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GM정보 : 브금저장소 - http://bgmstore.net/view/7ZfbW

미국과중국.JPG


안녕~ 오늘은 사드 배치로 인한 


중국의 경제보복 가능성에 대해 글을 쓸 생각이야.


글이 많이 부실한데, 이점 양해 바랄게~








목차는


1. 사드와 중국 반응


2. 우리나라와 중국 교역-1


3. 우리나라와 중국 교역-2 


이렇게 쓸 생각이야. 







1. 사드와 중국 반응


사드배치.jpg


최근 우리나라 정부가 


사드 배치를 전격 발표하자








20160210_조선.jpg


중국이 크게 반발하고 있어. 








20150625_한겨레.JPG

사드 미사일은 북한의 스커드 미사일도 막아줄 수 있기에 


우리나라에게 매우 필요한 방어 체계인데 (2015)









20160708_세계.jpg


중국은 사드 레이더가 어쩌구 하면서 


트집을 잡고 있는 중이야. (2016)









screen shot 2015-10-16 at 8.53.40 am.jpg


우리나라가 사드 레이더를 


미사일 요격모드(600km)로만 운용한다고 


설명해줘도 소용이 없는 게 (2015)








중국미사일기지.JPG


중국의 속셈은 유사시 주한미군 및 한국군을 


공격할 중국의 중거리 미사일들이 








Fig3_THAAD1.jpg


사드로 인해 무력화될까봐 그런 것으로 


우리나라의 설명은 사실 무의미하다고 생각해. 








20160312_동아.jpg


우리나라는 북한의 스커드, 노동 미사일을 막기 위해


사드가 정말로 필요한 편인데 (2016)








20160210_조선.jpg


중국은 사드를 배치하면


보복을 하겠다고 으름장을 놓고 있어. 








1. 사드와 중국 반응 요약


1) 사드는 북한의 미사일을 요격할 수 있어서 우리나라에 필요한 방어체계임. 


2) 중국은 사드 배치가 자국의 국익을 침해한다고 주장하고 있음. 


3) 사드 배치로 인한 중국의 경제보복이 우려되고 있는 상황임. 








2. 우리나라와 중국 교역-1


대중국수출액.jpg

우리나라와 대중국 수출은 


중국의 개방 이후 크게 증가해서 (2010)








수출비중.jpg


우리나라 수출에서 대중 수출이 차지하는 비중이


25%나 되는지라 (2014)








20160218_한겨레.JPG


중국이 경제보복을 가한다면


우리나라의 수출에 악영향이 있을 것이야. (2016) 








대중국수출품.jpg

하지만 우리나라의 대중국 수출품목 대부분이 


전자부품, 화학제품 등이라 (2011) 








수출품목.jpg


중국이 이것을 수입하지 않을 경우


중국의 생산과 수출이 차질을 받기 때문에 (2008)









20120614_세계.jpg


중국이 경제보복을 가할만한 곳은


대중국 소비재 수출이 그나마 가능성이 있어. (2012)








20160710_한겨레.JPG


다만 그것도 중국이 WTO 회원국이라 


비관세 장벽에서만 가능한 일로 (2016)








20100615_한경.jpg


중국 정부의 각종 규제정책을 통해 


충분히 할 수가 있는데 (2010)









20160603_세계.jpg


문제는 중국이 우리나라에 무역보복을 가하면


미국도 껀수로 보고 중국에게 무역보복을 가할 수 있어서 (2016)








 

비중분석_2012.jpg


무역을 통한 중국의 경제보복은


중국에게도 리스크가 크다고 생각해. (2012) 








2. 우리나라와 중국 교역-1 요약


1) 우리나라는 대중국 수출 비중이 매우 높은 나라임. 


2) 근데 우리나라의 부품을 수입 안하면 중국의 산업도 타격받음. 


3) 그래서 타격 받을 분야가 주로 소비재 수출임. 대중 수출의 3% 정도?









3. 우리나라와 중국 교역-2 


20160710_한겨레.JPG


금융 분야에 대한 중국의 경제보복 이야기는 


코웃음이 나오는 이야기인데 (2016)








20140701_해럴드경제.jpg 


중국이 우리나라에 투자하는 돈보다


우리나라가 중국에 투자하는 돈이 


압도적으로 많고 (2014) 









한중투자.jpg


중국의 대한국 투자액이 형편없어서 


큰 의미가 없는 이야기야. (2014)







20140404_조선.jpg


그다음 한류 분야에 대한 


중국 정부의 규제 가능성이 있는데 (2014)








htm_20140922_중앙.jpg


애초에 중국 정부가 한류에 대해 규제 일변도였고 


수익이 너무 적어서 


우리나라 경제 전체에는 영향이 매우 적어. ㅋㅋ (2014)








20150216_연합.jpg


진짜 우려되는 분야는 관광산업으로 


전체 관광객 중에 중국인 비중이 높아서 (2015)









20150508_국민.jpg

중국이 한국 관광을 금지하거나 


관광객 축소를 만든다면 (2013)








관광업비중.jpg

우리나라의 관광산업에 큰 타격이 될 전망이야.








htm_20160711_중앙.jpg


그래서 여행, 카지노 업종의 주가가 


큰 폭으로 하락했는데 (2016)







20140722_YTN.jpg


여행 금지는 초강수 중에 초강수이고 


보는 눈이 많아서 쉽지는 않을 것으로 생각해. 








SSI_20160105_서울신문.jpg

또 중국은 내부적으로 문제가 많이 있어서 (2015) 









20160307_동아.jpg


경제보복이니 뭐니 하기도 전에


대중 교역이 운지 중이고 (2016) 









htm_20151029_중앙.jpg


우리나라 말고도 남중국해 문제가 있어서


거기에나 신경 썼으면 참 좋겠어. ㅎㅎ 








3. 우리나라와 중국 교역-2 요약


1) 중국의 우리나라 투자 액수가 매우 적어서 큰 의미가 없음.


2) 중국의 한류 규제는 이미 진행 중이고 수익액도 매우 낮음. 


3) 관광 규제가 경제보복으로 가장 위협적인 수단임. 








과거글 링크 : http://www.ilbe.com/8366379935








3줄 요약


1. 우리나라의 사드 배치에 대해 중국이 경제보복을 할 가능성이 있음. 


2. 무역 보복은 중국 경제에도 큰 타격이 되기 때문에 쉽지 않음.  


3. 다른 분야의 경제보복은 관광 규제가 강력하고 나머지는 매우 약한 편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