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GM정보 : 브금저장소 - http://bgmstore.net/view/VHBnQ

 

mbc보도.png

 

안녕~  최근 8시 뉴스와 일베 글에 흥미가 생겨서

 

어제  수요-공급 디플레이션(물가하락)을 썼고

 

오늘은 2부 통화 디플레로 일베 글을 쓰려고 해.

 

 

 

 

목차는

 

1. 통화와 물가

 

2. 통화 디플레이션

 

3. 디플레이션 악순환

 

4. 우리나라 상황

 

이렇게 쓸 생각이야.

 

 

 

 

1. 통화와 물가

 

가치저장.gif

일단 먼저 통화(돈)의 기능을 말하자면

 

돈은 상품의 교환수단, 가치의 기준, 가치의 저장이란

 

크게 3가지 기능을 해주는 중간 매개체야.

 

 

 

 

 

인플레통화량.jpg

 

그리고 통화(돈) 공급량의 증가와 물가 상승률은

 

매우 비슷한 곡선을 그리고 있어.

 

 

 

 

교환기능.gif

 

그 이유는 돈은 상품의 가치를 가격으로 표현해주는 것으로

 

상품은 그대로라도 표현수단인 돈의 수량에 따라 가격은 변하게 되어 있어.

 

 

예를 들어 설명하자면

 

포카칩 10개를 돈 1만원에 샀다면 개당 천원이고

 

포카칩 10개를 돈 2만원에 샀다면 개당 2천원이야.

 

 

 

 

물가.gif

 

위의 예를 한나라에 대입하면

 

모든 상품(총생산량)에 대응되는 모든 돈(총통화량)의 비율을 물가라고 할 수 있어.

 

 

 

 

 통화량그림2.gif

예를 들어 한나라의 모든 상품이 포카칩 10개 뿐인데

 

돈의 수량이 만원에서 8천원으로 줄어든다면

 

포카칩 가격은 개당 1000원에서 800원으로 낮아질 수 밖에 없어.

 

 

즉 총생산량이 그대로인데 총통화량이 줄어들면

 

짤과 반대로 물가하락이 발생하는 것이야.

 

 

 

 

 

통화승수2.jpg

 

그러면 돈 많이 찍어서 통화 공급량이 꾸준하면 쉽겠네? 싶지만

 

자본주의 화폐는 실제 돈(본원통화)보다 부채(광의통화)로 구성되어 있어. ㅎㅎ

 

 

우리나라 통화는 진짜 돈이 74조원이고  통장 상의 돈(m2=대출)이 1660조원으로 (2010년 기준)

 

 

 

 

 

광의통화.jpg

 

ebs 다큐에서 [돈은 빚이다.] 라고 제목을 쓸 정도로

 

자본주의는 대출로 구성된 세상이라 할 정도야. ㅋㅋ

 

 

 

 

 

금장이이야기.png

 

이것은 화폐의 역사인 금세공업자의 보관증 통수에서

 

시작하는데, 귀찮아서 생략하고 (ㅎㅎ;;)

 

 

 

 

지급준비율ebs.png

 

 걍 은행이 은행 금고에 있는 돈보다

 

10배 이상 대출을 해서 이자 많이 먹으려고해서 그런 것이야.

 

 

 

 

현행지급준비율.jpg

 

실제 지급준비율(금융기관의 예금총액에 대한 현금준비 비율. 예금=대출임.)

 

은 10%가 아니고 3~4%로

 

 

 

 

통화승수.jpg

 

본원통화 찍으면 대출이 25배 정도로 부풀려진다고 해. ㄷㄷ 

 

다만 지금은 대출 증가율이 줄어드는 추세야.

 

 

아 그리고 대출 증가율 둔화는 통화 공급량 둔화이라고 했고

 

디레버리징(부채감축)으로 대출 증가율이 마이너스가 되면

 

통화 공급량도 마이너스가 될거야. 그러면 물가하락이지. ㅎㅎ

 

 

 

 

1. 통화와 물가

 

1) 돈은 가치의 척도(기준)으로, 상품은 불변이여도 기준인 돈이 변하면 상품의 가격은 변함.

 

2) 한나라의 모든 상품(총생산량)에 대응하는 모든 돈(총통화량)의 비율이 물가라 할 수 있음.

 

3) 통화량의 대부분은 대출로 구성되고 대출 둔화는 곧 통화 공급량의 둔화임.

 

 

 

 

2. 통화 디플레이션

 

디플레정의.png

 

디플레이션의 사전 정의에 따르면

 

통화량과 디플레(물가하락)는 밀접한 관련이 있다고 해.

