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GM정보 : 브금저장소 - http://bgmstore.net/view/zgUUI
안녕~ 오늘은 중국 환율로 글을 쓸 생각이야.
글이 많이 부실한데, 이점 양해 바랄게~
목차는
1. 최근 중국 환율
2. 중국 자본유출
3. 중국 우려사항
이렇게 쓸 생각이야.
1. 최근 중국 환율
중국의 위안화는 올 10월 1일에
IMF 특별인출권 통화에 정식 편입되어서
국제통화로서의 지위를 인정받았는데 (2016)
중국 위안화의 화폐가치가 올라가기는커녕
1달러에 6.77 위안으로 더 폭락해서 (2016)
중국의 위안화 환율이 왜 이렇게 움직이는지
알아볼 생각이야.
중국 위안화 가치가 하락한 이유는
12월에 있을지도 모르는 미국 금리인상 때문에 (2016)
(달러 인덱스 : 달러화의 가치를 보여주는 지표.)
달러 인덱스가 최근 급상승해서
위안화 가치가 상대적으로 떨어진 점도 있고 (2016)
2015년보단 위세가 약하지만, 여전히 계속되고 있는
중국의 자본유출 때문이라고 생각해. (2016)
위안화 환율은 중국의 외환보유고와
높은 상관관계가 있고 (2016)
매달 88조 원 정도씩 빠져나가는 자본유출을
감당하기가 어려워서 (2016)
중국 정부가 환율방어를 못하는 것 같아. ㅎㅎ (2016)
1. 최근 중국 환율 요약
1) 중국 위안화는 IMF 특별인출권에 편입되어서 국제적인 인정을 받게 되었음.
2) 그런데 위안화 환율은 달러 당 6.77위안 정도로 화폐가치가 폭락 중임.
3) 최근 달러화 강세랑 지속적인 자본유출 탓으로 생각함. 9월에 88조 원 유출.
2. 중국 자본유출
중국이 크고 강한 나라이지만,
내부 문제가 많이 부각되면서 (2016)
2015년도부터 중국의 자본유출이
어마어마하게 발생하는 중이야. (2016)

중국의 외환보유고가 세계 1위로 많은 편이라
큰 문제가 아닐 수도 있지만 (2014)
(2조 달러 = 대략 2천조 원, 작년에 절반쯤 유출됨.)
중국에 들어온 외국 자본도 그만큼 많은 편이라
나가는 힘도 그만큼 쌔고
자본유출이 신흥국 경제위기의 시발점이라
(출처 : 현대경제연구원.)
중국 정부도 자본유출을 막기 위해
열심히 노력하고 있어. (2016)
하지만 중국의 수출이 둔화되어서
달러 수급이 많이 약해지고 (2016.10)
자본유출이 여전히 강하게 지속 중이라
중국의 외환보유고가
천조 원 정도 감소했다고 해. ㄷㄷ (2016.09)
2. 중국 자본유출 요약
1) 중국 경제의 여러 문제점들 때문에 외국자본이 중국에서 탈출하고 있음.
2) 중국 정부가 자본유출을 막기 위해 외환시장을 통제 중이나 많이 어려움.
3) 중국의 외환보유고는 2014년 대비 천조 원 정도 감소했음.
3. 중국 우려사항
자본유출은 외환위기 뿐만 아니라
신용경색을 유발하는 특징이 있어서
중국의 민간투자 증가율이
최근 엄청나게 위축된 상황이야. (2016.10)
이런 투자위축은 중국 경제에 매우 안 좋기 때문에
중국 인민은행이 중국 경제에 자본을
어마어마하게 주입(Injection) 중인데 (2016)
주입된 자본 대부분이 부동산 시장으로
흘러들어가서 (2016)
중국 부동산 시장이 터무니없이 과열되는 문제가
발생 중이라고 해. ㄷㄷ (2016.09)
(Credit to GDP gap : 국내총생산 대비 신용격차.)
중국은 가뜩이나 버블 우려가 커서 (2015)
금융위기 가능성이 꽤 있는 편인데 (2015)

(1st Tier Cities Average Prices : 1선 도시 부동산 평균 가격)
부동산 시장까지 미쳐 날뛰고 있어서
우려가 커지는 편이야. (2016)
마지막으로 위안화 환율의 심리적 저지선인
달러 당 6.7 위안이 무너져서
조금 우려가 되기는 하는데 (2016)
중국의 외환보유고가 3천조 원 정도로 많이 있어서
문제가 생길지는 잘 모르겠어. ㅎㅎ (2016)
3. 중국 우려사항 요약
1) 자본유출은 신용경색을 유발해서 인민은행이 중국 경제에 자본을 주입 중임.
2) 주입된 자본 상당수가 부동산시장에 흘러들어가서 중국 부동산시장이 미쳤음.
3) 달러 당 6.7 위안이라는 심리적 저지선이 갑자기 무너져서 조금 의외임.
과거글 링크 : http://www.ilbe.com/8892463792
3줄 요약
1. 중국 위안화가 올 10월에 국제통화로 인정받았는데, 위안화 가치가 하락 중임.
2. 최근 달러화 강세와 계속되는 자본유출 탓으로 생각됨. 매달 40~80조 원씩 유출 중임.
3. 위안화 환율이 의외의 방향으로 자꾸 움직이고 있어서 매우 흥미로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