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GM정보 : 브금저장소 - http://bgmstore.net/view/upHDR
안녕~ 오늘은 우리나라 부동산 시장으로 글을 쓸 생각이야.
글이 많이 부실한데, 이점 양해 바랄게~
목차는
1. 부동산 시장 흐름
2. 최근 우리나라 주택가격
3. 정부의 부동산 대책
이렇게 쓸 생각이야.
1. 부동산 시장 흐름
우리나라의 주택가격은 노무현 정부 때
2~3배 정도 급상승해서 (2011)
소득 대비 주택가격이 서울은 8배, 지방이 6배 정도로
비교적 집값이 비싼 편이야. (2014)
그리고 2008년 경제위기 여파 때문인지
2008년 이후부터 주택가격 상승이 정체되어서 (2013)

우리나라의 부동산 시장은
2008~2013년 동안 침체된 모습을 보였었어. (2013)
그러자 우리나라의 건설업이 크게 위축되어서 (2013)
부실 건설사들이 많이 생기게 되자 (2012)
정부는 2014년도에
9.1 부동산 활성화 정책을 시행했고
그 덕분인지 침체된 부동산 시장이
2015년부터 살아났다고 해. (2015)
그 결과 우리나라의 건설투자가
크게 증가해서 (2016)
건설업이 우리나라 경제성장에
큰 기여를 하고 있고 (2016)
부동산 관련 세금으로
우리나라의 세수가 크게 증가한 편이야. ㅎㅎ (2016)
단점으로는 부동산 과열 우려가 좀 있는 편이고 (2016)
부동산 담보대출로 가처분소득 대비
가계부채가 크게 증가했으며 (2016)
주택건설로 아파트 입주물량이 크게 증가해서 (2016)
공급과잉 우려가 생기고 있어. (2016)
1. 부동산 시장 흐름 요약
1) 노무현 정부 때 부동산 버블이 발생하고 이명박 정부 때 부동산 침체가 발생함.
2) 부동산 침체로 건설업이 위축되자 박근혜 정부에서 부동산 활성화 정책을 시행함.
3) 건설투자가 경제성장을 이끌고 있는 장점과 부동산 과열에 대한 우려가 발생 중임.
2. 최근 우리나라 주택가격

(출처 : 국민은행 주택가격동향)
서울시의 주택가격 상승은 전월대비 조금 높은 편이고
강남 3구가 주도하고 있으며 (2016.09)

5대 광역시의 주택가격 상승은 생각보다 별로인데
부산시가 많이 올랐다고 해. (2016.09)
그리고 기타지방의 주택가격 상승은
별 볼일 없는 편으로

올해 부동산 시장은 서울과 부산이
주도하는 편이야. (2016.09)
그래서 부동산 과열 우려는 일부 지역의 문제로 (2016.10)
전국 평균으로 보면
별 문제가 없는 편이라고 해. (2016.09)
그래서 부동산 시장에 대한 규제를
굳이 할 필요가 없을 수도 있는데 (2016.10)
서울 일부 지역의 주택가격 상승이
전년대비 4% 이상으로 조금 높고 (2016.10)
과도한 청약 경쟁이 발생하고 있어서 (2016)
일부지역에 한해서는
규제가 필요한 실정이야. (2016)
2. 최근 우리나라 주택가격 요약
1) 올해 주택가격 상승은 서울과 부산 일부지역이 주도했음.
2) 전국 평균으로 보면 부동산 규제가 딱히 필요 없는 실정임.
3) 하지만 일부지역에 한해선 과열 분위기가 있어서 대책이 필요함.
3. 정부의 부동산 대책
전문가의 평가에서도 부동산 과열은
일부 지역만의 문제라고 보고 있는데 (2016)
정부는 대출규제라는 생각보다
범위가 넓은 대책을 내놓았어. (2016)
그 이유는 아마도 주택담보대출이
갑자기 많이 증가해서 그런 것으로 (2016)
보금자리론 대출 증가세를 볼 때
적절한 판단인 것 같아. (2016)
다만 우리나라의 부동산 시장이
강남 3구 같은 곳만 있는 게 아니라 (2016)
대구 같이 침체된 곳도 있어서 (2016)
부동산 규제를 지역에 맞게
적절하게 해야 한다고 생각해. (2016)
뭐 어쨌든 정부의 규제 예고 덕분인지 서울의 아파트 거래량이
7월 이후로 조금씩 줄고 있으며 (2016년 10월 15일 기준)

(출처 : 토지주택연구원)
서울 인구가 매달 조금씩 빠져나가고 있어서
부동산시장 과열 가능성은
적절한 선에서 조절될 것 같아. ㅎㅎ (2016.08)
3. 정부의 부동산 대책 요약
1) 부동산 과열은 일부 지역만의 문제였는데, 정부가 대출규제라는 큰 정책을 시행함.
2) 보금자리론 대출 증가세를 보면 나름 적절한 정책으로 생각되는 편임.
3) 하지만 부동산시장 과열은 일부 지역만의 문제라 맞춤형 대책이 필요하다고 생각함.
과거글 링크 : https://www.ilbe.com/8892463792
3줄 요약
1. 올해 주택가격 상승은 서울 강남3구와 부산 해운대구가 주도함.
2. 하지만 대다수 지방이 정체 상태라 전국 평균으로는 0.8% 상승함.
3. 도심지는 과열 조짐, 지방 변두리는 침체 상태라 맞춤형 부동산 대책이 필요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