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브금 출처 : https://bgmstore.net/view/o9A2T)


표지.jpg


안녕~ 오늘은 미국 금리인상으로 글을 쓸 생각이야.


글이 많이 부실한데, 이점 양해 바랄게~






목차는


1. 미국 금리인상


2. 미국 금리인상 영향 


3. 우리나라의 가계부채


4. 대책마련 필요성 


이렇게 쓸 생각이야. 






1. 미국 금리인상


2008년금융위기.jpg


2008년 미국발 경제위기로 


낮아졌던 미국의 기준금리는 






금리_20170615_한경.jpg


2015년 말부터 조금씩 인상 중으로 (2017.06)







금리_20170615_파이넨셜.jpg


이번 6월 15일에 한차례 


금리인상을 단행해서 (2017.06)







금리_20170615_머니투데이.jpg


미국과 한국의 기준금리가 


같아지게 되었어. (2017.06)







리스크_20170524_헤럴드.jpg


미국의 금리인상은 전문가들이 우려하는 


금융 리스크 중 하나로 (2017.05)







대책_20170615_mbc.jpg


지금은 별 영향이 없지만 (2017.06)







금리_20170616_디지털타임즈.jpg


2017년도 하반기에는 한국과 미국의 


금리가 역전될 수 있어서 (2017.06)







한국은행.jpg


한국은행이 추후에 금리를 


인상할지도 모르는 상황이야. (2017.06)







영향_201706_매경.jpg


그래서 오늘은 미국의 금리인상과 


그에 따른 영향으로 글을 쓰려고 해. (2017.06)







1. 미국 금리인상 요약


1) 미국은 2008년 경제위기 때문에 기준금리를 크게 낮추었음. 


2) 최근 금리인상을 꾸준히 해서 한국과 미국의 금리가 비슷해졌음. 


3) 미국의 금리인상은 한국 경제에 위험요인으로 여겨지는 편임. 







2. 미국 금리인상 영향 


전망_20170316_국민.jpg

우리나라의 금리보다 


미국의 금리가 더 높아지면 (2017.03)







sh01020301.gif

금리역전 현상이 발생해서


자본유출이 생길 수 있는데 






금리역전_20050812.jpg

이럴 경우 우리나라 경제에 안 좋은 


영향을 끼칠 수가 있어. (2005)







역전_20170616_중앙.jpg


하지만 2005~2007년 금리역전 시기에


별 일 없었고 (2017.06) 






20170615_서울경제.jpg


우리나라 경제가 비교적 우량한 편이라 (2017.06)







자본유출_20170318_mbc.jpg


자본유출의 가능성은 비교적 약한 편이야. (2017.03)







영향_20170615_동아.jpg


뭐 어쨌든 미국의 금리인상은 금융시장 불안이라는 


부정적인 충격이 가능한 이야기로 (2017.06)






영향_201706_매경2.jpg


신흥국에 나쁜 영향을 끼칠 수 있어서 


우리나라의 수출에 안 좋을 수 있고(2017.06)







대출_20170316_kbs.jpg


미국 금리인상 때문에 우리나라의 대출금리가


슬금슬금 올라가서 (2017.03) 







부동산.jpg

(전문가 설문조사)


투자수요 위축으로 부동산 시장에 


안 좋은 영향을 끼칠 수도 있다고 해. 







영향_20161215_서울신문.jpg

이렇게 미국의 금리인상은 


우리나라에 이런 저런 영향이 예상되므로 (2016.12)







대응_20170615_글로벌이코노믹.jpg


우리나라 정부는 대응방안을 


충분히 마련해야 할 것 같아. (2017.05)







긴축_20170615_서울경제4.jpg


미국의 다음 금리인상은 


12월쯤이 유력한 편이라 (2017.06)







역전_201703_한경.jpg


대응 준비에 필요한 시간은 


충분하다고 봐. (2017.03)







2. 미국 금리인상 영향 요약


1) 한미 금리역전이 발생하면 자본유출이 생길 수도 있음. 


