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GM정보 : 브금저장소 - http://bgmstore.net/view/wr3PJ
안녕~ 오늘은 우리나라의 출판산업으로 글을 쓸 생각이야.
글이 많이 부실한데, 이점 양해 바랄게~
목차는
1. 출판산업 소개
2. 우리나라의 독서문화
3. 출판산업 변화
4. 도서정가제와 아쉬운 점들
이렇게 쓸 생각이야.
1. 출판산업 소개
출판산업이란 도서나 잡지 등의 저작물을 대량 복제하여
다수의 독자들에게 발매하거나 배포하는 산업으로
간단히 말해서 책을 만들고 책을 파는 산업이야.
우리나라의 출판산업은
시장 규모가 7조 원 정도이고 (2016)
종사자 수가 4만 5천 명 정도로 꽤 많은 편인데 (2014)
아쉽게도 쇠퇴 중인 산업이라고 해. (2014)
우리나라의 서점 수는 98년도 IMF사태를 기점으로
수가 크게 줄어들어 (2005)
전국 서점 수가 2천 곳이 안 되고 있고 (2017)
대부분의 출판사들이
실적이 상당히 안 좋아서 (2016)
경영에 어려움을 겪는 출판사가
굉장히 많은 편이야. ㄷㄷ (2015)
다만 도서 유통구조에서 큰 비중을 차지하는
대형, 온라인서점은 건재한 편으로 (2017)

국내 서점 매출 1위 교보문고의 매출은
일정하게 유지되고 있다고 해. ㅎㅎ (2016)
1. 출판산업 소개 요약
1) 출판산업은 도서나 잡지 등을 발간하여 독자들에게 판매하는 산업임.
2) 우리나라의 출판산업은 규모가 꽤 큰데, 쇠퇴 중인 산업이라고 함.
3) 서점 수, 출판사 매출은 감소세이고 대형 유통체널만 건재한 상태임.
2. 우리나라의 독서문화
우리나라의 출판산업이 침체 중인 이유로는 (2014)
물가 상승률보다 높은 책값 상승률과 (2016)
스마트폰 사용으로 인해 독서 시간이
줄어든 점이 있지만 (2013)
우리나라의 독서문화가 조금 잘못된 점도
크다고 생각해.
(발행부수 기준)
우리나라의 독서문화는
철저하게 아동과 학습지 위주로 (2015)
우리나라 독서시간의 주축은
학생들에게 있으며 (2016)
도서 구매의 큰손은 30-40대 아줌마들인
상황이야. (2009)
따라서 저출산 문제는 핵심 독서인구를 감소시켜 (2016)
우리나라의 출판산업과
독서율 통계에 악영향을 끼친다고 생각해. (2016)
상황이 이렇기 때문에 우리나라의 출판산업과
독서율 통계를 높이려면 (2016)
성인의 독서 비율을 높이는 게
현실적인 방안인 것 같아. ㅎㅎ (2011)
2. 우리나라의 독서문화 요약
1) 우리나라의 발행부수는 아동용과 학습지 비중이 굉장히 높음.
2) 도서 소비의 주축은 학생이고 서적 구매는 30,40대 아줌마가 함.
3) 성인의 독서 비율을 크게 높이는 게 중요하다고 생각함.
3. 출판산업 변화

컴퓨터나 휴대폰 등의 전자기기로
볼 수 있는 전자책은
인쇄비용과 유통비용을 절감해서
가격이 비교적 싸기 때문에
큰 폭으로 성장했다고 해. (2014)
다만 전자책은 신규 수요를 창출한 것이 아니라
기존 수요를 갉아먹는 수준으로 (2011)
전자책을 긍정적으로 생각하지만
이점은 조금 아쉬운 편이야. ㅎㅎ
그리고 온라인으로 책을 구매하면
택배로 배달해주는 인터넷 서점은
시장 점유율이 갈수록 커져서
유통 시장의 1/3을 차지했고 (2012)
서점 매출 순위의 2,3,4위를
차지하고 있다고 해. (2012)
3. 출판산업 변화 요약
1) 인쇄비용과 유통비용을 절감한 전자책이 큰 폭으로 성장했음.
2) 다만 기존 수요를 갉아먹는 수준이여서 조금 아쉬움.
3) 인터넷 서점이 크게 성장해서 유통 시장의 1/3을 차지함.
4. 도서정가제와 아쉬운 점들
더불어 민주당의 법률 개정으로 2015년도에
본격적인 도서정가제가 시행되었는데
도서정가제란 간단히 말해서
도서 할인을 제한해 과당 경쟁을 막는 제도야.

이 제도는 서유럽에서 주로 시행하는 제도로 (2014)
대규모 할인을 못 받게 되는 점이 아쉽지만 (2015)
가격 거품을 막고 중소 서점을
살려주는 제도라고 해.

1년간의 결과물은 그럭저럭 괜찮은 편인데 (2015)
여러 가지 부작용이 꽤 있다고 하는 편으로 (2017)
도서정가제가 문제점을 보완하고
좋은 방향으로 잘 풀렸으면 좋겠어. (2015)
마지막으로 우리나라 문학에 대한 내 생각인데 (2015)
좋은 작품을 많이 만들어서
해외 소설보다 더 많이 팔렸으면 좋겠고 (2016)
우리나라 문학이 잘 되어서 수출을 많이 했으면
참 좋을 것 같아. ㅎㅎ (2015)
또 사재기를 통한 판매 순위 조작은
이제는 사라져야 한다고 생각해. (2016)
뭐 어쨌든 책은 지식, 정보 습득에 도움을 주고
교양, 인격 함양에 큰 도움을 주는 좋은 물건으로 (2016)
우리나라 사람들이 책을 많이 읽어서
출판산업이 살아났으면 좋겠어. ㅎㅎ
4. 도서정가제와 아쉬운 점들 요약
1) 도서정가제는 도서 할인을 제한해 과당 경쟁을 막는 제도임.
2) 가격 거품을 막고 중소 서점을 살리는 제도라는데, 부작용이 나름 있음.
3) 우리나라 문학이 발전해서 출판 산업을 살리는데 기여했으면 좋겠음.
과거글 링크 : https://www.ilbe.com/9284169448
3줄 요약
1. 출판산업은 도서나 잡지 등을 발간하여 독자들에게 판매하는 산업임.
2. 우리나라의 출판산업은 쇠퇴기로로 상태가 조금 안 좋다고 함.
3. 성인의 독서량이 적어서 아동용과 학습지 비중이 높다고 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