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GM정보 : 브금저장소 - http://bgmstore.net/view/Rd2Um


표지.jpg


안녕~ 오늘은 우리나라의 저가항공으로 글을 쓸 생각이야.


글이 많이 부실한데, 이점 양해 바랄게~






목차는


1. 저가항공 소개


2. 저가항공 순위


3. 저가항공 문제점


4. 최근 상황 


이렇게 쓸 생각이야. 






1. 저가항공 소개


20150323_한겨레.jpg


저가항공이란 기내식 같은 서비스를 


대폭 생략하고 






프롭기.jpg 

비용절감과 효율화를 통해 


비행기 표를 싸게 파는 항공사야. 






요금_20110422_중앙.GIF

저가 항공은 항공운임이 대형항공사에 비해


10~20% 정도 싼 편으로 (2011)







혜택_20150330_중앙.jpg


저가항공 덕분에 항공 여행객 수가 


크게 증가했다고 해. (2015) 







성장_20170131_국민.jpg


우리나라의 저가항공은 


여행객 수 증가에 힘입어 (2017)







탑승객수_20150106_조선.jpg


폭발적으로 성장한 편으로 


누적 탑승객 수가 1억 명에 달하며 (2015)







성장_2016611_매경.jpg


매출액이 2조 5천억 원으로 


빠르게 성장했어. (2016)







성장_20161103_한겨레.JPG


그리고 저가항공은 


국내선 점유율이 50%를 넘어섰으며 (2016)







국제선_20170131_영남.jpg

최근에는 국제선 점유율이 


30%에 달하고 있어서 (2017)







국내선_20151027_서울신문.jpg


저가항공이 정말 많이 


보편화된 상태야. ㅎㅎ (2015)







1. 저가항공 소개 요약


1) 저가항공은 서비스를 대폭 생략하고 비용을 크게 절감한 항공사임. 


2) 비행기 표가 10~20% 정도 저렴해서 많은 사람들이 이용함. 


3) 국내선 점유율이 50%를 넘어 많이 보편화되었음. 







2. 저가항공 순위


개요_20100718_동아.jpg


저가항공은 2006~2009년 사이에 


많이 설립되었으며 (2010)






로고.jpg

진에어, 제주항공, 에어부산 등의


항공사들이 경쟁 중이라고 해. 







점유율_20170405_매경.jpg


국내 점유율 1위 저가항공은 


제주항공으로 (2017)







순위_20170521_동아.jpg 


이용자 수도 가장 많은 편이야. (2015년 기준)






순위_201704_비즈워치.jpg

다만 매출액은 진에어가 


바짝 추격한 상태로 (2017)







순위_20170411_머니투데이.jpg


미래에는 진에어가 제주항공을 


이길지도 모르겠어. ㅋㅋ (2017)







성장_20170329_동아.jpg


뭐 어쨌든 종업원 수에서 


제주항공이 제일 많고 (2017)







항공기수_20160707_파이넨셜.jpg

(대한항공 : 160대, 아시아나항공: 84대)


항공기 수도 제주항공이 제일 많아서 (2016년도 기준)






국제선_20170206_한경.jpg

제주항공이 저가항공사 1위라고 해. (2017)







2. 저가항공 순위 요약


1) 여객 점유율, 이용자 수, 항공기 수, 종업원 수에서 제주항공이 1위임. 


2) 매출액과 영업이익은 진에어가 바짝 추격했음. 거의 비슷함. 







3. 저가항공 문제점


문제_20120112_문화.jpg

저가항공은 가격이 싼 대신 


약간의 단점이 있는데 (2012)







안전_201601_한국일보.jpg

안전 문제에 대해 


많은 돈을 투자하기 힘들고 (2016)






고장_201603_매경.jpg

항공기가 약간 노후화된 편이며 (2016)







고장_20160127_조선.jpg


대당 운항 횟수가 많아 


사고 가능성이 조금 높은 편이야. (2016)







사고_20160114_한겨레.JPG


하지만 저가항공사들이 의외로 안전관리를 잘해서 


사고 발행 비율이 낮은 편이고 (2016) 







 PS141013_이데일리.jpg


(대한항공 여객기 160대, 제주항공 여객기 26대)


고장건수가 생각보다 


적게 유지되고 있다고 해. (2014)







소비자피해_20160126_파이넨셜.jpg

그다음 문제는 낮은 서비스 문제인데,


저가항공일수록 소비자피해 건수가 많고 (2016) 







좌석_201509_한국경제.jpg


좌석간격이 대형항공사에 비해


1~2인치 정도 작은 게 문제야. ㅎㅎ (2015)







지연율_20170427_중앙.jpg


다만 항공기 지연율은 아시아나항공이나


저가항공이나 비슷한 편으로 (2017)







평가_20160816_조선.jpg

저가항공의 평가 점수가


그렇게 나쁘지 않다고 해. (2016)







3. 저가항공 문제점 요약


1) 저가항공은 낮은 서비스, 안전 위험 문제가 있음. 


2) 근데 사고발생 비율은 대형항공사와 의외로 비슷한 편임. 


3) 소비자 피해건수는 저가항공이 비교적 높음.  







4. 최근 상황 


영업이익률_20160818_머니투데이.jpg


저가항공사의 영업이익률이 


의외로 준수한 편으로 (2016)







실적_20170529_머니투데이.jpg

(이거 실화냐?)


올 1분기 실적은 제주항공진에어


아시아나항공보다 높다고 해. ㅋㅋ (2017)







고용_20170507_매경.jpg


이런 이유로 신규고용은 저가항공사가 


대형항공사보다 많은 편으로 (2017)







대형항공_20170507_서울경제.jpg


아시아나항공의 부진이 


조금 안타까운 편이야. (2017)







신규_20170424_sbs.jpg


그다음 이슈는 저가항공이 


신규로 6개가 추가될 수 있는 문제인데 (2017)







자본잠식_20170424_뉴스토마토.JPG


자본잠식 상태의 항공사가 좀 있어서 (2017)







신규_20170223_뉴스1.jpg

과잉 경쟁이 아닐까 싶은 우려가 있어. (2017)






실적_201705_매경.jpg

뭐 어쨌든 저가항공(LCC)은


실적이 꾸준히 증가 중으로 (2017)







개선_20161227_경향.jpg


안전 문제와 서비스를 


더 많이 보강했으면 좋겠으며 







20130823_180742.jpg


비교적 저렴한 요금을 


계속 유지해 주었으면 참 좋겠어. ㅎㅎ 







4. 최근 상황 요약


1) 올 1분기 진에어, 제주항공 영업이익이 아시아나항공보다 많음. 


2) 올해 저가항공사 신규채용 인원이 대형항공사보다 많다고 함. 


3) 신규 저가항공사가 6개 추가로 생길 가능성이 있음. 







과거글 링크 : https://www.ilbe.com/9777696441







3줄 요약


1. 저가항공은 서비스가 나쁜 대신 요금이 저렴한 항공사임. 


2. 크게 성장해서 저가항공이 많이 대중화되었음.


3. 저가항공 1, 2위는 제주항공과 진에어로 둘의 실적이 좋은 편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