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GM정보 : 브금저장소 - http://bgmstore.net/view/7ZfbW
안녕~ 오늘은 중국의 사드 보복으로 글을 쓸 생각이야.
글이 많이 부실한데, 이점 양해 바랄게~
목차는
1. 중국의 경제 보복 가능성
2. 경제 보복의 어려움-1
3. 경제 보복의 어려움-2
4. 중국의 사드 보복
5. 내 생각
이렇게 쓸 생각이야.
1. 중국의 경제 보복 가능성
국방부와 롯데 그룹의
사드 부지 계약으로 (2017)
탄도탄을 요격할 수 있는 사드 포대가
우리나라에 들어올 수 있게 되었어. (2016)
문제는 주한미군의 사드 배치를
중국이 싫어한다는 점으로 (2016)
시답잖은 이유로 우리나라의 안보 강화를
반대하는 중이야. (2016)
중국은 공산당 일당독재라 그런지
외교 문제에 대해
경제보복을 자주 하는 편으로 (2017)
우리나라의 사드 배치에 대한
경제 보복이 있을 수가 있어. (2016)
그래서 오늘은 중국의 사드 보복으로
글을 쓸 생각이야. (2016)
1. 중국의 경제 보복 가능성 요약
1) 우리나라의 사드 배치를 중국 정부가 매우 싫어함.
2) 중국은 외교 문제에 대해 경제 보복을 한 사례가 많음.
3) 사드 배치에 대한 중국의 경제 보복 가능성이 있음.
2. 경제 보복의 어려움
우리나라와 중국은 교역을 매우 많이 해서 (2016)
중국이 무역 보복을 하면
우리나라 경제에 피해가 클 수 있는데
대규모 무역 보복의 가능성은
비교적 낮다고 생각해.

그 이유는 우리나라의 대중국 수출
대부분이 부품과 반제품으로 (2014)
중국이 한국산 부품과 반제품,
설비를 수입하지 않으면 (2013)
중국 경제에도 나름 큰 타격이
되기 때문이야. ㅋㅋ (2016)
물론 중국이 자국 경제의 타격을 무릅쓰고
대규모 무역 보복을 가할 수도 있기는 한데
중국 경제에도 심각한 문제가
많이 있는 편이라 (2016)
중국 경제위기 이야기가 자주 나오는
현시점에선 어렵다고 생각해. ㅎㅎ (2016)
2. 경제 보복의 어려움-1 요약
1) 우리나라는 중국과 교역을 많이 해서 통상 보복을 받으면 피해가 큼.
2) 하지만 중국의 대규모 무역 보복의 가능성은 상당히 낮은 편임.
3) 한국산 부품 수입을 대량으로 금지하면 중국 경제에도 타격이 큼.
3. 경제 보복의 어려움-2
중국이 대규모 경제 보복을 하기 어려운 이유 중 하나가
바로 미국의 반격으로 (2017)
미국은 미국 시장에서 큰돈을 벌어가는 중국에게
보복을 하고 싶어 하는 편이야. (2017)
그래서 중국이 사드 문제로 우리나라에 대규모 경제 보복을 하면
미국이 즉각 반발을 해서
중국을 환율조작국으로
지정할 수도 있어. ㅎㅎ
또 중국은 WTO(세계무역기구)에 가입을 했고
FTA(자유무역협정)를 많이 체결해서
대놓고 통상 보복을 하면
중국은 WTO에 제소를 당하거나
FTA를 통해 항의를 받을 수 있어서 (2017)
중국의 통상 보복은 비관세 장벽에
많은 편이야. (2017)
이런 이유로 중국의 경제 보복은
간접적인 방법이 주축이고 (2016)
대국답지 않은 쪼잔하고 치사한 방법으로
보복을 하고 있어. (2016)
3. 경제 보복의 어려움-2 요약
1) 중국이 우리나라에 대규모 경제 보복을 하면 미국이 반격할 수 있음.
2) 미국이 중국을 환율조작국으로 지정하면 중국의 체면이 바닥으로 추락함.
3) WTO와 FTA 때문에 직접적인 방법의 통상 보복이 어려움.
4. 중국의 사드 보복
중국은 사드 보복을 실제로 하고 있는 중으로 (2017)
우리나라 기업들이 중국의 보복 조치를
약간씩 느끼고 있는 중이야. (2017.02)
중국의 보복 조치가 가장 심한 곳은 화장품 산업과
한류 시장으로, 중국 경제에 큰 영향이 없는 곳에서
우리나라가 보복을 받고 있어.

다만 한류 수출은 우리나라 경제에 있어
정말로 미미하고 (2015)
화장품 산업은 중국산 화장품을 불신하는
중국 소비자들 덕분에
해외 직구로 잘 팔리고 있는 중이야. (2017)
또 중국은 한국행 단체관광객 수를 20% 감축하는
관광 규제도 진행 중인데 (2016.10)
다행히 방한 관광객의 50% 이상이
개별 자유 여행이라 피해가 적을 것 같아. ㅎㅎ (2016)
4. 중국의 사드 보복 요약
1) 중국은 이미 자잘하게 사드 보복을 하고 있음.
2) 보복 조치가 가장 심한 곳은 화장품과 한류 산업임.
3) 우리나라 경제에 미치는 영향이 적어서 큰 피해가 없음.
5. 내 생각
중국이 치졸한 방법으로 우리나라에 보복 중인데
이런 중국의 조치는 우리나라의
반중 감정을 강화시키고

중국의 이미지만 손상시키는
무의미한 행동이라고 생각해. (2017)
또 중국이 이렇게 행동을 하니깐
시장경제국 지위를 못 얻고 있는 것이고 (2015)
미국으로부터 공격받을 꼬투리만
만드는 것 같아. ㅎㅎ (2017)
그러므로 중국은 역효과만 보는
경제 보복을 그만두고 (2016)
우리나라의 사드 배치를 인정하는 게
좋다고 생각해.

그런데도 중국이 계속 사드 보복을 한다면
우리나라도 반격을 해야 하는 편으로 (2017)
중국에 투자하는 것을 동남아로 돌리고 (2015)

중국인 비자 발급을 거부하는 등의
따끔한 조치를 해야 한다고 봐. ㅎㅎ (2017)
5. 내 생각 요약
1) 중국의 사드 보복은 중국의 이미지를 크게 손상시킴.
2) 중국의 경제 보복은 역효과를 더 많이 봤다고 생각함.
3) 중국은 무의미한 사드 보복을 그만두어야 한다고 봄.
과거글 링크 : https://www.ilbe.com/9446677678
3줄 요약
1. 우리나라의 사드 배치에 대해 중국이 반발하고 경제 보복 중임.
2. 대규모 통상 보복은 중국도 부담스러워서 못하는 편임.
3. 중국은 치졸하고 쪼잔한 방법으로 우리나라를 괴롭히고 있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