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GM정보 : 브금저장소 - http://bgmstore.net/view/X7qsD

memories-aleppo.jpg


안녕~ 오늘은 알레포 공방전으로 글을 쓸 생각이야. 


글이 많이 긴 편인데, 이점 양해 바랄게~






목차는 


1. 시리아 내전 소개


2. 시리아 내전 상황


3. 알레포의 중요성


4. 알레포 공방전 상황


이렇게 쓸 생각이야. 







1. 시리아 내전 소개


시리아위치.JPG

시리아는 중동에 위치한 이슬람 국가로 







시리아개요.JPG


한반도와 비슷한 면적에


인구 2,200만의 나라라고 해. (2010년 기준)







종교구성.jpg

(쿠르드족은 수니파 무슬림이지만 민족성이 더 강한 특징이 있음.)


이 나라는 종교와 민족이 다양한 특징이 있는데







htm_20130618_중앙.jpg


정권은 인구 16%의 알라위파가 차지하고 있고  


러시아, 이란과 매우 친한 반미국가야. (2013)







20080821_조선.jpg


미국은 친러시아 성향의 시리아를


매우 마음에 안 들어 했는데 (2008)







20120715_세계.jpg


2011년 '아랍의 봄' 민주화시위를


총칼로 진압하는 시리아 정부의 모습과 (2011)







자유시리아군2012.jpg


시리아의 민주화 시위가 


내전으로 발전한 것을 보고 (2012)







서방공습.jpg


"기회다." 생각하고 


시리아 공습을 감행해버렸어. (2012)






몰락위기.jpg

미국의 공습 때문에 알아사드 독재정권이 


몰락할 뻔 했으나 (2012)







201509_매경.jpg


알아사드 정권을 좋아하는


러시아와 이란의 개입으로 







201606_한국일보.jpg


시리아 내전은 주변 강대국들의 


대리전이 되어서 (2016)







경제적손실.jpg


시리아 내전은 5년이 지난 지금까지 


계속되고 있는 중이야. (2013)







1. 시리아 내전 소개 요약


1) 시리아는 중동의 이슬람 국가인데, 종파와 인종이 다양한 나라임. 


2) 친러 반미 성향의 시리아에 내전이 발생하자 미국이 개입함.  


3) 미국이 개입하자 러시아, 이란이 개입해서 내전이 장기전이 되었음. 







2. 시리아 내전 상황


종교구성.jpg

시리아 내전에서 수니파 무슬림 반군이 승리하면 


소수 종파들이 학살당할 수도 있는 상황이라 







아사드정권.JPG


알아사드 정권의 단결력이 


상당히 강한 편이고  






20151104_조선.jpg

러시아와 이란의 전폭적인 지원이


엄청난 힘이 되었다고 해. (2015)







GYH20120717_연합.jpg


러시아의 무기 지원이 


시리아 정부군에 큰 도움이 되고 있고 (2012) 







20151009_동아.jpg


러시아의 흑해함대가 시리아 반군에게


순항미사일 폭격을 하고 있으며 (2015)







20160807_한국일보.jpg


러시아 공군이 시리아와 이란의 공군기지를 빌린 후


맹공습을 하고 있어서 (2016)







Fight_for_Aleppo_Stats_Mobile.jpg


공습 횟수 면에서 러시아가 


미국의 2배 정도라고 해. ㄷㄷ (2016)







이란혁명수비대_중앙.jpg


또 이란이 4천 명 이상의 지상군 파병을 하고 


대량의 물자 지원을 해서 (2015)







20151203_조선.jpg


겨우 수십 명 파병한 미국에 비하면


러시아와 이란의 지원이 엄청 많은 편이야. (2015) 







정복의군대작전.JPG


그 외에 시리아 반군들이 "정복의 군대" 작전이라는


심각한 전략적 실수를 했는데 (2015)







idlib.jpg


그것은 시리아 자유반군이 이슬람 극단주의자들과 연합해서 


시리아 정부군에 엄청난 타격을 준 사건으로 







FRONT-AL-NUSRA-e1468315014525.jpg


이것 때문에 [시리아 반군 = 이슬람 극단주의자]라는 인식이 생겨서 


유럽이 시리아 문제에서 사실상 손을 때게 되었고 







미국과is.jpg


시리아 반군을 지원해준 


오바마 행정부의 입장이 난처하게 되었어. 







syria war map.jpg


그 결과 시리아 정부군의 세력이 커져서 (2016.09)







알레포공방전.jpg


알레포 공방전이라는 대 분기점이 


발생하게 된 것이야. 







