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GM정보 : 브금저장소 - http://bgmstore.net/view/Xnq9y

Egyptian-Pyramids-PPT-Template-1024x768.jpg


안녕~ 오늘은 이집트 경제로 글을 쓸 생각이야.


글이 많이 부실한데, 이점 양해 바랄게~







목차는


1. 이집트 소개


2. 이집트 경제


3. 최근 상황


4. 이집트 경제를 위해 필요한 것들


이렇게 쓸 생각이야. 







1. 이집트 소개


2000px-LocationEgypt.svg.jpg


이집트는 아프리카 북쪽에 


위치한 나라로








소개.JPG

인구가 8,800만 명으로 


엄청나게 많아서 (2015)








egypt-population-map-total-population-birth-rate-and-population-density-fanack-1024px.jpg


중동 및 북아프리카 지역에서


인구가 가장 많은 나라라고 해. (2015)








 위성사진.JPG


그리고 이집트는 우리나라보다 


10배 정도 땅이 더 큰 나라인데 








사막.JPG


국토 대부분이 메마른 사막이라 








나일강.JPG


이집트에서 사람이 살만한 곳은


나일 강 근처로 생각보단 많이 작은 편이야. ㅋㅋ








9CLeRzR.jpg


이런 이유로 이집트는 


인구 밀집도(Density)가 엄청나게 높고 








관광지도.JPG


이집트의 도시, 항구, 공항 등등의 시설들이


나일강과 해변에 집중되어 있다고 해. 








og.jpg

그 외에 이집트의 국민소득은 


2,700 달러 수준으로 (2016)








도시.JPG


이집트가 상당히 못사는 나라이기는 한데 







Number-of-millionaires-in-Africa-by-country.jpg


아프리카 국가 중에서는 


남아공 다음으로 재산이 많은 편이라 









휴양지.JPG


그 동네 국가들 중에서는


비교적 괜찮은 나라인 것 같아. ㅎㅎ








1. 이집트 소개 요약


1) 이집트는 우리나라보다 10배 정도 더 크고 인구는 8,800만 명임. 


2) 국토 대부분이 사막이라 인구 대부분이 나일 강 근처에 몰려있음.


3) 매우 못사는 나라이지만 아프리카 국가 중에선 비교적 괜찮은 나라임.








2. 이집트 경제


What_did_Egypt_export_in_2014-.jpg

(출처 : http://atlas.cid.harvard.edu/)


이집트의 수출구조를 살펴보면


원유, 면직물, 농산물, 화학제품을 주로 수출하고 (2014)








What_did_Egypt_import_in_2014-.jpg


석유, 제조업 제품, 농산물, 철강제품을 


주로 수입하는 편으로 (2014) 


 






egypt by the numbers oilinfog 2016 April TEKMOR.jpg


의외로 이집트는 석유와 


천연가스가 나오는 산유국이야. (2014)








 oil-production-exports-databrowser.jpg

(사우디의 원유 생산량은 하루에 천만 배럴 정도임.)


하지만 이집트의 원유 생산량은 


하루에 60만 배럴로 매우 적고 (2010)








Egypt-gas-1.jpg


생산(Production)수요(Demand)를 겨우 충족하는 수준이라  


큰 의미가 없는 것 같아. ㅋㅋ (2014. 천연가스) 








40232_Egypt-GDP-by-sector-2011-2012.jpg


이집트의 다른 산업으로 제조업


농업, 무역 등이 있는데 (2012)








manufacturing-statistics.jpg

(기계, 화학, 식품가공업, 의류, 기타)


이집트의 제조업 중에 기계 산업 비중이 매우 작아서


공업기술력이 매우 약할 것 같고 (2013)









eifc33large15.jpg


나일 강 근처에서 농경지가 많이 있으나 








이집트빵.JPG


이집트의 농업기술력이 빈약하고


인구가 8,800만 명으로 엄청 많아서 그런지 








20130221_국민.jpg


이집트는 곡물 수출보다 


수입이 더 많은 나라라고 해. (2013) 








egypt_trade_balance.jpg


이렇게 이집트의 산업에서 특별한 강점이 없다보니 


무역수지 적자가 만성적인 편이고 (2012)









egypt-gdp-growth-annual.jpg

신흥국치곤 경제성장률이 쫌 낮은 편이야. (2016)









2. 이집트 경제 요약


1) 이집트에 석유가 나오기는 하나 하루 60만 배럴로 매우 적음. 


