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GM정보 : 브금저장소 - http://bgmstore.net/view/AVuiZ

표지.jpg


안녕~ 오늘은 금호타이어 매각으로 글을 쓸 생각이야.


글이 많이 부실한데, 이점 양해 바랄게~







목차는


1. 금호타이어 소개


2. 금호그룹 운지


3. 금호타이어 매각-1


4. 금호타이어 매각-2 


이렇게 쓸 생각이야. 







1. 금호타이어 소개


타이어.jpg

금호타이어는 자동차 타이어를 만드는


우리나라 기업으로 







기업_20170410_머니투데이.jpg

(외국 공장 노동자 수는 6천여 명)


한국과 해외에 공장이 8개 있고 


국내 임직원이 5천여 명 있는 기업이야. (2017)







PS161017_이데일리.jpg


금호 타이어는 글로벌 타이어 시장 순위


12~14위권의 대기업으로 (2016)







지역별_20170416_서울경제.jpg


전 세계에 타이어를 골고루 팔고 있으며 (2017)








매출_20140429_아시아투데이.jpg


매출액 약 4조원으로 우리나라 타이어 업계 순위 


2위 기업이라고 해. (2014. 매출액 기준) 








maxresdefault.jpg

(워크아웃 : 기업 회생 작업.)


다만 금호타이어는 워크아웃의 아픔을


겪었던 기업으로 







현상태_20170421_뉴스1.jpg


부채비율이 비교적 높고 


당기순이익이 적자이며 (2017)







영업이익률_20170404_이투데이.jpg

영업이익률이 많이 낮아서 (2017)








영업이익_20160817_아시아투데이.jpg


영업이익만 놓고 보면 


넥센타이어보다 못하다고 해. ㅎㅎ (2016. 분기)






매각과정_201704_한국일보.jpg


또 금호타이어는 올해 


기업 매각이 진행 중으로 (2017)







매각1조원_20170330_매경.jpg


중국 기업 더블스타에게 팔릴 수 있어서 


논란이 많은 편이야. (2017)







1. 금호타이어 소개 요약


1) 금호타이어는 국내 2위, 세계 12위권의 글로벌 타이어 회사임. 


2) 워크아웃의 아픔을 겪었던 기업으로 기업 상태가 조금 부실함. 


3) 산업은행이 중국 기업에게 매각을 추진 중이라 이슈가 되고 있음. 







2. 금호그룹 운지


maxresdefault.jpg


금호타이어는 우량 기업이였다가 


그룹 문제 때문에 운지한 회사로 







htm_20080117_중앙.JPG


금호아시아나 그룹이 


무리한 인수합병을 한 것이 문제였어. (2008)







운지_20060623_동아.jpg


금호아시아나 그룹은 매출 11조 원대의 


비교적 작은 그룹인데 (2005년 기준)







인수.jpg


대우건설을 6조 원 이상을 주고 


비싸게 인수하고 (2008)







대한통운인수_2008.jpg

(대한통운은 나중에 CJ가 2조 원에 인수함.)


택배 회사 대한통운을 4조 원에 


인수하는 실수를 저질렀다고 해. ㄷㄷ (2008)







매출구조.jpg


그 결과 금호 그룹의 규모는 커졌으나


부채 상태가 심각해졌고 (2008)







운지_2009.jpg 


이자 부담 증가로 현금운용 능력이 


심하게 악화되어서 (2009)







20141121_한국일보.jpg


금호 그룹의 2009년도 재무 상태가 


끔찍하게 안 좋았어. (2014) 







운지_20150208_세계.jpg


결국 금호 그룹은 2009년도에 워크아웃에 들어가


대우건설과 대한통운을 매각해야 했고 (2014)







운지_20170329_이투데이.jpg

주력 계열사인 금호고속과 금호타이어가 


워크아웃을 당하는 수모를 겪었다고 해. (2017)







운지_20150622_동아.jpg


금호그룹의 운지는 무리한 인수합병의 전형적인 폐해이자


'대우의 저주'로 보여. ㄷㄷ (2015)







2. 금호그룹 운지 요약


1) 금호타이어는 우량 기업이였는데, 그룹 때문에 부실해짐. 


2) 금호 그룹은 무리한 인수합병으로 계열사를 부실하게 만들었음. 


