은 요인들이 작용한 복합적 결과


2. 수요의 증가

    - 경제성장, 산업구조(제조업기반), 생활환경변화(1인가구 증가, 주택증가, 가전기기보급 확대), 타에너지원에서 전환수요 증가(전기값이 쌈)

      이상기온으로 냉난방 수요 확대 등


3. 공급의 부족

    - 전력수급계획 수요예측 판단미스, 발전소 준공 지연 및 취소, 원전가동 중단 및 고장의 증가 



긴 글 읽어줘서 고맙다 


-------------------------------------------------------------------------------------------------------------------------------------

1. (정보) 셀트리온 관련 글 : http://www.ilbe.com/1097213856

2. STX가 운지하는 EU : http://www.ilbe.com/1170115246

3. (삼성VSLG) 삼성전자와 LG전자를 숫자를 통해 비교해 보자 : http://www.ilbe.com/1232179977

4. (정보) 우리나라 위기의 해운업과 그 중요성에 대해 알아보자 : http://www.ilbe.com/1255601125

5. (정보) 우리나라 위기의 건설업과 그 중요성에 대해 알아보자 : http://www.ilbe.com/1260372002

6. (정보) 재미로 보는 우리나라 재계 순위 변천사 Since 1997 : http://www.ilbe.com/1263714092

7. (정보) 두산그룹에 대해서 알아보자 1부 : http://www.ilbe.com/1266515561

8. (정보) 두산그룹에 대해서 알아보자 2부 : http://www.ilbe.com/1270940920

9. (정보) 우리나라에서 가장 쉽게 성장한 그룹(SK) : http://www.ilbe.com/1287563150
10. (정보) 우리나라에서 가장 인기없는 롯데그룹에 대해 알아보자 : http://www.ilbe.com/1292835263
11. (정보) CJ가 깡패기업인 EU : http://www.ilbe.com/1293979746
12. (정보) 우리나라 위기의 조선업에 대해 알아보자 : http://www.ilbe.com/1296469334
13. (정보) 우리나라 석유화학업과 이슈들에 대해 알아보자 : http://www.ilbe.com/1297606102
14. (정보) 대한항공이 속한 한진그룹에 대해 알아보자 : http://www.ilbe.com/1304467641
15. (정보) 태양광 산업에 대해 알아보자 : http://www.ilbe.com/1311339719
16. (정보) 전라도 대표기업 금호아시아나그룹에 대해 알아보자 : http://www.ilbe.com/1323292389
17. (정보) 기독교 기업 이랜드에 대해 알아보자 : http://www.ilbe.com/1358029170
18. (정보) STX팬오션 법정관리와 해운산업에 미치는 영향 : http://www.ilbe.com/1370849565
19. (정보) 한화가 대우조선해양 인수할 뻔한 SSUL : http://www.ilbe.com/1389615569
20. (정보) 몰락한 기업 시리즈1(쌍용그룹) : http://www.ilbe.com/1393603380
21. (정보) 한화의 대한생명 인수SSUL(Feat 김대중) : http://www.ilbe.com/1412110740
22. (정보) 몰락한 기업 시리즈2(삼성에서 분리된 새한그룹) : http://www.ilbe.com/1419158473
23. (정보) 몰락한 기업 시리즈3(진로그룹) : http://www.ilbe.com/1447046238
24. (정보) 현대 '왕자의 난' 그리고 현대건설을 인수할 뻔한 현정은 : http://www.ilbe.com/1459911780
25. (정보) 만약 범삼성, 범현대, 범LG가 각각 뭉친다면 어떨까 : http://www.ilbe.com/1486551089
26. (정보) 현대차가 기아차를 인수한 과정 그리고 삼성의 자동차 산업 : http://www.ilbe.com/1527109995
27. (정보) 애플의 성공신화를 우리나라가 막을 수도 있었던 EU : http://www.ilbe.com/153456378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