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GM정보 : 브금저장소 - http://bgmstore.net/view/FP3qP

표지.jpg


안녕~ 오늘은 중국의 자본통제로 글을 쓸 생각이야.


글이 많이 부실한데, 이점 양해 바랄게~







목차는


1. 중국의 자본유출과 위험성


2. 중국의 자본통제


3. 자본통제의 부작용


이렇게 쓸 생각이야. 






1. 중국의 자본유출과 위험성


위험성.JPG

(출처 : 해외경제연구원)


중국 경제는 여러 가지 문제점들이 


좀 있는 편으로 (2016)







자본유출2.jpg


이것 때문에 중국(china)에서 꽤 강력한 


자본유출이 발생하는 중이야. (2016)







자본유출3.jpg


중국에서 발생 중인 자본유출(Capital Flow)은 


2015년 말~2016년 초에 비하면 


비교적 양호하지만 여전히 발생 중으로 (2016.10)






중국리스크.jpg

자본유출은 중국 경제의 대표적인 


위험요인으로 손꼽히고 있어. (2016) 







외환보유고.jpg


중국의 외환보유고가 천조 원 정도 감소해도


아직 3천조 원이 남아있으니 큰 문제가 아닐 수 있지만 (2016)








자본유출.jpg


자본유출은 신용경색을 유발해서 


경제를 불안하게 만들기 때문에 관리가 필요한 편이야. 







중국기업외채.jpg

(2조 달러 = 2,400조 원)


또 중국 기업의 대외채무가 


아직 1,500조 원 정도 남은 상황이고 







기업_20160223_아시아경제.jpg


민간 부문의 외채 비중이 비교적 높은 편이며 (2016)







단기외채_20140402_파이넨셜.jpg 


중국의 대외채무에서 단기외채 비중이 높기 때문에 


외환 관리가 꼭 필요하다고 생각해. (2013)







1. 중국의 자본유출과 위험성 요약


1) 중국 경제에 대한 불안감 때문에 자본유출이 크게 발생 중임. 


2) 자본유출은 중국 경제의 주요 위험요인 중 하나로 손꼽힘. 


3) 중국의 외환보유고가 많지만, 중국 기업에 단기외채가 많아서 관리가 필요함.







2. 중국의 자본통제


위기시나리오.jpg


신흥국 경제위기는 대체로 화폐가치 추락으로 발생해서 


중국 정부도 환율 관리에 관심이 많은 편인데 







달러화강세_20161228_머니투데이.jpg


최근 달러화 강세 영향 등으로 (2016.12)







환율_20170104_연합.jpg


환율 관리가 잘 안 되는 중이야. (2017)







자본유출.jpg

이런 현상은 중국 기업의 외채상환 부담 확대로 


이어지기 때문에 매우 안 좋은 일로 (2016)







외환방어_20170102_아주경제.jpg

중국 정부는 외환보유고 3조 달러 유지와 환율 관리를 위해 


강력한 자본통제를 진행하고 있어. (2016.11)






송금규제_머니투데이.JPG

대표적인 사례로 중국에 진출한 외국 기업들이 


본사에 배당금을 송금하는 것을 규제하고 있으며 







개인통제_초이스경제.JPG


최근에는 중국인의 외환매입을 강력하게 


규제하는 중이야. ㅋㅋ (2017)







비트코인.jpg

이렇게 중국의 자본통제가 매우 심하다보니 


비트코인이 자본유출의 통로로 활용되고 있어서







20170103_헤럴드경제.jpg

(1코인에 천 달러로 상승함.)


비트코인 가격이 갑자기 급상승했고 (2017)







20170101_BTC1.jpg

(중국 정부가 비트코인 거래를 규제할 수 있어서 투자 위험도가 높음.)


중국에서 비트코인 거래량(밑)이 


엄청나게 증가하고 있어. ㄷㄷ (2017)







2. 중국의 자본통제 요약


1) 최근 달러화 강세 때문에 중국의 환율 관리가 잘 안 되고 있음. 


2) 그래서 자본통제를 더욱 더 강화하고 있음. 최근에 일반인도 규제함.


3) 중국 기업의 해외 인수합병 규제, 외자기업 해외송금 규제 등을 하고 있음. 







3. 자본통제의 부작용


환투기.jpg


중국의 외환시장이 흔들리고 있으면


작년 초처럼 환투기세력이 공격을 할 만한데 (2016)







하이보금리_이코노믹리뷰.jpg

(하이보 금리 : 홍콩의 은행 간 단기대출 금리)


이번엔 그러지 못하는 이유는 


최근 홍콩의 단기금리가 터무니없이 높아서 







31.gif


위안화를 빌려 환투기 장난을 하는 게


힘들어서 그렇다고 해. ㅎㅎ (2016)







하이보금리_이코노믹리뷰.jpg


근데 홍콩의 은행 간 단기대출 금리가 


터무니없이 높아지니 (2016)







은행간금리_브릿지경제.JPG


홍콩 금융시장은 물론이고 중국 본토의 금융시장에도 


유동성 경색이 발생해서 조금 문제가 되는 중이야. (2016)







중국국채금리.JPG


이것 때문인지 최근 중국의 10년물 국채 금리가 


가파르게 상승했고 (2016.12)







채권선물가격_20161214_CHINABOND1.jpg


채권 선물 시장에 폭락 현상이 발생해서 (2016.12)







거래중단_연합.JPG

채권 선물 거래가 사상 처음으로 중단되는 일이


발생했었다고 해. ㄷㄷ (2016.12) 







위험성.JPG


중국 경제에 자본통제의 필요성이 높지만 


과도한 규제는 다른 위기를 만들 수 있어서


보다 현명한 정책이 필요할 것 같아. ㅎㅎ







3. 자본통제의 부작용 요약


1) 중국 정부의 자본통제 정책이 중국 금융시장을 불편하게 함. 


2) 은행 간 단기금리가 왜곡되어서 은행의 돈 회전이 불편해지고 있음. 


3) 중국 채권시장에서 선물 거래가 사상 최초로 중단되는 일이 있었다고 함. 







과거글 링크 : http://www.ilbe.com/9199570602







3줄 요약


1. 중국 정부가 요즘 자본통제를 매우 심하게 하고 있음. 


2. 외자기업의 해외 송금도 규제하고 개인의 외환 매입도 규제 중임. 


3. 자본통제의 필요성이 높지만 금융시장을 왜곡하기 않을까 우려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