 

 

 

 

피셔디플레이론.jpg

 

경제학자 어빙 피셔의 연구에 따르면

 

 

 

 

 

미국대공황.jpg

 

통화 디플레이션은 자산시장의 대운지(일본 버블붕괴, 미국 대공황)으로 시작되며

 

 

 

 

 

부채디플레.png

 

부동산이나 주식시장의 운지 이후, 금융의 신용경색이 발생하는데

 

 

이는 가계와 기업이 악성부채(자산은 운지해도 빚은 그대로)로 대출 여력이 없고

 

은행은 돌려받지 못한 부실채권(파산=대출금 회수불가)로 부실해져서 대출심사가 까다로워

 

양쪽 모두 대출을 만들기 어려운 구조가 생기는 것이야.

 

 

 

 

 

일본자산붕괴부채감축.jpg

 

 

일본이 대표적인 디플레이션 사례로 25년간 대출 증가율은 바닥이고

 

마이너스 대출증가율(부채감축)을 자주해서 총통화량이 줄어들지 않았나 싶어. ㅋㅋ

 

 

 

 

 

통화그래프.jpg

 

짤과 반대로 통화량이 줄면  화폐가치가 상승하고

 

화폐가치의 상승은 상품과 돈의 교환비율을 낮추어서

 

가격이 하락하는 것이야. (상품 1 : 돈 3-> 상품 1 : 돈 1)

 

 

 

 

일본디플레이션.png

 

그래서인지 일본의 대출 증가율 마이너스 년도랑

 

일본의 소비자물가 증가율  마이너스 년도랑 매우 비슷하다고 생각함. ㅎㅎ

 

 

 

 

 

한국일본통화량.jpg

 

그리고 한국과 일본의 광의통화(M2=대출) 증가율을 보면

 

우리나라는 7~15% 수준의 증가율을 보였고

 

일본은 0~3.2%로 매우 낮은 증가율을 보이고 있어.

 

 

 

 

돈맥경화.jpg

 

 

버블붕괴와 디플레이션으로

 

일본 가계, 기업들은 대출 받아 더 많은 생산, 투자, 소비를 할 생각이 없고

 

예금을 걍 은행에 쌓아두어, 노는 자금만 넘쳐나는 중이라고 생각해.  

 

 

일본에 부동자금이 186조(1860조원)이라니 어마어마한 금액인 것이지. ㄷㄷ

 

 

 

 

자산디플레.jpg

자산시장이 대운지하면 가계,기업,은행은 악성부채가 쌓이고

 

악성부채는 신용경색을 만들어서

 

 

돈이 경제에 원활하게 돌지 못하게 만들어 버리고

 

그때문에 소비, 생산, 투자가 위축되면  바로 경제 침체로 이어지는 것이야.

 

 

 

 

2. 통화 디플레이션 요약

 

1) 부채 디플레이션은 자산시장의 운지->신용경색->부채감축->통화량 감소->물가 하락으로 이어진다고 함.

 

2) 신용경색과 부채감축은 통화 공급량 운지와 통화량 축소를 만듬.

 

3) 일본이 좋은 사례로 25년 간 대출&통화 증가율이 매우 낮고, 부채감축과 물가하락이 자주 발생했음.

 

 

 

 

3. 디플레이션 악순환

 

디플레이션그림.jpg

디플레이션은 경제의 운지행 열차로

 

실제 사례가 몹시 적지만 미국 대공황과 일본의 잃어버린 20년으로

 

아주 유명하다고 생각해.

 

 

 

 

디플레악순화2.jpg

 

디플레이션 악순환이 무서운 이유는

 

자기강화(self feeding)의 하향적 악순환으로

 

 

 

 

디플레인플레.gif

 

소비자는 물가하락을 기대해서 구매를 연기해 소비가 줄고

 

기업은 재고 증가와 가격하락으로 기업수익이 급감하고

 

 

 

 

 

대공황의원인.jpg

 

 

기업 수익의 감소는 실업의 증가를 만들어서

 

소비감소를 만들고 소비감소는 생산감소를 만드는 연쇄작용이 발생한다고 해.

 

 

 

 

수요디플레.png

 

이게 맞나 모르겠지만, 총수요의 감소는 총공급의 감소를 만들고

 

총공급의 감소는 총수요의 감소를 만든다고 보여. ㅎㅎ

 

 

 

 

디플레2.png

 

그리고 디플레이션은 화폐적 현상이 여러가지 발생하는데,

 

물가하락으로 빚의 실질가치가 올라 부채부담이 증가한다고 해.

 

 

예를 들어 설명하자면 치킨값이 만원에서 5천원으로 낮아지면

 

100만원 빚=치킨 100마리인데, 디플레면 100만원 빚= 통닭 200마리가 되는거지.

 

 

그런 부채의 실질가치 상승은 빚이 많은 가계와 기업에 매우 안좋게 작용한다고 해.

