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GM정보 : 브금저장소 - http://bgmstore.net/view/X7qsD
안녕~ 오늘은 알레포 공방전으로 글을 쓸 생각이야.
글이 많이 긴 편인데, 이점 양해 바랄게~
목차는
1. 시리아 내전 소개
2. 시리아 내전 상황
3. 알레포의 중요성
4. 알레포 공방전 상황
이렇게 쓸 생각이야.
1. 시리아 내전 소개
시리아는 중동에 위치한 이슬람 국가로
한반도와 비슷한 면적에
인구 2,200만의 나라라고 해. (2010년 기준)
(쿠르드족은 수니파 무슬림이지만 민족성이 더 강한 특징이 있음.)
이 나라는 종교와 민족이 다양한 특징이 있는데
정권은 인구 16%의 알라위파가 차지하고 있고
러시아, 이란과 매우 친한 반미국가야. (2013)
미국은 친러시아 성향의 시리아를
매우 마음에 안 들어 했는데 (2008)
2011년 '아랍의 봄' 민주화시위를
총칼로 진압하는 시리아 정부의 모습과 (2011)
시리아의 민주화 시위가
내전으로 발전한 것을 보고 (2012)

"기회다." 생각하고
시리아 공습을 감행해버렸어. (2012)
미국의 공습 때문에 알아사드 독재정권이
몰락할 뻔 했으나 (2012)
알아사드 정권을 좋아하는
러시아와 이란의 개입으로
시리아 내전은 주변 강대국들의
대리전이 되어서 (2016)
시리아 내전은 5년이 지난 지금까지
계속되고 있는 중이야. (2013)
1. 시리아 내전 소개 요약
1) 시리아는 중동의 이슬람 국가인데, 종파와 인종이 다양한 나라임.
2) 친러 반미 성향의 시리아에 내전이 발생하자 미국이 개입함.
3) 미국이 개입하자 러시아, 이란이 개입해서 내전이 장기전이 되었음.
2. 시리아 내전 상황
시리아 내전에서 수니파 무슬림 반군이 승리하면
소수 종파들이 학살당할 수도 있는 상황이라

알아사드 정권의 단결력이
상당히 강한 편이고
러시아와 이란의 전폭적인 지원이
엄청난 힘이 되었다고 해. (2015)
러시아의 무기 지원이
시리아 정부군에 큰 도움이 되고 있고 (2012)
러시아의 흑해함대가 시리아 반군에게
순항미사일 폭격을 하고 있으며 (2015)
러시아 공군이 시리아와 이란의 공군기지를 빌린 후
맹공습을 하고 있어서 (2016)
공습 횟수 면에서 러시아가
미국의 2배 정도라고 해. ㄷㄷ (2016)
또 이란이 4천 명 이상의 지상군 파병을 하고
대량의 물자 지원을 해서 (2015)
겨우 수십 명 파병한 미국에 비하면
러시아와 이란의 지원이 엄청 많은 편이야. (2015)

그 외에 시리아 반군들이 "정복의 군대" 작전이라는
심각한 전략적 실수를 했는데 (2015)
그것은 시리아 자유반군이 이슬람 극단주의자들과 연합해서
시리아 정부군에 엄청난 타격을 준 사건으로
이것 때문에 [시리아 반군 = 이슬람 극단주의자]라는 인식이 생겨서
유럽이 시리아 문제에서 사실상 손을 때게 되었고
시리아 반군을 지원해준
오바마 행정부의 입장이 난처하게 되었어.

그 결과 시리아 정부군의 세력이 커져서 (2016.09)

알레포 공방전이라는 대 분기점이
발생하게 된 것이야.
2. 시리아 내전 상황 요약
1) 소수파인 알아사드 정권의 단결력이 상당히 강한 편임.
2) 러시아, 이란의 전폭적인 지원으로 시리아 정부군이 유리해졌음.
3) 시리아 반군=이슬람 극단주의자라는 인식 때문에 서방의 입지가 좁아졌음.
3. 알레포의 중요성

시리아의 알레포 시는
인구 4백만의 알레포 주의 주도이자
중심지로 (2016)
2004년 인구조사에서 인구 213만을
기록한 대도시라고 해.
그리고 시리아는 중동의 사막 국가라
국토 대부분이 사막이고
농경지가 국토 일부분에 쏠려 있어서
시리아의 알레포는 시리아의 핵심부 중 하나로
매우 중요한 곳이야. (2015)
그래서 시리아 정부군이 알레포 시를 점령하면
알레포 주 장악은 시간문제이고
시리아 반군은 시리아 북부에서
사라질 수도 있다고 해. (2016.08)
3. 알레포의 중요성 요약
1) 알레포 시는 인구 400만의 알레포 주의 주도이자 중심지임.
2) 알레포 시 인구는 2004년 기준 213만 명으로 상당히 많은 편임.
3) 알레포 시가 점령당하면 시리아 정부군의 북부 장악은 시간문제임.
4. 알레포 공방전 상황
러시아 공군의 맹공습 덕분에
시리아 정부군이 힘을 내서 (2015)
알레포 시까지 진격하는데 성공했고 (2016)

알레포 시의 반군을 포위하는데 성공했어.
하지만 알레포 시는 인구 200만의 대도시여서 (2004년 기준)
(주민 대다수가 수니파라 더 어려움.)
쉽게 점령하다는 것은 극도로 어려운 일로
시리아 정부군의 알레포 점령은
한발 한발 나아가는 초 장기전이라고 해.

문제는 이 과정에서 발생하는
무시무시한 폭격 때문에
수 많은 민간인 희생자가 발생해서
매우 안타까운 편이야.
그래서 미국이 인도주의 문제로
크게 반발하는 중인데 (2016)

러시아가 공습을 중단하면
언제라도 알레포 포위망이 뚫리는 상황이라 (8월)
질질 끌기 싫어하는 러시아 입장에서는
폭격을 계속 하려고 하고 있어.

마지막으로 시리아 내전이 강대국의 이해관계에 따라
휘둘리는 현실이 참 안타깝고

시리아의 대도시 중 하나인 알레포가
전쟁터가 되어서 슬프다고 생각해.

복잡한 시리아 내전이
좋은 방향으로 빨리 끝나서 (2016.08)
그럭저럭 괜찮았던
옛 모습을 다시 찾아주었으면 참 좋겠어. ㅎㅎ
4. 알레포 공방전 상황 요약
1) 러시아, 이란의 지원 덕분에 시리아 정부군이 알레포에 진격함.
2) 알레포 공방전은 포위전 양상으로 민간인 희생이 많은 편임.
3) 미국은 민간인 희생과 시리아 반군 때문에 러시아의 폭격을 반대함.
4) 러시아는 시리아 내전을 빨리 끝내기 위해 폭격을 많이 하고 싶어 함.
과거글 링크 : http://www.ilbe.com/8892463792
3줄 요약
1. 시리아 내전은 주변 강대국들의 개입으로 5년 이상 지속 중임.
2. 러시아, 이란의 지원 덕분에 시리아 정부군이 승리하는 모양새임.
3. 시리아의 대도시 알레포에서 반군과 정부군의 엄청난 공방전이 벌어지고 있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