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브금 출처 : https://bgmstore.net/view/upHDR)
안녕~ 오늘은 초등교사 임용대란으로 글을 쓸 생각이야.
글이 많이 짧은데, 이점 양해 바랄게~
목차는
1. 초등교사 임용대란
2. 임용대란과 저출산
3. 교사 증원 문제
이렇게 쓸 생각이야.
1. 초등교사 임용대란
올해 초등교사 선발 예정 인원은
작년에 비해 크게 감소해서 (2017)

서울지역 티오가 작년의 1/8이고
경기지역은 절반 가까이 감소했어. (2017)
그 결과 올해 신규 임용대기자 수가
엄청나게 증가해서 (2017)
교육대학생들이 크게 반발하는 중이야. (2017)
초등교사 선발 인원이 갑자기 감소한 이유는 (2017. 서울시)
교육청의 교원 수급조절 실패 때문으로 (2017)
그동안 임용시험 합격자 수를 너무 많이 늘렸고 (2014)
경기침체로 인해 휴직자의 복직이 늘었으며 (2017. 대구시)
명예퇴직 신청 교사 수가 크게 줄어든 게 원인인 것 같아. (2016)
뭐 어쨌든 초등교사 임용대기자 수가
4천 명에 달하는 상황으로 (2017)
강원, 전남, 울산 지역을 제외하면
선발되기 더 어려워졌고 (2017)
(신문사 자료별로 숫자가 약간씩 다름.)
서울, 경기지역 임용대기자 수가
많아졌다고 해. (2017)
1. 초등교사 임용대란 요약
1) 2018학년도 초등교사 선발인원이 절반 가까이 감소함.
2) 초등교사 임용대기자 수가 크게 증가해서 4천 명에 달하고 있음.
3) 임용대란의 이유는 명퇴자 감소로 인한 수급조절 실패로 보임.
2. 임용대란과 저출산
초등교사 임용대란의 근본적인 원인은
우리나라의 저출산 문제 때문에 (2017)
초등학생 수가 엄청나게 감소한 게
원인이라고 생각해. (2016)
우리나라의 초등학생 수는 저출산으로 인해
무시무시하게 줄어들었고
그로인해 교사 1인당 학생 수가 크게 감소해서 (2016)
교사를 굳이 더 안 뽑아도 되는 상황에
이르게 된 것이야. (2017)
또 우리나라의 신생아 수 감소 속도를 보면 (2017)
머지않은 미래에 교사 1인당 학생 수가
북유럽 수준에 도달하고 (2017)
학생 수보다 교직원 수가 더 많은 학교가
크게 늘어날 것으로 전망되고 있어. (2016)
2. 임용대란과 저출산 요약
1) 출산율 감소로 인해 초등학생 수가 급격히 감소하고 있음.
2) 학생 수 감소로 교사를 많이 뽑을 이유가 약해지고 있음.
3) 미래에는 교사 1인당 학생 수가 OECD 평균보다 적을 것 같음.
3. 교사 증원 문제
최근 공공부분 비정규직의 정규직 전환 이슈로 (2017)
기간제 교사의 정규직화 가능성이 있고 (2017)
교원을 3만 명 증원한다고 해서
교사 수가 더 늘어날 수 있어. (2017)
청년실업 문제 해결이라는 정책의 취지는 이해하나 (2017)
매년 학생 수가 3% 이상 감소하는 현 시점에서 (2016. 서울시 기준)
교사 수를 더 늘리는 것은 조금 위험하다고 생각해. (2017)
현재 우리나라 교육계는 이런저런 교육정책으로
시도교육청 부채가 눈덩이처럼 불어나는 중이라 (2017)
교직원 인건비 부담을 더 늘리는 것은
안 좋다고 봐. (2017)
(교사는 명예퇴직을 신청해도 예산이 없어 반려되는 경우가 많음.)
마지막으로 고령 교사의 명예퇴직을 장려하면
교원 충원 문제가 많이 달라지겠지만 (2016)
그럴 경우 사학연금 부담이 증가해서
문제라고 생각해. (2016)
3. 교사 증원 문제 요약
1) 기간제 교사의 정규직화, 교원 3만 명 증원 가능성이 있음.
2) 정책 취지는 이해하나, 예산 부담이 심할 것 같음.
3) 학생 수가 감소하는 현 상황에서 교사 증원은 좀 우려스러움.
과거글 링크 : https://www.ilbe.com/9916487405
3줄 요약
1. 초등교사 선발인원이 절반 가까이 감소해서 임용대란 문제가 발생함.
2. 임용대란의 근본적인 이유는 저출산으로 인한 학생 수 감소로 보임.
3. 학생 수 감소로 인해 교사 1인당 학생 수가 프랑스, 영국보다 적어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