 

 

 

 

돈맥경화.jpg

 

또 디플레이션은 저축을 만드는데, 이는 실질이자율의 상승 때문이야.

 

 

예를 들자면 명목이자 4% - 물가상승률 3%면 실질이자는 1%인데

 

디플레면 명목이자 1% +물가하락 2%로 실질이자가 3%가 되는 것이야.

 

 

 

디플레악순환.jpg

 

저축의 증가는 투자의 증가로 이어지면 좋은데, 디플레는 자산의 하락을 만들어서

 

투자를 유발하지 못하고, 소비의 감소만 유발된다고 해. ㄷㄷ

 

 

또 명목임금은 그래도인데, 물가하락이 발생하면

 

고용의 실질비용이 증가해서 고용의 감소와 더 많은 해고를 유발한다는 말이 있어.

 

 

 

 

엔달러환율변동.jpg

 

그리고 디플레이션은 환율도 바꾸는데

 

환율이  A나라 돈과 B나라 돈의 교환비율이라

 

 

B나라는 그대로이고 A나라의 통화량이 줄어들면

 

돈의 가치가 상승해 평가절상이 발생하는 것이야.

 

 

일본이 엔달러 환율이 150엔에서 75엔 까지 된 적이 있어. ㅎㅎ

 

 

 

 

 

일본디플레.jpg

 

그래서 일본이 디플레에서 탈출하고자 여러가지 노력을 했는데

 

디플레 악순환은 강력한 블랙홀이라 일본이 20년 이상 잡혀있었어. ㄷㄷ

 

 

 

 

 미국본원통화.png

 

 미국도 2008년 부동산 붕괴로 디플레이션을 겪을 뻔 했는데

 

4천조원의 강력한 양적완화로 탈출할 정도로 디플레는 무시무시한 힘이야.

 

 

 

 

 3. 디플레이션 악순환

 

1) 디플레 악순환은 자기강화의 하향적 악순환의 연속임.  총수요의 감소는 총공급의 감소를 유발하고 총공급의 감소는 총수요의 감소를 유발함.

 

2) 자산가치의 하락으로 투자수익을 망치고, 실질 부채를 늘려서 경제를 쇠퇴시킴.

 

3) 디플레이션은 블랙홀 같은 면모가 있어서 탈출하기 어렵고 어마어마한 추진력이 필요함.

 

 

 

 

 

4. 우리나라 상황

 

통화유통속도.jpg

 

 우리나라 통화유통속도가 낮아지고 있어서

 

 통화 공급량이 줄어들어서 디플레 가능성이 나오고 있었는데

 

 

 

 

 

한국은행통화정책.jpg

 

 한국은행, 정부 등에서 강력하게 경기부양책을 시행하고 있고

 

 

 

 

한은발권력.png

 

 양적완화는 결코 아니지만

 

 어느정도 발권력도 발휘하고 있어서

 

 

 

 

 

최근통화량.png

 

통화 공급량이 3개월 연속 높은 증가세를 보이고 있다고 해. ㅎㅎ

 

통화주의 이론에 따르면 디플레 가능성은 낮게 생각되고

 

3~6개월 후 쯤에 물가가 조금 상승할거 같아.  

 

 

 

 

 

주택담보대출증가율.jpg

 

 통화 공급량 증가는 주택담보대출의 증가와

 

 

 

 

 

가계대출증가율.jpg

 

 건설투자가 늘어서 그런걸로 생각해. ㅋㅋ

 

 

 

 

 

요즘경제.jpg

 

 우리나라 경제는 부동산 쪽에서 좋아지는 기미가 보이고 있고

 

 아직 소비에서 나쁜 상황인데, 경기부양책이 통한다면 소비도 좋아지지 않을까 싶어.

 

 

 

 

 

위기모형.png

 

 다만 우리나라도 부채 디플레이션 가능성이 있어서

 

 중국과 미국 동향을 예의주시해야한다고 생각해. ㅎㅎ

 

 

 

 

4. 우리나라 상황 요약

 

1) 한국은행과 우리나라 정부의 경기부양책으로 3개월 연속 통화공급량이 높은 상황임.

 

2) 부동산 쪽에서 대출 증가가 발생하고 있음. 통화량 증가의 원인.

 

3) 하지만 부채 디플레이션 가능성이 있어서 중국과 미국의 변화를 예의주시해야할듯.

