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GM정보 : 브금저장소 - http://bgmstore.net/view/weMqr
안녕~ 오늘은 중국의 최근 환율 상황으로 글을 쓸 생각이야.
글이 많이 부실한데, 이점 양해 바랄게~
목차는
1. 최근 중국의 환율 상황
2. 환율 변동의 이유
3. 중국의 자본유출 방지책
이렇게 쓸 생각이야.
1. 최근 중국의 환율 상황
선진국의 경제 부진으로
중국의 경제지표가 부진한 편이고 (2016)
중국 경제의 문제점들이 곳곳에서 부각되면서
세계 여러 나라들이 중국(China)발 리스크(Risk)에 대해
많이 우려하기 시작했어.
그러자 중국(China)에 투자된 외국 자본(Capital)들이
썰물처럼 빠져나가고 있고
2015년 말보다는 자본유출(Capital Outflow)의
상태가 비교적 양호하지만
(780억 달러 = 91조 원.)
매달 40~80조 원 정도의 거금이
중국에서 빠져나가는 중이야. ㄷㄷ
그리고 자본유출은 중국의 외환보유고와
위안화의 화폐가치를 떨어트리는데
1 달러에 6.75 위안 선을 유지하던 위안화 환율이
최근 갑자기 6.85 위안 선으로 가버려서
무슨 일이 발생했는지 알아보려고 해. ㅎㅎ
1. 최근 중국의 환율 상황 요약
1) 중국 경제가 안 좋아지자 외국 자본이 중국에서 탈출 중임.
2) 지속적인 자본유출로 인해 위안화의 화폐가치가 하락하고 있음.
3) 최근 위안화 환율이 급변동을 해서 무슨 일이 있나 궁금함.
2. 환율 변동의 이유
위안화의 화폐가치가 하락한 이유로는
12월 미국 금리인상 가능성으로 인한
달러화 강세의 영향 탓이 분명히 있겠지만 (11.03)
가장 큰 이유는 뭐니 뭐니 해도 트럼프 이펙트로
트럼프 당선으로 인해 멕시코 페소화(peso) 환율이
크게 출렁일 정도였고
단기적이었지만, 미국의 부도위험지수도
크게 움직일 정도였어. ㅋㅋ
그리고 트럼프는 중국산 수입품에 45% 관세를 매기고
중국을 환율조작국으로 선포하겠다고 말할 정도로
중국에 대해 매우 강경한 입장이라
중국의 외환시장이 큰 영향을 받은 것 같아. ㅎㅎ
2. 환율 변동의 이유 요약
1) 12월 미국 금리인상 가능성으로 위안화 가치가 하락세였음.
2) 최근 급변동은 트럼프 당선으로 인한 금융시장의 출렁임 탓으로 보임.
3) 트럼프는 중국에게 매우 적대적인 편이라 중국 경제에 부정적인 영향이 예상됨.
3. 중국의 자본유출 방지책
지속적인 자본유출로 중국의 외환보유고가
3조 달러 이하로 떨어질 가능성이 보이자
(출처 : 현대경제연구원)
중국 정부는 외환 유출을 막기 위해
각종 억제조치를 내놓았고
이것으로는 조치가 부족했는지
해외 관광 제한 조치를 해서
중국인 관광객들이 해외에 돈을 쓰는 것을
줄이려고 하고 있어.

또 이런 조치를 진행했음에도 불구하고 자본유출을 막지 못해
위안화 가치가 2009년 고정환율제 수준으로 떨어지자
중국 정부는 비트코인(가상화폐)
거래제한에 나설 방침이라고 하고
위안화(Yuan)가 해외로 빠져나간 후 달러로 환전되는
위안화 유출을 막기 위해
중국인들의 해외 금융투자를
차단하기 시작했다고 해. ㄷㄷ
중국의 외환보유고가 3조 달러를 넘어
당장은 큰 문제가 안 되지만
자본유출은 신용경색을 불러와
경제에 매우 부정적인 영향을 끼치고
최근 중국에 화폐가치 하락과
자본유출이 크게 발생하고 있어서
조금 불안한 것 같아. ㅎㅎ
3. 중국의 자본유출 방지책 요약
1) 중국 정부가 자본유출을 막기 위해 외환유출 억제조치를 많이 시행했음.
2) 최근의 해외 관광 규제도 자본유출을 막기 위한 선제적 조치로 보임.
3) 그것만으로도 부족했는지 중국인의 해외금융 규제와 비트코인 거래규제도 시행하려고 함.
과거글 링크 : http://www.ilbe.com/8993404522
3줄 요약
1. 트럼프 당선 이후 중국 위안화의 화폐가치가 폭락 중임. 1달러에 6.85위안.
2. 중국에게 적대적인 트럼프의 당선이 중국의 자본유출을 촉진시키는 것 같음.
3. 중국에 자본유출의 망령이 다시 찾아왔나 우려스러운 편임.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