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브금 출처 : https://bgmstore.net/view/tVY18)

표지.jpg


안녕~ 오늘은 우리나라의 통신 산업으로 글을 쓸 생각이야.


글이 많이 부실한데, 이점 양해 바랄게~






목차는


1. 통신 산업 소개


2. 통신 3사 순위


3. 통신요금 논란


4. 기본료 인하 문제


5. 5G 통신 


이렇게 쓸 생각이야. 






1. 통신 산업 소개


가입자_20150323_중앙.jpg


통신 산업이란 이동통신, 일반 유선전화, 인터넷, IPTV 등의


통신서비스를 제공해 돈을 버는 산업으로 (2015)






전국.jpg

전국에 통신망을 구축하는데 


많은 비용이 들어가고 (2013)







통신망.jpg


정부의 허가를 받아야하기 때문에 


진입장벽이 매우 높은 산업이야. 







가입자_20140327_조선.jpg

우리나라의 이동통신 산업은 


80년대서부터 시작되었으며 (2014)







가입자_20170515_헤럴드경제.jpg


전체 가입자 수가 6천만 명에 달해


우리나라 인구보다 많고 (2017)






보급률_20160701_디지털타임즈.jpg

스마트폰 보급률이 90%를 넘어서 


일상생활에 매우 밀접한 산업이라고 해. (2016)







매출_20170125_조선.jpg


그리고 우리나라의 통신 산업은 


매출액이 50조 원 이상이고 (알뜰폰 제외)







종업원_20140409_중앙.jpg


통신 3사 직원 수가 수만 명에 달하며 (2014년 기준)






점포_20140912_디지털타임즈.jpg


대리점과 판매점을 포함하면


고용 규모가 훨씬 많아져서 (2014)






20150323_뉴스1.jpg

경제에 미치는 영향이 나름 큰 산업이야. (2015)







1. 통신 산업 소개 요약


1) 통신 산업은 이동통신, 일반 유선전화, 인터넷 등의 통신서비스를 제공하는 산업임. 


2) 통신 산업은 통신망 구축에 돈이 많이 들어가서 진입장벽이 높은 산업임. 


3) 전 국민이 이동통신을 사용해서 일상생활에 매우 밀접한 산업임. 







2. 통신 3사 순위


통신3사.jpg


우리나라 통신 3사의 순위는 






가입자_170526_뉴스핌2.jpg


가입자 수가 가장 많은 SK텔레콤의 (2017)







점유율_20170613_연합.jpg

(회색은 알뜰폰 사용자)


점유율이 가장 높은데, (2017)






실적_201702_비즈워치.jpg


신기하게도 매출액은 


KT가 가장 높은 편이야. ㅋㅋ (2017)







요금제_20170523_중앙2.jpg


통신 3사의 요금제가 거의 유사해서 (2017)







사용료_20161225_파이넨셜.jpg


가입자당 월평균 사용료가 비슷하면 (2016)







가입자_170526_뉴스핌2.jpg


당연히 고객 수가 많은 SK텔레콤의 


매출액이 훨씬 많아야 하는데 (2017)






KT공식블로그.png

(출처 : KT 공식블로그)


그렇지 않은 점이 


정말 신기하다고 생각해. ㅎㅎ 







2. 통신 3사 순위 요약


1) 이동통신 점유율은 SK텔레콤이 40%로 가장 많음. 


2) 근데 매출액은 KT가 22조 원으로 SK텔레콤보다 5조 원 더 많음.


3) 통신요금과 가입자당 월평균 사용액은 3사 모두 비슷함.







3. 통신요금 논란


요금_20170607_한경.jpg

통신비는 가계 소비지출의 5% 이상을 차지해서 


큰 부담이 되는 편이고 (2017)






요금_20130714_조선.jpg


우리나라의 통신비 지출이 


많다는 주장이 있어서 (2013)







기본료_20170612_서울신문.jpg


통신요금에 대한 논란이 많은 편이야. (2017)







요금_20150623_아시아경제.jpg

우리나라의 통신사들은 


우리나라의 통신요금이 싼 편이라고 (2015)







요금_20121019_아시아경제.jpg

주장을 해서 누구 말이 맞는지 


애매하다고 생각해. (2012)







요금_20170511_동아.jpg


우리나라 통신사의 비교적 낮은 수익률과 (2017)







요금_20150806_세계.jpg

낮은 영업이익률을 보면 


통신사의 주장이 맞는 것 같은데 (2015)







SSI_201412_서울.jpg


1인당 통신비 지출을 보면 


상당히 비싼 편이라 (2014)







비싼통신료.jpg


통신비가 비싼 게 맞는 것 같아. ㅎㅎ







요금_20120529_세계.jpg

우리나라의 통신비가 비싼 데에는 


데이터를 많이 쓰는 것 때문일 수도 있고 (2012)







요금_20170613_아시아경제.jpg


통신요금의 20%를 차지하는


단말기 할부금이 (2017) 







요금_20141001_이투데이2.jpg

비싸서 일수도 있는데,


정확히는 잘 모르겠어. ㅎㅎ (2014)







3. 통신요금 논란 요약


1) 가계통신비 지출액이 많아서 통신비가 비싸다는 주장이 많음. 