2) 이집트가 농업을 많이 할 거 같은데, 오히려 식량 수입국임. 


3) 경제성장률이 생각보다 낮은 편으로 좀 문제가 있어 보임. 








3. 최근 상황


민주화혁명.jpg


이집트는 2011년에 민주화혁명을 해서


독재자를 몰아낸 나라인데 (2011)








이집트경제2.jpg


독재자 축출 과정에서 


상당한 경제 혼란을 겪어야 했고 (2013) 








이집트정치역사.jpg


이슬람 원리주의 정부와 그에 반대하는 군사 쿠데타로


정치적 혼란이 꽤 심했던 나라였어. 








 이집트산업정책_대외경제정책연구원.JPG


이런 이집트의 혼란을 진정시키고자


이집트 정부가 추진한 것이 (2013)








토건사업.jpg


대규모 토목사업인데 








egypt-external-debt.jpg

이런 토건사업 자금을 외채로 마련하다보니 


이집트의 나랏빚이 크게 증가한 상태야. (2016)








20150806_세계.jpg

토건사업의 투자금이 바로바로 회수되면 


빚 걱정 없이 참 좋을 텐데 (2015)








Debt.jpg


이집트 정부가 돈 융통을 잘 못해서 그런지 







글로벌이코노믹.JPG

이집트 정부가 IMF로부터 


돈을 꾸게 되었다고 해. (2016)








3. 최근 상황 요약


1) 이집트는 민주화운동과 군부쿠데타로 정치가 혼란스러운 나라임. 


2) 사회 안정을 위해 이집트 정부가 대규모 토건사업을 많이 벌임. 


3) 외채 관리에 조금 문제가 있어서 최근 IMF 구제금융을 요청함. 








4. 이집트 경제를 위해 필요한 것들


initial-agreement-reached-betwee.jpg


이집트가 IMF 구제금융에서 빨리 벗어나려면 








egypy forgeign currency reserves.jpg


2011년 민주화운동 이후 아작 난


이집트의 외환보유고를 늘려야 하는데 (2015)








세계경제와운하물류량.jpg


그러기 위해선 세계경제가 좋아져서 


수에즈 운하의 물류이 크게 증가해야하고 (2012) 









테러.JPG


이집트 내에서 발생 중인 


테러 문제를 빨리 해결해야 한다고 봐. (2015)







ancient egypt map.jpg


이집트는 고대 이집트 왕국으로부터 








Egypt-tourism.jpg


찬란한 문화유산을 받은 나라로 








tourism-north-africa.jpg


관광수입이 이집트 경제에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는데 (2014)








20151101_경향.jpg


테러 증가와 함께 비행기 추락 사고가 


빈번히 발생하고 있어서 (2015)







-1x-1.jpg

외국인 관광객들이 이집트 여행을 


많이 꺼리고 있어. (2015)









20160519_국민.jpg


그래서 이집트 경제가 살아나려면 치안 관리를 잘해서 


문제가 발생하지 않도록 잘 막아야 하고 (2016)







 

201507_매경.jpg

 

세계 경제가 활성화되어서 제2 수에즈 운하에서 


많은 이익을 얻으면 될 것 같아. (2015)








20151029_매경.jpg

그 외에 이집트의 유전 개발이 좋은 성과를 거두면


빚 문제를 많이 완화시킬 수 있어서 (2015)









이집트도시.JPG


현재의 위기 상황을 잘 극복하면


아프리카에선 꽤 괜찮은 나라가 될 것으로 생각해. ㅎㅎ 








4. 이집트 경제를 위해 필요한 것들 요약


1) 세계경제 회복으로 수에즈 운하 통행료 수입이 증가해야 함. 


2) 치안 관리를 잘해서 외국인 관광객을 다시 유치해야함. 


3) 이집트 정부가 투자한 토건사업이 좋은 성과를 거두어야 함. 








과거글 링크 : http://www.ilbe.com/8615979174








4줄 요약


1. 이집트는 북아프리카에서 상당히 큰 나라임. 인구 8,800만 명. 


2. 국민소득 3천 달러로 많이 가난한 나라인데, 최근 IMF 구제금융을 받기로 함. 


3. 이집트 정부가 토건사업을 많이 해서 돈이 좀 부족한 것이 이유인 것 같음.


4. 현재의 악조건을 잘 극복하면 나중에 더 발전할 나라라고 생각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