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GM정보 : 브금저장소 - http://bgmstore.net/view/1S6hh
안녕~ 오늘은 우리나라의 모병제 논의로 글을 쓸 생각이야.
글이 많이 부실한데, 이점 양해 바랄게~
목차는
1. 모병제 논의 발생
2. 해외 사례
3. 우리나라의 대응방법
4. 모병제 논의
이렇게 글을 쓸 생각이야.
1. 모병제 논의 발생
모병제 논의는 예전부터 조금씩 나오고 있었지만
의견 자체가 미미해서 큰 의미가 없었는데 (2016)
최근 남경필 경기도지사의 모병제 공약으로
모병제에 관해 TV토론을 할 정도로
생각보다 많이 나오고 있어.
하지만 모병제에 대한 정치권의 의견들이
대부분 회의적이고 (2016)
심각한 북핵 위협 때문에
국민들의 의견도 부정적이라 (2016)
시기상조라는 의견이 상당히 많은 편이야. (2014)
그럼에도 모병제 논의가 나오는 이유는
우리나라의 심각한 저출산 문제 때문에 (2013)
입대가능인원이 앞으로 크게 감소될 전망이라
그런 것으로 (2016)
이런 인구구조적 문제 때문에
모병제 주장도 타당성이 있다고 생각해. ㅎㅎ
1. 모병제 논의 발생 요약
1) 모병제 논의는 예전엔 상당히 적었는데 최근 부각되었음.
2) 우리나라의 심각한 저출산 때문에 모병제 의견이 나오고 있음.
3) 심각한 북핵 위협 때문에 아직은 시기상조라는 의견이 대다수임.
2. 해외 사례

전 세계의 병역제도는 모병제와
징병제가 반반 정도이지만
모병제로 전환하는 경우가 많은 편이야. (2016)
또 북한과 이스라엘 같은 특이 사례를 제외하면
대체로 군 복무 기간이 짧은 편으로 (2016)
우리나라도 그 추세에 맞춰
군복무 기간을 점차 줄이고 있어. (2013)

이런 추세 때문에 모병제가 대세인 것 같지만
예외도 조금 있는데 (2016)
대만에서 모병제를 시범 시행했다가
형편없는 대우 때문에 지원자가 거의 없고 (2013)
스웨덴 같은 경우는 심각한 저출산 때문에
반대로 징병제 전환을 추진 중이라고 해. (여성 징병 예정.)
또 복지가 굉장히 좋은 일본 자위대도 구인난이 좀 있어서
모병제 전환은 깊게 생각해볼 문제인 것 같아. ㅎㅎ
2. 해외 사례 요약
1) 해외 추세는 징병제에서 모병제로 전환, 군 복무기간 단축임.
2) 다만 심각한 저출산에 시달리는 스웨덴은 반대로 징병제 전환 예정임.
3) 일본, 대만 같은 경우 지원자 부족 때문에 애를 먹고 있음.
3. 우리나라의 대응방법

3. 우리나라의 대응방법 요약
1) 병역 자원 감소가 크게 발생할 예정이라 국방부도 대응방안을 생각 중임.
2) 병역특례제도 폐지, 현역판정률 확대로 징병 대상자를 늘릴 예정임.
3) 국방개혁으로 부사관 증원과 군병력 10만 명 감축을 추진한다고 함.
4. 모병제 논의
징병제와 모병제는 각각의 장단점이 있고
찬반 이유도 충분한 타당성이 있다고 생각해. (2016)
가장 큰 문제는 모병제로 전환 시
발생하는 천문학적인 돈 문제인데
우리나라는 45만 명의 대인 원을
월급 13만 원으로 부리고 있어서 (2014년 기준)
병사 급여로 1조 원을 안 쓰는 편인데,
병사 월급으로 130만 원을 줄 경우
국방비에서 7조 원 정도의 예산이 추가로
필요할 것으로 생각해. ㄷㄷ (2015)
(http://m.yna.co.kr/kr/contents/?cid=AKR20161014081300001&source=kakaochannel&mobile)
다만 예산 마련은 병역세나 다른 분야의 예산을 줄이면
가능할지도 모르는 일이고
모병제로 전환될 경우
우리나라의 열악한 군 환경이 개선되고
미국과 비슷한 소수정예의 강군이 나올 수도 있는 이야기라
흥미로운 이야기인 것 같아. (2014)
뭐 어쨌든 지금은 북핵 위협 때문에
모병제 논의가 사실상 어려운 편이라

모병제 논의는 북핵 해결 혹은 통일 이후에나
가능한 이야기라고 생각해. ㅎㅎ
4. 모병제 논의 요약
1) 모병제와 징병제 의견은 둘 다 나름의 타당성이 있음.
2) 모병제 전환은 수 조 원의 예산 소요가 발생해서 예산 마련이 핵심임.
3) 지금은 북핵 위협 때문에 모병제 논의가 상당히 어려운 편임.
과거 글 링크 : https://www.ilbe.com/8865269016
4줄 요약
1. 심각한 저출산 때문에 60만 대군 유지가 사실상 어려워졌음.
2. 그래서 모병제를 통한 소수정예화 주장이 조금씩 나오고 있음.
3. 북핵 위협과 예산 문제 때문에 상당히 어렵지만, 흥미롭다고 생각함.
4. 국방부는 병역특례제도 폐지와 현역판정률 확대로 인구문제에 대비 중임.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