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브금 출처 : https://bgmstore.net/view/LFvfq)


모습.jpg


안녕~ 오늘은 105mm 차륜형 자주포로 글을 쓸 생각이야.


글이 많이 부실한데, 이점 양해 바랄게~







목차는


1. 105mm 차륜형 자주포 소개


2. 차륜형 자주포 문제점


3. 105mm 차륜형 자주포 성능


이렇게 쓸 생각이야. 






1. 105mm 차륜형 자주포 소개


설명.jpg

105mm 차륜형 자주포는 105mm 견인포에


기동성을 부여한 무기체계로 







105mm견인포.jpg


양품의 105mm 견인포와







k721.jpg

K721 5톤 제독차 신품과 


결합해서 만든 것이야. 






korea_4.jpg


우리나라에 105mm 견인포가 


2천문 정도 있고 






20111008_조선.JPG

(대부분 노후탄이라 재생 작업이 필요함.)


105mm 포탄이 340만발 있어서







모형.jpg


버리기 조금 아까운 편이라 


차륜형 자주포를 개발했다고 해.  







준비.jpg

(포 방열 : 견인포, 자주포, 박격포의 사격 준비)


105mm 견인포를 차량형 자주포로 쓰게 되면 


고된 포 방열 작업을 덜해도 되고 







인원.jpg


운용인원을 크게 줄일 수 있으며







20111108_세계.jpg


이동준비시간, 초탄발사속도, 방열소요시간 등이


줄어드는 장점이 있는 편이야. (2011)







1. 105mm 차륜형 자주포 소개 요약


1) 105mm 견인포와 5톤 트럭을 합친 게 국산 차륜형 자주포임. 


2) 105mm 견인포와 포탄을 버리기 아까워서 만들었다고 함. 


3) 차륜형 자주포를 쓰면 병사들이 편해지고 기동성이 좋아짐. 







2. 차륜형 자주포 문제점


요르단.jpg


차륜형 자주포는 요르단,






베트남.jpg


베트남, 






네덜란드자주포.jpg


네덜란드 등에서 많이 써서


우리나라도 써볼 만 한데 





시제품2011년완성.jpg

2011년에 시제품을 완성하고 


지금까지 보류했었어. 







옛날.jpg


보류한 이유는 105mm 견인포와 포탄이


너무 오래돼서 







신형포탄.JPG


재생 작업에 돈이 은근히 많이 들어가고







모형.jpg


자주화 개량비용에 


문당 7억 원이 소요되는데 






K-55_20110920_세계.jpg


9억 원이면 K-55 자주포를 만들 수 있어서 


돈 낭비가 아니냐? 는 문제가 있다고 해. ㅋㅋ (2011)







박격포.JPG

 

또 120mm 박격포의 화력이 


105mm 야포보다 훨씬 더 좋아서 







자주박격포.jpg

돈이 조금 더 들어가더라도 120mm 자주박격포 사업을 


더 하는 쪽이 좋다는 말이 있어. 







최근2.jpg


뭐 어쨌든 105mm 차륜형 자주포는 


운용 평가를 계속 하는 물건으로 (2017)







최근.jpg


운이 좋으면 올해부터 


855대가 양산될 수 있다고 해. ㅎㅎ (2017)






2. 차륜형 자주포 문제점 요약


1) 노후포탄 재생사업을 생각하면 생각보다 경제적이지 않음. 


2) 자주화 개량 비용이 문당 7억 원인데, 2억 원을 더 보태면 K-55가 나옴.


3) 120mm 자주박격포 사업에 집중하는 게 더 좋을 수 있음. 







3. 105mm 차륜형 자주포 성능


삼성.jpg


105mm 차륜형 자주포는 


삼성 테크윈에서 개발했으나 






한화_2015_매경.jpg


삼성 테크윈이 한화로 넘어가서


지금은 한화 테크윈의 제품이야. (2015)







소개.jpg


105mm 차륜형 자주포의 성능은 사거리 11km,


분당 10발 사격, 운용인원 5명 등으로







안모습.jpg

(K721 트럭의 최대속력은 시속 85km)


성능이 조금 후지다고 생각해. ㅋㅋ







기능.jpg

뭐 어쨌든 105mm 차륜형 자주포는 


자동 시스템이 잘 되어 있어서 







컨트롤.JPG

(2명이 차 안에 있어서 3명이서 운용함.)


야포를 운용하는 게


편리하다고 알려져 있어. 







고정.jpg


105mm 차륜형 자주포는 지지대 덕분에


방열 작업이 상당히 쉽고







포탄수납.jpg


60발의 포탄을 바로 옆에서 


꺼내 쓰는 구조야. 






모습2.JPG


마지막으로 105mm 자주포의 성능이 


조금 후진 게 아쉽지만 







전체샷.jpg


차륜형 자주포가 있으면


장병들에게 도움이 될 것 같은지라 







기관총.jpg


105mm 견인포를 차륜형 자주포로 


빨리 바꾸었으면 좋겠어. ㅎㅎ 






3. 105mm 차륜형 자주포 성능 요약


1) 최대 사거리 11km, 분당 10발 사격, 최고속력 시속 85km임.


2) 견인포를 좀 더 편하게 쓸 수 있는 정도라고 함. 


3) 자동사격통제시스템, 복합항법시스템 등도 탑재했음. 






과거글 링크 : https://www.ilbe.com/9815011854







3줄 요약


1. 105mm 견인포와 5톤 트럭을 합쳐서 차륜형 자주포를 만들었음. 


2. 105mm 견인포의 수량이 많아서 만들었고, 855대 양산을 고려중임. 


3. 가성비에 문제가 조금 있는 편이라 어떻게 될지 모르겠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