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GM정보 : 브금저장소 - http://bgmstore.net/view/7ZfbW

표지.JPG


안녕~ 오늘은 중국의 사드 보복으로 글을 쓸 생각이야.


글이 많이 부실한데, 이점 양해 바랄게~






목차는


1. 중국의 경제 보복 가능성


2. 경제 보복의 어려움-1


3. 경제 보복의 어려움-2


4. 중국의 사드 보복


5. 내 생각 


이렇게 쓸 생각이야.






1. 중국의 경제 보복 가능성


20170227_세계.jpg

국방부와 롯데 그룹의 


사드 부지 계약으로 (2017)







사드.jpg


탄도탄을 요격할 수 있는 사드 포대가 


우리나라에 들어올 수 있게 되었어. (2016)







20160210_조선.jpg


문제는 주한미군의 사드 배치를 


중국이 싫어한다는 점으로 (2016)







htm_20161207_중앙2.jpg 


시답잖은 이유로 우리나라의 안보 강화를


반대하는 중이야. (2016)







5853f70a01800.jpg


중국은 공산당 일당독재라 그런지 








htm_20170201_중앙.jpg


외교 문제에 대해 


경제보복을 자주 하는 편으로 (2017)







20161204_뉴스1.jpg

우리나라의 사드 배치에 대한


경제 보복이 있을 수가 있어. (2016)








20161231_조선.jpg


그래서 오늘은 중국의 사드 보복으로 


글을 쓸 생각이야. (2016)







1. 중국의 경제 보복 가능성 요약


1) 우리나라의 사드 배치를 중국 정부가 매우 싫어함. 


2) 중국은 외교 문제에 대해 경제 보복을 한 사례가 많음. 


3) 사드 배치에 대한 중국의 경제 보복 가능성이 있음. 







2. 경제 보복의 어려움


대중수출비중.jpg


우리나라와 중국은 교역을 매우 많이 해서 (2016)








 2016013102553_1.jpg  


중국이 무역 보복을 하면 


우리나라 경제에 피해가 클 수 있는데 







maxresdefault.jpg


대규모 무역 보복의 가능성은 


비교적 낮다고 생각해. 







대중수출.jpg


그 이유는 우리나라의 대중국 수출


대부분이 부품과 반제품으로 (2014)







수출구조.jpg 


중국이 한국산 부품과 반제품, 


설비를 수입하지 않으면 (2013)




공급사슬.jpg


중국 경제에도 나름 큰 타격이 


되기 때문이야. ㅋㅋ (2016)








2016013102553_1.jpg


물론 중국이 자국 경제의 타격을 무릅쓰고 


대규모 무역 보복을 가할 수도 있기는 한데






중국경제리스크.jpg

중국 경제에도 심각한 문제가 


많이 있는 편이라 (2016)







중국경제상황.jpg


중국 경제위기 이야기가 자주 나오는


현시점에선 어렵다고 생각해. ㅎㅎ (2016)







2. 경제 보복의 어려움-1 요약


1) 우리나라는 중국과 교역을 많이 해서 통상 보복을 받으면 피해가 큼. 


2) 하지만 중국의 대규모 무역 보복의 가능성은 상당히 낮은 편임. 


3) 한국산 부품 수입을 대량으로 금지하면 중국 경제에도 타격이 큼. 







3. 경제 보복의 어려움-2


20170120_매경.jpg

중국이 대규모 경제 보복을 하기 어려운 이유 중 하나가


바로 미국의 반격으로 (2017)







M20170209_연합.jpg


미국은 미국 시장에서 큰돈을 벌어가는 중국에게 


보복을 하고 싶어 하는 편이야. (2017)








사드미중.jpg


그래서 중국이 사드 문제로 우리나라에 대규모 경제 보복을 하면 


미국이 즉각 반발을 해서 







환율조작국.jpg


중국을 환율조작국으로 


지정할 수도 있어. ㅎㅎ








FTA.jpg


또 중국은 WTO(세계무역기구)에 가입을 했고


FTA(자유무역협정)를 많이 체결해서 







20170121_한경.jpg


대놓고 통상 보복을 하면 


중국은 WTO에 제소를 당하거나


FTA를 통해 항의를 받을 수 있어서 (2017)







20170212_한경.jpg


중국의 통상 보복은 비관세 장벽에 


많은 편이야. (2017)







00501700_20160710.JPG


이런 이유로 중국의 경제 보복은 


간접적인 방법이 주축이고 (2016)







20161231_조선.jpg


대국답지 않은 쪼잔하고 치사한 방법으로 


보복을 하고 있어. (2016)







3. 경제 보복의 어려움-2 요약


1) 중국이 우리나라에 대규모 경제 보복을 하면 미국이 반격할 수 있음. 


