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GM정보 : 브금저장소 - http://bgmstore.net/view/F3p6G

표지_2016030_뉴스토마토.jpg


안녕~ 오늘은 물가에 대해 글을 쓸 생각이야.


글이 많이 부실한데, 이점 양해 바랄게~








목차는


1. 물가 소개


2. 물가 변화 


3. 물가 변화의 이유


이렇게 쓸 생각이야. 








1. 물가 소개


한국은행경제교육2.jpg

(출처 : 한국은행 경제교육) 


물가란 여러 재화의 개별가격을 종합, 평균한 것으로








한국은행경제교육.gif

사회 전체의 입장에서 전상품의 가격을 


종합적으로 보는 개념이라고 해. 








계층별소비_20121218_한국일보.jpg

문제는 계층, 나이, 성별마다


소비품목이 크게 다르고 (2012)








농산물_20160601_헤럴드경제.jpg

개별품목의 가격변동이 심하기 때문에 (2016.06)








장님의코끼리만지기.jpeg

사람마다 체감하는 물가 수준이 많이 다른 편이야. ㅎㅎ








201401_연합.jpg

그래서 우리나라의 물가수준이 


선진국에 비하면 싼 편인데도 (2014)








20160331_조선.jpg

최저임금 빅맥지수로 볼 때는 


우리나라의 물가가 상당히 비싸게 나오고 있어. (2016)








과거_20110330_동아.jpg


뭐 어쨌든 우리나라의 물가는 예전에는 


상당히 높았는데 (2011) 








십년치물가_20151231_포커스.jpg


2015년부터 갑자기 1% 이하의 


낮은 물가상승률을 보여주고 있어서 (2015) 









물가설명회_이데일리.JPG


한국은행에서 물가관리 설명회를 열 정도로 


크게 낮아진 상태야. (2016)








1. 물가 소개 요약


1) 물가는 여러 재화의 가격을 종합, 평균한 경제지표임. 


2) 전체 평균이다 보니 개인이 느끼는 체감 물가랑 크게 차이남. 


3) 우리나라의 물가는 선진국보단 싼 편인데, 소득 대비로는 비싸다는 말이 있음. 








2. 물가 변화 


물가품목_20140728_서울신문.jpg


물가는 481가지 물가지수 품목들의 가격에 


품목별 가중치를 적용해서 계산한 것으로 (2014) 








물가품목_20160701_동아.jpg


이 물가지수 구성품목은 5년마다 조금씩 바뀌고 있어. (2016) 







한국은행경제교육3.gif

뭐 어쨌든 중요한 점은 물가가 


전년대비 얼마나 상승했냐의 물가상승률로 








OECD최고상승률_KBS1.jpg


한때 우리나라가 OECD 최악 수준의


물가 상승률을 보여줬는데  








한은목표_20160702_한경.jpg


요즘은 한국은행의 기준치를 미달해서 


한국은행에서 걱정하고 있는 편이야. (2016)








실질임금_20120215_한겨레.jpg

물가상승률이 낮으면 소비자에게 좋은 일 아니냐? 싶지만 (2012)









디플레악순환.jpg

물가상승률 둔화가 디플레이션 조짐일 수 있어서 


전문가들이 우려를 많이 하고 있어. 








20150609_머니투데이.jpg


실제로 경제성장률 둔화와 함께


물가상승률이 둔화되고 있어서 (2015)








20150522_한국일보.jpg


이게 내수소비 위축에 의한 물가하락인지 


조금 걱정되는 편이야. (2015) 









2. 물가 변화 요약


1) 한때 물가상승률이 OECD 최악 수준이었는데, 최근엔 저물가라고 함. 


2) 물가상승률 둔화가 소비자에게 좋은 일인데, 디플레이션 우려가 나오고 있음. 


3) 디플레이션 악순환에 빠지면 일본처럼 잃어버린 20년 행이라 조심해야함. 








3. 물가 변화의 이유


한국은행보도자료.JPG

한국은행 보도자료에 따르면 물가상승률 둔화에는


수요요인(-0.55)도 조금 있지만 (2016)








 한국은행보도자료2.JPG

가장 큰 요인은 국제유가 하락에 의한


공급요인(-1.52) 때문이라고 해. ㅎㅎ (2016)








20150512_이투데이.jpg


실제로 국제유가가 큰 폭으로 하락했던 


2014~2015년 사이에 (2015)








201504_한경.jpg


소비자물가 상승률이 극적으로 변했기 때문에


타당성이 높은 편이야. (2015)








통계청그래프.jpg

또 우리나라의 물가지표에서 에너지식료품에 대한


가중치가 매우 높은 편이라 (2012)








국제곡물가.JPG

(FAO : 유엔식량농업기구)


국제유가 하락과 국제곡물가 하락에 의한 (2016. 고점대비) 








수입물가_20160713_연합.jpg


수입물가 하락이 물가상승률 둔화에 


가장 큰 영향을 끼쳤을 것으로 보여. (2016.06) 








체감물가_20150730_세계.jpg

따라서 소비자 물가와 크게 차이나는 


체감물가지수와 (2015)








신선식품_20160304_동아.jpg


고공행진 중인 신선식품지수를 보면


통계와 체감 수준에 큰 차이가 있을 것으로 생각해. ㅎㅎ (2016) 








공공요금_20160620_헤럴드경제.jpg


하지만 체감 수준은 사람마다 제각각이기 때문에


물가지표가 맞다 틀리다 를 논하기 뭐하고 (2016) 








국제유가_20150108_파이낸셜.jpg

여러 부분에서 물가상승률 둔화 요인이 있기 때문에 (2015)








세계_20151119_연합.jpg


우리나라에 디플레이션이 없도록 


잘 관리해야 할 것 같아. (2015) 








한국은행경제교육4.gif

뭐 어쨌든 우리나라의 물가상승률 둔화 요인이 생산원가하락이라 


지금 당장은 나쁘지 않다고 생각해. ㅎㅎ








3. 물가 변화의 이유 요약


1) 물가상승률 둔화 요인은 수요요인보다 공급요인 탓이 큼. 


2) 국제유가 하락, 국제원자재가격 하락으로 수입물가가 크게 하락함. 


3) 물가상승률 둔화는 생산원가하락에 의한 것으로 큰 문제는 아님. 








과거글 링크 : https://www.ilbe.com/8436343676








3줄 요약


1. 최근 물가상승률이 1% 이하라 디플레이션 우려가 나오고 있음.


2. 소비위축보다 원자재 가격하락이 주요 원인으로 큰 문제는 아님. 


3. 최근 저물가는 통계 착시로 생각되고 체감물가는 여전히 높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