2. 시리아 내전 상황 요약


1) 소수파인 알아사드 정권의 단결력이 상당히 강한 편임. 


2) 러시아, 이란의 전폭적인 지원으로 시리아 정부군이 유리해졌음. 


3) 시리아 반군=이슬람 극단주의자라는 인식 때문에 서방의 입지가 좁아졌음. 







3. 알레포의 중요성


알레포관광홍보.JPG


시리아의 알레포 시는 







20160815_한겨레.JPG


인구 4백만의 알레포 주의 주도이자


중심지로 (2016)







알레포시.jpeg


2004년 인구조사에서 인구 213만을 


기록한 대도시라고 해. 







eosyriamap.jpg


그리고 시리아는 중동의 사막 국가라


국토 대부분이 사막이고 






농업.jpg

농경지가 국토 일부분에 쏠려 있어서 







밤사진.JPG


시리아의 알레포는 시리아의 핵심부 중 하나로 


매우 중요한 곳이야. (2015)







알레포주.jpg


그래서 시리아 정부군이 알레포 시를 점령하면


알레포 주 장악은 시간문제이고 







NISI20160826_뉴시스.jpg


시리아 반군은 시리아 북부에서 


사라질 수도 있다고 해. (2016.08)







3. 알레포의 중요성 요약


1) 알레포 시는 인구 400만의 알레포 주의 주도이자 중심지임. 


2) 알레포 시 인구는 2004년 기준 213만 명으로 상당히 많은 편임. 


3) 알레포 시가 점령당하면 시리아 정부군의 북부 장악은 시간문제임. 







4. 알레포 공방전 상황


Russian-Airstrikes-29-JAN--07-FEB--(1).jpg


러시아 공군의 맹공습 덕분에


시리아 정부군이 힘을 내서 (2015)  







MAP-35-Aleppo-mid-April.jpg


알레포 시까지 진격하는데 성공했고 (2016) 







알레포현상황.JPG


알레포 시의 반군을 포위하는데 성공했어. 







Figure_2Syria.jpg


하지만 알레포 시는 인구 200만의 대도시여서 (2004년 기준)







assad-tank-aleppo.jpg

(주민 대다수가 수니파라 더 어려움.)


쉽게 점령하다는 것은 극도로 어려운 일로 







aleppo-fronts-720.jpg


시리아 정부군의 알레포 점령은 


한발 한발 나아가는 초 장기전이라고 해. 







aleppo-damage-big.jpg


문제는 이 과정에서 발생하는


무시무시한 폭격 때문에







아수라장.JPG


수 많은 민간인 희생자가 발생해서 


매우 안타까운 편이야. 








20161005_조선.jpg


그래서 미국이 인도주의 문제로 


크게 반발하는 중인데 (2016)







일진일퇴의공방.jpg


러시아가 공습을 중단하면 


언제라도 알레포 포위망이 뚫리는 상황이라 (8월)







160810-map-aleppo-seige-after.jpg


질질 끌기 싫어하는 러시아 입장에서는


폭격을 계속 하려고 하고 있어. 






US-Russia-peace-talks-Aleppo-Mondoweiss-e1462394933321.gif


마지막으로 시리아 내전이 강대국의 이해관계에 따라


휘둘리는 현실이 참 안타깝고 







Syria_Monograph_Pop_Density_v2.jpg


시리아의 대도시 중 하나인 알레포가 


전쟁터가 되어서 슬프다고 생각해. 







mapas-syria2F.0.jpg


복잡한 시리아 내전이 


좋은 방향으로 빨리 끝나서 (2016.08)







before-after-war-photos-aleppo-syria-fb1__700.jpg


그럭저럭 괜찮았던 


옛 모습을 다시 찾아주었으면 참 좋겠어. ㅎㅎ 







4. 알레포 공방전 상황 요약


1) 러시아, 이란의 지원 덕분에 시리아 정부군이 알레포에 진격함. 


2) 알레포 공방전은 포위전 양상으로 민간인 희생이 많은 편임. 


3) 미국은 민간인 희생과 시리아 반군 때문에 러시아의 폭격을 반대함. 


4) 러시아는 시리아 내전을 빨리 끝내기 위해 폭격을 많이 하고 싶어 함. 






과거글 링크 : http://www.ilbe.com/8892463792






3줄 요약


1. 시리아 내전은 주변 강대국들의 개입으로 5년 이상 지속 중임. 


2. 러시아, 이란의 지원 덕분에 시리아 정부군이 승리하는 모양새임. 


3. 시리아의 대도시 알레포에서 반군과 정부군의 엄청난 공방전이 벌어지고 있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