2) 미국이 중국을 환율조작국으로 지정하면 중국의 체면이 바닥으로 추락함. 


3) WTO와 FTA 때문에 직접적인 방법의 통상 보복이 어려움. 







4. 중국의 사드 보복


20170105_뉴스1.jpg

중국은 사드 보복을 실제로 하고 있는 중으로 (2017)







20170212_뉴스토마토.JPG

우리나라 기업들이 중국의 보복 조치를 


약간씩 느끼고 있는 중이야. (2017.02)







화장품.jpg


중국의 보복 조치가 가장 심한 곳은 화장품 산업과 







강적들.jpg


한류 시장으로, 중국 경제에 큰 영향이 없는 곳에서


우리나라가 보복을 받고 있어. 







한류.jpg


다만 한류 수출은 우리나라 경제에 있어


정말로 미미하고 (2015)







20170209_뉴스1.jpg

화장품 산업은 중국산 화장품을 불신하는


중국 소비자들 덕분에 


해외 직구로 잘 팔리고 있는 중이야. (2017)







20161026.jpg


또 중국은 한국행 단체관광객 수를 20% 감축하는


관광 규제도 진행 중인데 (2016.10)







20160812_서울경제.jpg


다행히 방한 관광객의 50% 이상이 


개별 자유 여행이라 피해가 적을 것 같아. ㅎㅎ (2016)







4. 중국의 사드 보복 요약


1) 중국은 이미 자잘하게 사드 보복을 하고 있음. 


2) 보복 조치가 가장 심한 곳은 화장품과 한류 산업임. 


3) 우리나라 경제에 미치는 영향이 적어서 큰 피해가 없음. 







5. 내 생각 


evening_20161205_1_14_Large.jpg


중국이 치졸한 방법으로 우리나라에 보복 중인데






 

NISI20170215_0012692507_web.jpg


이런 중국의 조치는 우리나라의


반중 감정을 강화시키고  






20170124_세계.jpg


중국의 이미지만 손상시키는


무의미한 행동이라고 생각해. (2017) 







 201512_한경.jpg


또 중국이 이렇게 행동을 하니깐


시장경제국 지위를 못 얻고 있는 것이고 (2015)








htm_20170104_중앙.jpg


미국으로부터 공격받을 꼬투리만


만드는 것 같아. ㅎㅎ (2017)







보복.jpg


그러므로 중국은 역효과만 보는 


경제 보복을 그만두고 (2016)







hqdefault.jpg


우리나라의 사드 배치를 인정하는 게 


좋다고 생각해. 







htm_20161207_중앙.jpg


그런데도 중국이 계속 사드 보복을 한다면 


우리나라도 반격을 해야 하는 편으로 (2017)







한중투자.jpg

중국에 투자하는 것을 동남아로 돌리고 (2015)







비자거부.jpg


중국인 비자 발급을 거부하는 등의 


따끔한 조치를 해야 한다고 봐. ㅎㅎ (2017)







5. 내 생각 요약


1) 중국의 사드 보복은 중국의 이미지를 크게 손상시킴.


2) 중국의 경제 보복은 역효과를 더 많이 봤다고 생각함. 


3) 중국은 무의미한 사드 보복을 그만두어야 한다고 봄. 







과거글 링크 : https://www.ilbe.com/9446677678







3줄 요약


1. 우리나라의 사드 배치에 대해 중국이 반발하고 경제 보복 중임.


2. 대규모 통상 보복은 중국도 부담스러워서 못하는 편임. 


3. 중국은 치졸하고 쪼잔한 방법으로 우리나라를 괴롭히고 있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