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GM정보 : 브금저장소 - http://bgmstore.net/view/ATA9j

brexit-1-2.jpg


안녕~ 오늘은 영국의 하드 브렉시트로 글을 쓸 생각이야.


글이 많이 부실한데, 이점 양해 바랄게~







목차는


1. 영국의 하드 브렉시트 선언


2. 영국의 유럽연합 탈퇴 이유


3. 영국 경제 영향


이렇게 쓸 생각이야. 







1. 영국의 하드 브렉시트 선언



20160624_세계.jpg

영국은 작년 6월에 국민투표를 시행해서


유럽연합 탈퇴를 결정한 상태로 (2016) 








브렉시트뜻.jpg 


영국의 EU 탈퇴, 브렉시트(Brexit)를 


시행하게 되었어. (2016)







brexit-1462470589PAa.jpg

하지만 수십 년 동안 같이 지낸 유럽연합에서 


나가는 것은 쉽지 않은 편으로 







문제점.jpg


영국이 낸 EU 분담금 회수 문제나 


법률과 권리문제 등이 있어서 (2016)







20170118_이투데이.jpg


영국의 EU 탈퇴까지는 약 2년 정도의 


시간이 필요한 편이야. ㅎㅎ (2017)







brexit-iconography-600x430.jpg


그리고 영국의 유럽연합 탈퇴에 대해 


어중간한 형태로 나가느냐? (Soft), 


완전히 탈퇴하느냐? (Hard)로 의견이 갈렸는데 







20161006_이투데이.jpg


어제 테리사 메이 영국 총리님께서 발표하시길 







하드브렉시트4.jpg


유럽연합에서 완전히 이별을 하는 


하드 브렉시트를 선언하셨어. ㄷㄷ 







20170117_서울경제.jpg

이로써 영국은 국경에 대한 통제권과 


사법 독립을 획득하는 대신 (2017) 







하드브렉시트3.jpg


EU 단일시장에서 나가는 경제적 손실을 


입게 되는 셈으로 







하드브렉시트2.jpg


매우 용감한 결정을 내리셨다고 생각해. ㄷㄷ







1. 영국의 하드 브렉시트 선언 요약


1) 영국은 작년 6월에 유럽연합 탈퇴를 국민투표로 결정했음.


2) 하지만 EU 탈퇴의 경제 손실이 커서 어정쩡한 탈퇴 가능성이 있었음. 


3) 근데 어제 메이 영국 총리가 완전한 유럽연합 탈퇴를 선언했음. 







2. 영국의 유럽연합 탈퇴 이유


영향이유.jpg


영국의 유럽연합 탈퇴의 근원은


이민자에 대한 반감으로 (2016)






20160626_한겨레.JPG

영국 전체에 외국 출생자 수가 너무 많은데 (2016)







20160519_서울경제.jpg

EU 국적 외국인 노동자가 급증하자 (2016)







탈퇴이유.jpg


유럽연합을 탈퇴하여 국가의 자주성을 지키자는 


생각을 하게 된 것이야. (2016)







EU분담금.JPG


또 매년 14조 원의 EU 분담금을 내는데 


얻는 것은 별로 없고 (2014) 







LG경제연구소.JPG

(영국은 신자유주의이고 유럽은 사민주의라 성향이 매우 다름.)


유럽연합 법률이라는 간섭만 받고 있으며 







시리아난민사태.jpg

유럽에 시리아 난민사태가 터지고 (2015) 







20130903_조선.jpg

2012년 유로존 경제위기로 


유럽이 혼란스럽기만 하자 (2013)







탈퇴.jpg


영국이 유럽연합 탈퇴를 


결정하게 되었다고 생각해. ㅎㅎ 







찬반.jpg


영국의 EU 탈퇴에는 약간의 통수(?) 느낌이 나지만, 


경제적 손실을 무릅쓰고 (2016)








주권회복.jpg


국가의 주권을 선택했다는 점에서


참 대단한 것 같아. ㅎㅎ (2016) 







2. 영국의 유럽연합 탈퇴 이유 요약


1) 영국 보수층은 EU 탈퇴를 해야 국가의 주권을 지킬 수 있다고 생각했음. 