2) 우리나라 금융시장 불안 가능성이 있으나 확률은 낮은 편임.


3) 대출금리 상승으로 인한 부동산시장 위축 가능성도 있음. 







3. 우리나라의 가계부채


대출_20170221_세계.jpg


우리나라는 가계부채가 1300조 원을 넘었고 (2017.02)






가계부채비율.jpg

가계부채 비율이 비교적 높아서 (2012)







부실_20161016_서울경제.jpg


가계부채 문제가 비교적 심각한 편이야. (2016.10)







건전_20170518_중앙2.jpg


다만 우리나라의 가계부채는 


상위계층에 집중되어서 (2017.05)







건전_20170518_중앙.jpg


별 문제가 없을 수 있는 편이고 (2017.05)







고정금리_20161212_중앙.jpg


미리미리 고정금리와 분할상환으로 


대출구조를 바꿔놔서 


큰 문제가 없을 수 있다고 해. (2016.12)







부실_201606_한경.jpg


하지만 우리나라의 한계가구가 


비교적 많은 상태이고 (2016.06)







원리금상황비율.jpg


소득 대비 원리금 상황비율이 


정부 목표치를 초과해서 (2017)







부실_20161102_조선.jpg

생각보다 문제가 많이 있는 편이야. (2016.11)







부실_20161216_서울경제.jpg


부동산시장에 다주택자 대출이 많고 (2016.12)







부실_20161030_한경.jpg


비은행권 부채비율도 잠재적 변수이며 (2016.10)







부실_20161221_조선.jpg


자영업자의 높은 부채비율도 


큰 변수라고 생각해. (2016.12)







3. 우리나라의 가계부채 요약


1) 우리나라의 가계부채는 1300조 원을 넘었고 부채비율이 높음. 


2) 부채 대부분을 고신용 상위계층이 가지고 있는 점은 다행임. 


3) 다만 한계가구, 비은행권 부채, 자영업자 부채 등의 변수가 많음. 







4. 대책마련 필요성


대출_20170613_브릿지경제.jpg


미국 금리인상의 여파로


은행들이 대출금리를 조금씩 올리는 중으로 (2017.06)







대출금리_I201706_뉴스토마토.jpg


이게 꽤나 거슬릴 수 있는 문제라고 생각해. 







이자_20170316_한겨레.JPG


대출금리 상승으로 가계의 이자부담이 


수백만 원씩 증가할 수 있는데 (2017.03)







 전망_20170316_파이넨셜.jpg

미국의 금리인상은 앞으로 


꽤 많이 할 것으로 예상되어서 (2017.03)







부담_20170615_세계.jpg


미국 금리인상의 여파로 가계부채 문제가


터지지 않도록 대책을 마련할 필요가 있다고 봐. (2017.06)






대책_20170526_매경.jpg


그래서 정부와 국회는 가계부채 대책을 


빨리 마련해야 하고 (2017.05)







재테크_20170616_경향.jpg


가계도 대출구조를 개선했으면 좋겠으며 (2017)







재테크_20170612_매경.jpg

미국 금리인상 시기를 별 문제 없이 


잘 넘겼으면 좋겠어. ㅎㅎ (2017.06)







4. 대책마련 필요성 요약


1) 미국 금리인상으로 은행들이 대출금리를 조금씩 올리고 있음. 


2) 미국의 금리인상은 앞으로 꽤 많이 할 것으로 예정되어 있음. 


3) 가계부채 문제에 대한 대책을 마련할 필요성이 있음. 






과거글 링크 : https://www.ilbe.com/9815011854






3줄 요약


1. 미국이 금리인상을 해서 한국과 미국의 기준금리가 비슷해졌음. 


2. 미국 금리인상으로 자본유출이 발생할 수 있으나, 가능성이 낮음. 


3. 은행 대출금리가 오르면 가계경제와 부동산 시장에 악영향이 있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