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브금 출처 : https://bgmstore.net/view/o9A2T)
안녕~ 오늘은 미국 금리인상으로 글을 쓸 생각이야.
글이 많이 부실한데, 이점 양해 바랄게~
목차는
1. 미국 금리인상
2. 미국 금리인상 영향
3. 우리나라의 가계부채
4. 대책마련 필요성
이렇게 쓸 생각이야.
1. 미국 금리인상
2008년 미국발 경제위기로
낮아졌던 미국의 기준금리는
2015년 말부터 조금씩 인상 중으로 (2017.06)
이번 6월 15일에 한차례
금리인상을 단행해서 (2017.06)
미국과 한국의 기준금리가
같아지게 되었어. (2017.06)
미국의 금리인상은 전문가들이 우려하는
금융 리스크 중 하나로 (2017.05)
지금은 별 영향이 없지만 (2017.06)
2017년도 하반기에는 한국과 미국의
금리가 역전될 수 있어서 (2017.06)
한국은행이 추후에 금리를
인상할지도 모르는 상황이야. (2017.06)
그래서 오늘은 미국의 금리인상과
그에 따른 영향으로 글을 쓰려고 해. (2017.06)
1. 미국 금리인상 요약
1) 미국은 2008년 경제위기 때문에 기준금리를 크게 낮추었음.
2) 최근 금리인상을 꾸준히 해서 한국과 미국의 금리가 비슷해졌음.
3) 미국의 금리인상은 한국 경제에 위험요인으로 여겨지는 편임.
2. 미국 금리인상 영향
우리나라의 금리보다
미국의 금리가 더 높아지면 (2017.03)
금리역전 현상이 발생해서
자본유출이 생길 수 있는데
이럴 경우 우리나라 경제에 안 좋은
영향을 끼칠 수가 있어. (2005)
하지만 2005~2007년 금리역전 시기에
별 일 없었고 (2017.06)
우리나라 경제가 비교적 우량한 편이라 (2017.06)
자본유출의 가능성은 비교적 약한 편이야. (2017.03)
뭐 어쨌든 미국의 금리인상은 금융시장 불안이라는
부정적인 충격이 가능한 이야기로 (2017.06)
신흥국에 나쁜 영향을 끼칠 수 있어서
우리나라의 수출에 안 좋을 수 있고(2017.06)
미국 금리인상 때문에 우리나라의 대출금리가
슬금슬금 올라가서 (2017.03)
(전문가 설문조사)
투자수요 위축으로 부동산 시장에
안 좋은 영향을 끼칠 수도 있다고 해.
이렇게 미국의 금리인상은
우리나라에 이런 저런 영향이 예상되므로 (2016.12)
우리나라 정부는 대응방안을
충분히 마련해야 할 것 같아. (2017.05)
미국의 다음 금리인상은
12월쯤이 유력한 편이라 (2017.06)
대응 준비에 필요한 시간은
충분하다고 봐. (2017.03)
2. 미국 금리인상 영향 요약
1) 한미 금리역전이 발생하면 자본유출이 생길 수도 있음.
2) 우리나라 금융시장 불안 가능성이 있으나 확률은 낮은 편임.
3) 대출금리 상승으로 인한 부동산시장 위축 가능성도 있음.
3. 우리나라의 가계부채
우리나라는 가계부채가 1300조 원을 넘었고 (2017.02)
가계부채 비율이 비교적 높아서 (2012)
가계부채 문제가 비교적 심각한 편이야. (2016.10)
다만 우리나라의 가계부채는
상위계층에 집중되어서 (2017.05)
별 문제가 없을 수 있는 편이고 (2017.05)
미리미리 고정금리와 분할상환으로
대출구조를 바꿔놔서
큰 문제가 없을 수 있다고 해. (2016.12)
하지만 우리나라의 한계가구가
비교적 많은 상태이고 (2016.06)
소득 대비 원리금 상황비율이
정부 목표치를 초과해서 (2017)
생각보다 문제가 많이 있는 편이야. (2016.11)
부동산시장에 다주택자 대출이 많고 (2016.12)
비은행권 부채비율도 잠재적 변수이며 (2016.10)
자영업자의 높은 부채비율도
큰 변수라고 생각해. (2016.12)
3. 우리나라의 가계부채 요약
1) 우리나라의 가계부채는 1300조 원을 넘었고 부채비율이 높음.
2) 부채 대부분을 고신용 상위계층이 가지고 있는 점은 다행임.
3) 다만 한계가구, 비은행권 부채, 자영업자 부채 등의 변수가 많음.
4. 대책마련 필요성
미국 금리인상의 여파로
은행들이 대출금리를 조금씩 올리는 중으로 (2017.06)
이게 꽤나 거슬릴 수 있는 문제라고 생각해.
대출금리 상승으로 가계의 이자부담이
수백만 원씩 증가할 수 있는데 (2017.03)
미국의 금리인상은 앞으로
꽤 많이 할 것으로 예상되어서 (2017.03)
미국 금리인상의 여파로 가계부채 문제가
터지지 않도록 대책을 마련할 필요가 있다고 봐. (2017.06)
그래서 정부와 국회는 가계부채 대책을
빨리 마련해야 하고 (2017.05)
가계도 대출구조를 개선했으면 좋겠으며 (2017)
미국 금리인상 시기를 별 문제 없이
잘 넘겼으면 좋겠어. ㅎㅎ (2017.06)
4. 대책마련 필요성 요약
1) 미국 금리인상으로 은행들이 대출금리를 조금씩 올리고 있음.
2) 미국의 금리인상은 앞으로 꽤 많이 할 것으로 예정되어 있음.
3) 가계부채 문제에 대한 대책을 마련할 필요성이 있음.
과거글 링크 : https://www.ilbe.com/9815011854
3줄 요약
1. 미국이 금리인상을 해서 한국과 미국의 기준금리가 비슷해졌음.
2. 미국 금리인상으로 자본유출이 발생할 수 있으나, 가능성이 낮음.
3. 은행 대출금리가 오르면 가계경제와 부동산 시장에 악영향이 있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