 

 

 

 

1) 우리나라

3. http://www.ilbe.com/4081542235 (묻재업) 우리나라 경제의 문제점과 미래에 대해 araboja

5. http://www.ilbe.com/4114054257 한국 부동산의 미래에 대해 araboja

7. http://www.ilbe.com/4151711269 (묻재업) 통일의 경제성에 대해 araboja

15. http://www.ilbe.com/4422201759 2015 통일대전 가능성을 araboja

16. http://www.ilbe.com/4505824616 (묻재업) 주가가 떨어진 이유를 araboja

21. http://www.ilbe.com/4754358858 우리나라 가계부채 문제를 araboja

26. http://www.ilbe.com/5016791079 우리나라의 일본화(化)를 araboja

34. http://www.ilbe.com/5193555870 우리나라 경제가 어려운 이유를 araboja

36. http://www.ilbe.com/5223112925 (묻재업) 우리나라 정부부채와 복지 그리고 증세 문제를 araboja

44. http://www.ilbe.com/5371230230 우리나라 자원외교를 araboja

14. http://www.ilbe.com/4370585322 (묻재업) 인구와 경제의 관련성을 araboja

 

2) 미국

11. http://www.ilbe.com/4222789599 미중 경제전쟁을 araboja

12. http://www.ilbe.com/4279400243 (묻재업) 천조국의 경제 동향을 araboja

13. http://www.ilbe.com/4316149843 (묻재업) 미국 양적완화 종료를 araboja

28. http://www.ilbe.com/5072760817 (묻재업) 미국의 경제회복을 araboja

 

3) 중국

4. http://www.ilbe.com/4087029015 중국 부동산 운지 가능성에 대해 araboja

19. http://www.ilbe.com/4659931226 중국 경제 동향을 araboja

22. http://www.ilbe.com/4839769784 최근 중국의 주가급등을 araboja

27. http://www.ilbe.com/5036537981 중국의 버블을 araboja

33. http://www.ilbe.com/5164372416 중국의 부동산 침체를 araboja

46. http://www.ilbe.com/5410036727 (묻재업) 중국의 최근 경제동향을 araboja
59. http://www.ilbe.com/5571702133 중국 경제의 이상현상을 araboja

 

4) 일본

1. http://www.ilbe.com/4061949641  (묻재업)일본 운지 가능성에 대해 araboja

2. http://www.ilbe.com/4065586303 아베노믹스에 관하여 araboja

20. http://www.ilbe.com/4701440558 아베노믹스를 다시 araboja

42. http://www.ilbe.com/5342896265 (묻재업) 아베노믹스의 그늘, 아베겟돈을 araboja

 

5) 유럽

8. http://www.ilbe.com/4173005326 (경제) 유로존 문제에 대해 araboja

24. http://www.ilbe.com/4948453305 우리나라가 스페인을 추월한 이유를 araboja

25. http://www.ilbe.com/4995348953 유라시아 경제권과 러시아 경제위기를 araboja

30. http://www.ilbe.com/5113881979 그리스의 유로존 탈퇴 가능성을 araboja

31. http://www.ilbe.com/5130053215 (묻재업) 유럽의 양적완화를 araboja

39. http://www.ilbe.com/5283047028 영국 경제와 부동산 버블을 araboja

 

6) 아메리카 대륙

18. http://www.ilbe.com/4634850286 아르헨티나 디폴트를 araboja

29. http://www.ilbe.com/5092789093 브라질의 경제흥망을 araboja

40. http://www.ilbe.com/5293938860  베네수엘라 경제운지를 araboja (Hellgate)

47. http://www.ilbe.com/5420806045 캐나다 경제를 araboja
52. http://www.ilbe.com/5489681967 (묻재업) 브라질의 경제운지를 araboja (pokdong)

55. http://www.ilbe.com/5527817623 아르헨티나 경제운지를 araboja

58. http://www.ilbe.com/5566884654 (묻재업) 칠레 경제를 araboja

 

7) 기타

6. http://www.ilbe.com/4140267534 (묻재업) 세계경제 위기 가능성에 대해 araboja

9. http://www.ilbe.com/4187842437 (묻재업) 디플레이션에 대해 araboja

10. http://www.ilbe.com/4198412139 (묻재업) 하이퍼 인플레이션에 대해 araboja

17. http://www.ilbe.com/4564563490 (묻재업) 셰일가스와 세계경제 변화를 araboja

45. http://www.ilbe.com/5391543753 (묻재업) 이란 경제와 미국과의 핵협상을 araboja  

49. http://www.ilbe.com/5450536830 우크라이나 내전과 경제운지를 araboja  
54. http://www.ilbe.com/5510073050 미국의 금리인상과 화폐전쟁 음모론을 araboja
 
 
 
3줄 요약
 
1. 화폐의 상품의 가치척도로 화폐의 수량에 따라 상품의 가격이 변화함. 통화량 축소는 물가 하락의 원인일 수 있음.
 
2. 자산시장 운지로 신용경색과 부채감축이 발생하면, 통화량 축소가 생겨 디플레이션이 생길 수 있음.
 
3. 디플레이션은 자기강화의 하향식 악순환으로 매우 무서움. 일본이 20년간 디플레 블랙홀에  빠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