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브금 출처 : https://bgmstore.net/view/EJJ5t)


표지.jpg


안녕~ 오늘은 소고기 수입으로 글을 쓸 생각이야.


글이 많이 짧은데, 이점 양해 바랄게~






목차는


1. 소고기 소비


2. 소고기 수입 비중


3. 우려사항 


4. 내 생각 


이렇게 쓸 생각이야. 






1. 소고기 소비


소고기_20150417_조선.jpg

소고기는 우리나라 사람들이 


돼지고기, 닭고기 다음으로 많이 먹는 고기로 (2015)






열량.jpg

고기 속에 단백질과 지방이 적당한 비율로 있으며 







영양소.jpg


각종 영양소가 풍부하게 있는 


좋은 고기라고 해. 







비교_201204_매경.jpg


다만 소고기는 돼지고기, 닭고기에 비해 


가격이 많이 비싸서 (2012)







20160201_동아.jpg


소비량 증가가 매우 느린 편이고 (2016.02)







20160419_데이타뉴스.jpg


우리나라의 소고기 소비량이 


해외에 비해 꽤 적은 편이야. (2016.04)







육류_20161225_한겨레.jpg

다만 아시아권에 비교하면 


우리나라의 육류소비가 많아서 (2016.12)







SSI_20160415_서울.jpg


서양과 남미 사람들이 고기를 많이 먹어서 


생긴 착시현상으로 생각해. (2016.04)







1. 소고기 소비 요약


1) 소고기는 돼지고기, 닭고기 다음으로 많이 먹음. 


2) 소고기 가격이 비싸서 그런지 소비량 증가율이 많이 낮음. 


3) 우리나라의 소고기 소비량은 OECD 평균 이하임. 







2. 소고기 수입 비중


수입량_20170416_농민.jpg


우리나라의 소고기 수입은 꾸준히 증가해서 (2017.04)






소비량_20170202_부산.jpg

지금은 한우보다 수입소고기를 


2배 가까이 더 먹고 있는 편이야. (2017.02)







자급률_20170202_kbs.jpg


우리나라의 소고기 자급률은 40% 이하로 (2017.02)






자급률_201702_매경.jpg


2016년도에 자급률이 크게 떨어져서 


30% 후반 대라고 해. (2017.02)







도매가격_2016.jpg


소고기 자급률이 크게 떨어진 이유는


한우 가격이 너무 많이 올랐기 때문으로 (2016)







20151025_조선.jpg


한우와 수입소고기의 가격 격차가


심하게 벌어져서 







maxresdefault (1).jpg


수입소고기 소비가 크게 증가해서 그런 것이야. (2015)







가격전망_2016.jpg

(출처 : 한국농촌경제연구원)


한우 가격이 올라간 이유는 


한우 사육두수가 감소했기 때문으로 (2016)







201607_농림부.jpg 


농민들이 가격경쟁 대신 


고급화 포지션을 취하는 것 같아. (2016.05)

 






순위_20170703_한경.jpg


뭐 어쨌든 수입소고기의 국가별 비중은 


미국산이 약간 더 많은 편으로 (2017.03)







순위_20170108_MBC.jpg


미국산 소고기가 2017년도부터


점유율 1위를 기록하고 있다고 해. (2017.01)







2. 소고기 수입 비중 요약


1) 수입소고기의 점유율이 갈수록 증가해서 60% 이상임. 


2) 한우 비중이 감소한 이유는 한우 가격의 급상승 때문임. 


3) 수입소고기는 미국, 호주산 비중이 굉장히 높음.







3. 우려사항 


20170304_동아.jpg


한우의 고급화 포지션으로 


축산농가의 소득이 증가한 점은 좋았으나 (2017.03)







사육두수_20160716_서울경제.jpg


한우 사육두수가 갈수록 줄어들어서 (2016.07)







maxresdefault.jpg


조금 우려가 되는 편이야. 







170125_농민.jpg


한우 가격이 비싸서 소비자들이 


한우 소비를 줄이고 있는데 (2017.01)






관세_코트라.JPG

호주산, 미국산 소고기의 관세율이 


매년 조금씩 인하되고 있어서 (2016)







수입단가_2016.jpg


수입소고기의 가격 경쟁력은 


점점 더 높아질 수가 있어. (2016)







AKR201704_연합.jpg

(2017년 2월 기준) 


이렇게 되면 수입소고기의 수입이 더 늘어나게 되고 (2017.04)







냉장_20170704_농민.jpg


신선도가 높은 냉장소고기의 수입이 늘어나


한우의 위치를 위협할 것 같아. (2017.04)







3. 우려사항 요약


1) 한우 사육두수가 갈수록 줄어들고 있는 게 아쉬움. 


2) 관세율 인하로 수입소고기의 경쟁력이 점점 더 높아지고 있음.


3) 냉장소고기 수입 증가로 한우의 입지가 줄어들 수 있음.






4. 내 생각 


최근_20170601_kbs.jpg


한우 소비는 계속 줄고 수입소고기 소비는 


크게 증가 중이라 (2017.06)







170125_농민.jpg


한우의 가격 인하가 필요하다고 생각해. (2017.01)







20141117_한국일보.jpg


한우 가격이 비싼 이유는 영세농가가 많아 (2014.11)







대량생산.jpg


대량생산체계가 안 되어 있는 게 


중요한 문제인데 







20160502_농정.jpg

이 문제는 한우 농가수가 크게 줄어야 해서


어려운 것 같아. (2016.05)







유통비용_20130130_한국일보.jpg

그다음으로 가격의 40% 이상을 차지하는 


유통비용이 문제인데 (2013)







유통구조2.gif


복잡한 유통구조를 단순화해서 


가격을 줄였으면 좋겠어. 






20130124_농민.jpg

마지막으로 우리나라도 이런 문제를 


개선하려고 하고 있는데 (2013)







201012_농어민.jpg

그게 잘 안 되고 있는 것 같아서


안타깝다고 생각해. (2010.12)







4. 내 생각 요약


1) 한우도 돼지, 닭처럼 대량생산 체계로 갔으면 좋겠음.


2) 유통비용이 매우 높아서 유통비용을 줄였으면 좋겠음. 







과거글 링크 : https://www.ilbe.com/9850546560







3줄 요약


1. 한우 가격이 너무 올라서 소고기 수입이 크게 증가 중임.


2. 국내산보다 수입산 소고기의 소비가 더 많아졌음.


3. 소고기 수입은 미국산이 48%, 호주산이 42%로 미국산이 1위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