2) 이민자 유입, 유럽연합의 간섭, 유럽연합의 혼란 등이 탈퇴 여론을 부추겼음. 


3) 영국 시민들은 경제적 이익보다 국가의 자주성을 더 우선시했음. 







3. 영국 경제 영향


20170118_내외경제.jpg

영국이 하드 브렉시트를 선택함으로써 


국경 통제권과 사법 독립을 이루겠지만 (2017)







영국무역.jpg

영국은 유럽연합과 무역을 매우 많이 하고 (2016)








금융비중.jpg


영국 런던이 유럽 금융의 중심지라 


유럽연합 탈퇴에 따른 손실이 꽤 클 것으로 예상되고 있어.  (2016)







우려사항.jpg

유럽의 금융 중심지가 영국 런던에서 


프랑스나 독일로 이전된다면 







SBS뉴스.jpg


영국에 진출한 금융기관 상당수가 철수를 하고


금융권 일자리가 7만 개 정도 감소해서 







경제영향.jpg


영국 경제에 어마어마한 타격을 


입힐 수 있다고 해. ㄷㄷ (2016) 







20170118_이투데이.jpg


다만 영국의 유럽연합 탈퇴까지는 


2년 정도의 시간이 남은 편이고 (2017)






CHT_R_gbr_gdp_7657A120-D116-485B-845D-5234F038B580.gif

영국 경제는 브렉시트 투표 이후 


오히려 성장했으며 (2016년 3분기)







CHT_R_gbr_labor_BB477F84-64A3-46DB-BEA7-BC34ADAE1744.gif


실업률이 감소하고 (2016.11)







영국증시.JPG

주가가 상승해서 벌써부터 걱정하는 것은


약간 기우인 것 같아. ㅎㅎ (2017)







20170119_조선.jpg


하지만 이번 '하드 브렉시트' 선언으로 


글로벌 기업 이전 가능성이 생겨서 (2017)







201607_매경.jpg


영국에 진출한 금융 회사들이 프랑스나 독일로 


이전하지 못하도록 조치를 취해야 하는 상황으로 (2016)







20160317_서울경제.jpg


영국은 법인세를 최대 15%까지 인하할 수 있다고 해. (2016)






20160707_세계.jpg

마지막으로 영국은 세계 6위의 경제대국이고 (2016)







2009년도자료.jpg


유럽은 세계 3대 경제권이라 (2009)







20160625.jpg


유럽연합이 분열되거나, 영국에 경제위기가 


발생하는 것은 (2016)







우리나라영향.jpg


우리나라에게도 별로 좋지 않은 일로 (2016)







3414250_66f.jpg


영국의 유럽연합 탈퇴는 안정적이고


부드럽게 진행되었으면 참 좋겠어. ㅎㅎ 







3. 영국 경제 영향 요약


1) 영국은 유럽연합과 교역을 많이 해서 EU 탈퇴는 경제에 매우 안 좋은 일임. 


2) 다만 영국의 EU 탈퇴는 2년 후 쯤의 일로 지금의 영국 경제는 괜찮음. 


3) 이번 하드 브렉시트 선언으로 기업 이전 가능성이 생겨서 영국 정부가 잘 대처해야 함. 







과거글 링크 : https://www.ilbe.com/9284169448







3줄 요약


1. 영국 총리가 최근에 영국의 유럽연합 완전 탈퇴를 선언함. 


2. 경제 손실을 감수하고 국가의 주권을 확실히 지키는 방향으로 정했음.  


3. 이민자 통제, 사법 독립을 이루겠지만, 기업 이전 가능성이 생겼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