3) 대우건설, 대한통운을 거액을 주고 인수했다가 그룹이 운지함. 







3. 금호타이어 매각-1


재건_20170117_서울.jpg


금호 그룹 운지 이후 


박삼구 회장이 그룹을 다시 재건 중인데 (2017)








돈문제_20160728_이투데이.jpg


금호 그룹이 한번 망했던 그룹이라


현금이 부족해서 (2016)







금호그룹_20170112_아시아경제.jpg


금호타이어를 인수할 1조 원이 없는 상태야. (2017)







돈문제_20151229_조선.jpg

(컨소시엄 : 공동의 목적을 위한 협회나 조합.)


그래서 금호타이어를 인수하려면 은행 대출과 


우호 기업들의 도움인 컨소시엄이 필요한데 (2015)







20170320_동아.jpg


우선매수청구권을 사용할 때는 


컨소시엄이 안 되는 법률이 있어서 (2017)







매각1조원_20170330_매경.jpg


금호타이어 매각 협상은 


중국 기업 더블스타와 하게 되었어. (2017)







더블스타_201703_한경3.jpg


근데 중국 기업 더블스타는 매출액 5천억 원의 


비교적 작은 기업이라 (2017)






1.jpg

쌍용차 사태와 비슷한 기술유출 및


먹튀 가능성이 있어서 (2009)







20160417_조선.jpg


중국에 팔리는 것은 많이 꺼림칙한 편이야. 







20160920_이투데이.jpg


그렇다고 우리나라의 다른 기업이 인수할 가능성이 적은 게


금호타이어의 실적이 부진한 편이고 (2016)







노동자고통.jpg


워크아웃의 책임이 전부 그룹 탓이지만 






파업_20150902_동아.jpg

무서울 정도로 노사갈등이 심한 편에 (2015)








임금_20150820_조선.jpg


인건비가 비교적 높은 기업이라 


기업 인수 메리트가 적다고 해. (2015) 







3. 금호타이어 매각-1 요약


1) 금호아시아나 그룹은 금호타이어를 인수할 자금이 부족함. 


2) 중국 기업에 매각하면 먹튀 및 기술유출 가능성이 있음. 


3) 금호타이어는 실적이 부진해서 인수 메리트가 낮음. 







4. 금호타이어 매각-2 


문제_170320_이데일리.jpg


금호타이어 매각은 논란이 


굉장히 많은 편으로 (2017)







 각계반응_20170425_서울경제.jpg


지역 사회와 정치권이 개입해서


쉽게 결론이 날 문제가 아니야. (2017)







방위산업_20170423_서울경제.jpg


또 금호타이어는 군용타이어를 만들어서 


국방부가 개입할 여지가 있고 (2017)





상표권_20170314_세계.jpg


금호타이어의 상표권을 


금호그룹이 가지고 있어서 (2017)







1OEPIB4UL6_2.jpg


중국 기업이 금호타이어를 인수할 경우 


'금호'라는 상표권을 못 쓰게 할 수 있어. 







소송_201703_한경.jpg


이런 이유로 금호타이어 매각은 


소송전이 될 가능성이 높은 편으로 (2017)







시나리오_20170329_한경.jpg


장기전이 될 것 같고 법원 판결에 따른 


변수가 클 것 같아. (2017)







문제_20170419_서울경제.jpg


뭐 어쨌든 금호타이어 매각 문제가 


잘 해결되었으면 좋겠고 (2017)







돈문제.jpg


이왕이면 금호 그룹이 돈을 마련해서 


금호타이어를 인수했으면 좋겠어. ㅎㅎ







4. 금호타이어 매각-2 요약


1) 금호타이어 매각은 지역 사회와 정치권의 관심이 높음. 


2) 소송전으로 갈 것 같아서 장기전이 될 것 같음. 


3) 중국 기업이 금호타이어 인수를 포기했으면 좋겠음. 







과거글 링크 : https://www.ilbe.com/9632136521







3줄 요약


1. 금호타이어는 국내 2위의 타이어업체로 매각이 진행 중임. 


2. 금호타이어는 금호그룹 운지로 인해 워크아웃을 겪었음. 


3. 중국 기업이 금호타이어를 인수 할 수 있어서 논란이 있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