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브금 출처 : https://bgmstore.net/view/t2AOI)


표지.jpg


안녕~ 오늘은 공무원 소득으로 글을 쓸 생각이야.


글이 많이 짧은데, 이점 양해 바랄게~






목차는


1. 공무원 수


2. 공무원 소득


3. 공무원 연금


이렇게 쓸 생각이야. 






1. 공무원 수


20110809_서울.jpg


우리나라의 공무원 수는 조금씩 증가해서 


100만 명 이상으로 (2011)







공무원수_20140127_중앙.jpg


교육, 지방행정, 치안 업무에 많이 종사하고 있어. (2014)







20150306_디지털타임즈.jpg 


공무원 수 통계는 경호공무원, 국가정보원 직원,


군인, 군무원 등을 제외한 수치로 (2014)







20140820_세계.jpg


실질적인 공무원 수는 100만 명보다 


훨씬 많은 편이야. (2014. 직업 군인 수)







OECD 공무원 수.jpg


우리나라의 공무원 통계 기준은


해외 선진국들과 매우 다른 편으로 







공무원수_20170608_한경.jpg


국제노동기구(ILO)의 통계 기준을 안 써서


조금 아쉽다고 생각해. (2017)







1. 공무원 수 요약


1) 우리나라의 공무원 수는 2014년 기준으로 백만 명 이상임. 


2) 교육, 지방행정, 치안업무에 공무원이 집중되어 있음. 


3) 우리나라의 공무원 수 통계는 국제노동기구의 통계 기준을 안 따름. 







2. 공무원 소득


직급_20170719_서울신문.jpg


공무원의 소득은 직급별로 크게 다르고 (2017)






직급_20141111_머니투데이.jpg


직종별로도 매우 다르지만 (2014)







월평균_20170425_연합.jpg


공무원의 월평균 소득이 500만 원 대로 (2017)







직장인상위14%_20161227_kbs.jpg


공무원이면 직장인 상위 14% 안에 


들어간다고 해. (2016)







서울시_20160706_한겨레.jpg


소득이 낮은 9급 공무원 수가 (2016. 서울시)







공무원_201604_이데일리.jpg


전체 공무원의 70%라


이렇게 높게 나와서 조금 의아한데 (2016)







교사급여.JPG


우리나라의 교사 급여가 


굉장히 높은 점이 한몫하고 







호봉_20140924_머니투데이.jpg


공무원의 호봉과 (2014)







수당_20120105_서울신문.jpg

각종 수당들이 원인으로 보이고 있어. (2012)






소득분포_201405_한경.jpg


이런 이유로 월 400만 원 이상의


고소득 공무원이 굉장히 많고 (2014)







대기업_20160428_조선.jpg


공무원의 월평균 소득이 


대기업에 준하는 편이야. (2016)







청년구직자_20160703_YTN.jpg


또 이렇게 공무원이 좋은 직업이다 보니


청년 구직자의 50%가 공시족으로 (2016)







htm_20160316_중앙.jpg


되기 힘들다는 것을 알면서도 


공무원에 많이 도전을 하고 있어. (2016)







2. 공무원 소득 요약


1) 공무원의 소득은 직급, 직종, 호봉, 추가 수당 등의 차이가 있음. 


2) 공무원의 월평균 소득은 5백만 원 대로 대기업과 비슷함. 


3) 월 400만 원 이상을 받는 고소득 공무원이 생각보다 많이 있음. 







3. 공무원 연금


연간비용_201707_중부.jpg


공무원 1명에 들어가는 연간 비용은 


1억 원 이상으로 굉장히 높다고 해. (2017. 납세자연맹 기준)







소득대체율_20140120_동아.jpg 


공무원 유지비가 비싼 이유는 


공무원 연금이 한몫 하는데 (2014)







공무원연금_20140528_동아.jpg 


퇴직 후 월 200만 원 이상의 연금을 


받기 때문인 것 같아. (2014)







국가부채_20170405_조선.jpg 


공무원연금은 국가부채의 


핵심 중의 핵심으로 (2015)







연금_201504_서울신문.jpg 


공무원연금 충당부채가 500조 원 이상이라고 해. (2015)







정부부채_20160716_서울경제.jpg


우리나라의 국가부채가 적어서 


괜찮다고는 하지만 (2016)







20140922_세계.jpg

공기업 부채 등을 포함하면 


제법 늘어날 것 같아. (2014)







연금적자_20140918_한국일보.jpg


뭐 어쨌든 퇴직공무원 수 증가 등의 여파로


공무원연금 적자가 꾸준히 증가 중이라 (2015)








재정수지_170718_이데일리.jpg

재정수지 균형은 나중에


무너질 것으로 전망되고 있어. (2017)







연금개혁_20150530_동아.jpg


이런 문제 때문에 2015년도에 


공무원연금 개혁을 한번 하긴 했는데 (2015)







연금개혁_20140120_동아.jpg


고령화-저출산의 현 상황을 보면


미래에는 일본처럼 공무원연금 제도가 폐지될 것 같아. (2014)







3. 공무원 연금 요약


1) 공무원 1인당 연간 유지비는 1억 이상이라고 납세자연맹이 주장함. 


2) 공무원 유지비가 비싼 이유에는 공무원연금 제도가 크다고 봄. 


3) 공무원 연금충당부채는 국가부채의 절반 정도로 매우 높음. 







과거글 목록 : http://www.ilbe.com/9881728541







3줄 요약


1. 우리나라의 공무원 수는 백만 명 이상이고 교육 공무원이 제일 많음. 


2. 공무원의 소득은 직종, 직급별로 크게 다르지만, 월 평균 5백만 원임. 


3. 공무원연금 제도가 매우 좋아서 공무원의 실질소득이 더 높다고 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