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GM정보 : 브금저장소 - http://bgmstore.net/view/oHlBS
안녕~ 오늘은 치킨 시장으로 글을 쓸 생각이야.
글이 많이 부실한데, 이점 양해 바랄게~
목차는
1. 치킨 소개
2. 우리나라 치킨 시장
3. 치킨 브랜드
4. 치킨 시장 문제점
이렇게 쓸 생각이야.
1. 치킨 소개
치킨은 닭을 튀기거나 구워만든 요리로
우리나라 사람들이 닭요리로 가장 많이 먹는 것이
치킨이라고 해. (2015)
닭은 부화 후 한 달이면 출하가 되기 때문에
생산성이 매우 좋아서 (2015)
소고기에 비해 닭고기의
생산 효율성이 훨씬 높고 (2015)
단백질이 풍부하고 지방이 적은
훌륭한 영양 공급원이야.
닭고기의 이런 좋은 특징 덕분에
소와 돼지고기는 가려도 닭고기를 안 먹는 나라는 드물고
(출처 : 하림)
세계 각국에 다양한 닭고기 요리가 있으며
돼지고기 다음으로 닭고기를 많이 먹고 있어. (2012)

(poultry : 가금류. 닭, 오리, 거위 등의 조류 고기.)
국가별 1인당 닭고기 소비량은
영미권 국가들에서 높게 나오고 있고 (2012)

유럽, 중국 등은 돼지고기 비중이 높은 편인데 (2012)
미래에는 닭고기 소비의 높은 증가율 때문에
닭고기 소비가 돼지고기 소비보다 더 많을 것이라고 해. ㅎㅎ (2011)
1. 치킨 소개 요약
1) 치킨은 닭을 튀기거나 구운 요리로 사람들이 많이 좋아함.
2) 닭은 성장이 빨라서 매우 효율적인 단백질 공급원임.
3) 미래에는 돼지고기 소비보다 닭고기 소비가 더 많을 것이라고 함.
2. 우리나라 치킨 시장
우리나라의 치킨 요리는 60년대 전기구이 치킨에서 시작해서
80년대에 양념치킨으로 발전했고 (2014)
90년대에 BBQ와 교촌치킨 등의
프랜차이즈 치킨이 등장해서 많이 발전했어. (2013)
![Authentic Korean Style Fried Chicken @ Myeongdong [Korea] (Large).JPG](/img/transparent.gif)
우리나라의 치킨 요리는 단순한 튀김, 구이에서

양념, 후라이드, 간장, 매운 양념 등
치킨의 종류가 무척 다양해졌으며
새로운 양념 재료를 추가해서
더 발전하는 중이야. ㅎㅎ
우리나라의 치킨시장 규모는
5조원을 넘어섰고 (2013년 기준)

매장 수는 3만개 이상으로
우리 주변에 흔히 볼 수 있으며 (2012년 기준)
우리나라 국민의 50% 이상이
매주 1번 이상은 닭고기를 먹고 있어서 (2015)
치킨 시장은 외식산업 중에서
규모가 꽤 큰 편이라고 생각해. (2016. 경남 기준)
2. 우리나라 치킨 시장 요약
1) 치킨은 60년대 전기구이 치킨에서 80년대 양념치킨으로 발전함.
2) 90년대에 프랜차이즈 치킨이 등장해서 치킨 종류가 더 다양해짐.
3) 치킨 시장의 규모는 5조원 이상이고 매장 수는 3만개 이상이라고 함.
3. 치킨 브랜드
치킨 업종은 프랜차이즈 가맹률이 높은 편이고 (2012)
많은 프랜차이즈 업체들이 있는 편이야. (2015)
프랜차이즈 업체들의 매장 수는
BBQ, BHC, 네네, 교촌 순이고 (2015)

브랜드 평가에서 네네치킨이 1위라고 하지만 (2014)
가맹점 연평균 매출액은
교촌이 1위로 (2016)
프랜차이즈 업체들의 매출액과 (2015)
영업이익 등을 볼 때
교촌이 치킨업체 최강인 것 같아. ㅎㅎ (2015)
3. 치킨 브랜드 요약
1) 치킨 시장은 프랜차이즈 업체의 비중이 다른 업종에 비해 높은 편임.
2) 매장 수 1위는 BBQ, 브랜드 평가는 네네치킨이 높게 나오고 있음.
3) 매출액, 영업이익에서 교촌이 가장 높은 편으로 최고는 교촌인 것 같음.
4. 치킨 시장 문제점
닭고기 판매가격은 제자리걸음 중인데
치킨 가격은 계속 오르는 편으로 (2015)
치킨가격이 비싸다는 지적이
많아지고 있는 중이야. (2015)

하지만 치킨집의 연간 순소득은
많이 낮은 편으로 (2012)

유통구조에서 생기는 가격 증가와
배달 비용이 가격 부담의 원인으로 보여서 (2010)
치킨집 사장님들의 잘못은 아니라고 생각해. ㅎㅎ (2010)

그다음으로 치킨 업종의 문제점은
높은 폐업률로 (2016)
치킨집의 꾸준한 증가로 인해
시장포화가 심한 편이라 (2014)
한해에만 8천개 정도가 폐업을 하고 있어. ㄷㄷ (2011)
이렇게 빡센 치킨 시장 때문에
업종별 경기지수에서 치킨집의 전망이 낮은 편인데 (2016)

지역별 상권을 잘 보고
치킨집을 하는 게 좋다고 생각해. (2015)
지역별 치킨집 폐업률은 서울, 광주, 전북이
비교적 높게 나오고 있고 (2014)
프랜차이즈별로는 교촌과 네네치킨이
비교적 안전하다고 나오고 있어. (2013년 기준)
마지막으로 치킨값 상승은 10년 동안 30% 증가한 것이라
아주 심한 편은 아니라고 보고 (2015)
두마리 치킨이나 9천 원대 치킨 등
저렴한 치킨도 많아서 괜찮다고 생각해.

또 치킨업종의 생존율이 낮은 게 참 안타까운데 (2014)
우리나라의 상당히 낮은 육류 섭취량이 (2015)
OECD 평균 수준으로 증가하면
우리나라의 치킨집 매출이 2배는 증가할 것 같아. (2016)
닭고기 소비는 다른 고기에 비해
증가율이 높은 편이라 (미국)

1인당 닭고기 소비 증가로
우리나라의 치킨집들이 잘되었으면 좋겠어. ㅎㅎ
4. 치킨 시장 문제점 요약
1) 치킨 가격의 꾸준한 상승으로 가격이 비싸졌다는 불만이 많음.
2) 다른 업종에 비해 폐업률이 높은 편으로 경쟁이 매우 심한 편임.
3) 우리나라의 닭고기 소비량은 OECD 평균의 절반 수준임.
과거글 링크 : https://www.ilbe.com/8436343676
3줄 요약
1. 국민의 절반이 매주 1번 이상 닭고기를 먹을 정도로 치킨이 사랑받고 있음.
2. 치킨 시장의 강자는 교촌으로 매장 수는 비교적 적어도 실적이 우수함.
3. 치킨 시장은 과포화 상태로 폐업률이 높아서 장사하기 힘든 편임.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