2) 통신사는 자기들의 수익성과 영업이익률이 낮다고 주장함. 


3) 한미일의 1인당 통신비 지출을 보면 우리나라가 상당히 높음. 







4. 기본료 인하 문제


기본료_YTN.jpeg


통신요금이 비싸다보니 


기본료 폐지 주장이 나오고 있는데






기본료_20170531_비즈워치.jpg

통신사 기본료는 통신망 설치와


유지 관리 비용이라 







기지국.jpg


통신망이 전국에 깔린 지금 상황에서


1만 1천원은 너무 비싸다는 주장이야. 







기본료_20170529_서울신문.jpg


실제로 통신사 기본료는 


꾸준히 인하된 요금이라 (2017)





기본료_20170412_서울신문.jpg


기본료 폐지 주장은 나름의 근거가 있다고 해. (2017)






설비투자_201704_한경.jpg


하지만 통신사들은 매년 수조 원의 


설비투자를 하는 중으로 (2017)







설비투자_20170523_중앙.jpg


기본료가 폐지되면 설비투자 여력이 


감소한다고 (2017)







기본료_YTN.jpg


난색을 표하고 있어. ㅋㅋ







4. 기본료 인하 문제 요약


1) 통신요금이 가계경제에 부담이 되어서 기본료 폐지 주장이 있음. 


2) 통신사들은 기본료 폐지 시 설비투자를 할 돈이 없다고 난색을 표함. 


3) 기본료 폐지의 찬반 주장에는 나름의 근거가 있음. 







5. 5G 통신 

5세대_SK공식블로그.png

(출처 : SK 공식 블로그)


지금 통신사들은 5세대 통신을 준비 중인데 







5세대_20150615_중앙.jpg


5세대 통신은 모든 면에서


LTE보다 우월한 통신으로 (2015)






5g속도비교.jpg

800메가 영화를 단 1초 만에 받는다고 해. ㄷㄷ






5세대_201612_스포츠.jpg


5세대 통신은 홀로그램, 사물인터넷, 


VR 등을 위한 핵심 기술로 (2016)







5세대_20160830_중앙.jpg


5세대 통신의 시대가 열리면 


많은 것이 바뀔 것으로 기대되고 있어. (2016)







5세대_20170222_아시아경제.jpg


우리나라가 4차 산업혁명에 뒤쳐지지 않고 (2017)






5세대_2016080_중앙2.jpg

매년 무섭게 늘어나는 데이터양을 생각하면 


통신사의 주장이 맞는 편인데 (2016)







비싼통신료.jpg


통신요금이 비싼 것도 맞다고 생각해서 


적당히 인하할 필요성이 있다고 봐. 







기본료_20170612_한겨레.JPG


그래서 통신비 인하 방안은 


설비투자를 저해하지 않는 수준에서 하면 될 것 같고 (2017)






마케팅_20170203_비즈워치.jpg

우리나라 통신사들이 마케팅비로 


무려 7조 원 정도 쓰고 있어서 (2017)







단통법_20170412_매경.jpg

(대신 이 방법은 대리점, 광고사, 방송사가 피해를 봄.)


마케팅 비용을 줄이는 것도 


좋은 방안이라고 생각해. ㅎㅎ (2017)







5. 5G 통신 요약


1) 5세대 통신은 LTE보다 훨씬 우월한 통신 기술임. 


2) 5세대 통신은 4차 산업혁명의 핵심으로 뒤쳐지면 곤란함. 


3) 5세대 통신에 투자할 설비투자비는 꼭 필요하다고 봄. 







과거글 링크 : https://www.ilbe.com/9815011854







3줄 요약


1. 통신 산업은 이동통신, 유선전화, 인터넷 서비스 등을 제공하는 산업임. 


2. 시장 점유율은 SK텔레콤이 가장 높고 매출액은 KT가 가장 많음. 


3. 통신요금에 대한 논란이 많아서 기본료 인하 논쟁이 있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