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GM정보 : 브금저장소 - http://bgmstore.net/view/OLmHB

worldeconomics.jpg


안녕~ 오늘은 세계경제로 글을 쓸 생각이야.


글이 많이 부실한데, 이점 양해 바랄게~








목차는


1. 세계경제 구조


2. 세계경제 흐름-1


3. 세계경제 흐름-2


4. 최근 세계경제 상황


이렇게 쓸 생각이야. 







1. 세계경제 구조


gdp2015.jpg

(북한을 조금 왜곡인듯.)


세계경제는 특정 국가들의 경제력이 


엄청나게 큰 편으로 (2015)







us-economy-info.jpg

미국, 중국 두 나라의 경제력이 


세계경제의 1/3을 차지할 정도라 (2015)








36129918-G20-country-flags-or-flags-of-the-world-economic-G20-country-flag-illustration-Stock-Vector.jpg


전세계 국가 수가 200개를 넘지만


세계경제는 소수의 주요국에 의해 좌우되고 있어. 








무역로.jpg


그리고 세계무역의 흐름은 (2005)








01.jpg

(출처 : zum 학습백과)


아시아, 서유럽, 북미 3곳을 중심하는 편으로 (2004) 








세계경제권.jpg

세계 3대 경제권인 유럽, 동북아, 북미와 


똑같은 편이야. 








world-commodities-map_536bebb20436a_w1180.jpg

또 세계 각국의 주요 수출품은 


선진국이 전기, 기계제품이고


후진국이 석유, 식량, 광물자원으로 








crude-oil-balance-of-trade.jpg


개발도상국들이 선진국에 


자원을 수출하는 구조를 보이고 있어. (짤은 원유) 








1. 세계경제 구조 요약


1) 세계에는 200개 이상의 나라가 있지만, 세계경제는 경제대국들이 움직임. 


2) 북미, 유럽, 동북아가 세계 3대 경제권이라 할 수 있음. 


3) 개발도상국이 선진공업국에 자원을 주로 수출하는 구조임. 








2. 세계경제 흐름


리먼브라더스.jpg


2008년 리먼 브라더스 사태로


미국에 경제위기가 크게 발생했고 




 



찬바람.JPG

2011년 유로존 경제위기로 


세계경제가 무척 안 좋았었어. (2013)








양적완화.jpg


하지만 4500조원 규모의 


어마어마한 양적완화의 힘으로 (2014. 미국) 








미국경제.jpg


미국 경제가 어느정도 회복했고 (2014) 








유로존경제.jpg


회복세가 조금 미약하지만 어쨌든


유럽경제도 좋아지고 있는 편이야. (2015. 유로존)








국제유가.jpg


세계경제가 이대로 좋아지면 좋으려만 


2015년에 국제유가 폭락과 








원자재가격.jpg

원자재 가격 하락이 크게 발생해서 (2015) 








원유수지.jpg


자원을 수출하는 나라들의 경제가


크게 어렵게 되었고 (짤은 원유) 








Trade_0.jpg


세계무역액(value)이 2008년 수준으로 


줄어들게 되었어. ㄷㄷ (2015) 








Prices-of-global-trade-goods--1024x664.jpg


다만 무역액 감소는 


원유가격 하락이 주요 원인으로 (2015)








container-shipping-costs-in-global-trade-in-freefall-container-freight-rates-from-asia-to-1.jpg


수출 물량(volume) 감소는 


2008년 경제위기에 비하면 비교적 양호하다고 해. (2015) 








2. 세계경제 흐름-1 요약


1) 미국, 유럽 경제위기로 세계경제가 침체되었음. 


2) 미국, 유럽 경제가 회복 중에 원자재 가격폭락이 발생함. 


3) 신흥국이 큰 어려움을 겪고 있고 세계무역이 다시 위축되었음. 








3. 세계경제 흐름-2


발틱운임지수.jpg

(발틱운임지수 : 해운업의 경기동향지수 중 하나.)


세계무역 침체만으로도 상황이 안 좋은 편인데 (2015)








전세계과잉유동성.jpg


경제가 어느정도 회복한 미국이 


양적완화로 만든 과잉유동성을 


금리인상으로 회수할려고 하면서 (2013) 








자본유출2.jpg 


작년부터 신흥국에 


자본유출이 발생하기 시작했어. (2015) 








자본유출.jpg

자본유출은 해당국의 금융시장을 경색시켜 


경제에 매우 안 좋은 문제인데 







뉴스토마토.jpg

이 자본유출이 


특히 중국에서 많이 발생해서 








20150815_woc381_0.jpg

세계경제 성장에 큰 비중을 차지하는 


중국 경제를 어렵게 만드는 중이야. (2015)








l_20160608_경향.jpg


이와같은 문제들로 인해 세계은행의


세계경제 성장률 전망은 낮아졌고 (2016)








imf_forecast_for_growth_in_2016_2016_forecast_chartbuilder-3.jpg


많은 신흥국들이 심각한 경제위기를 겪을 것으로


예상되고 있어. ㄷㄷ (2016)








3. 세계경제 흐름-2 요약


1) 미국 금리인상으로 신흥국에 자본유출이 발생함. 


2) 특히 중국의 자본유출이 심해서 중국 경제를 안 좋게 만들고 있음. 


3) 이런저런 문제들로 인해 신흥국의 경제성장률이 나빠지고 있음. 








4. 최근 세계경제 상황


20160323_매경.jpg


세계경제가 어려워지자 


극단주의가 발흥하기 시작했는데 (2016)








20160115_세계.jpg


특히 이슬람 극단주의와 지리적으로 가깝고 (2016)








선정적인표지.jpg


중동 이민자 문제로 시달리고 있는 유럽에서 


극단주의가 크게 발흥하는 중이야. 








maxresdefault.jpg


이런 이유로 관용의 나라 프랑스에서


극우정당이 득세하고 








20160623_뉴스1.jpg

영국의 유럽연합 탈퇴라는


놀라운 일까지 발생하게 되었어. ㄷㄷ (2016) 








20160623_머니투데이.jpg

(Move 지수 : 미국채 시장의 변동성 지수.)


이번 일로 세계 금융시장의 변동성이 크게 증가했으며 








20160619_서울경제.jpg


안전자산 선호 심리가 많이 높아져서


금융 경색이 우려되는 형편이야. 








ftblog1071.jpg


엔화가치가 크게 상승하여 


일본의 수출이 어려워질 것 같은지 (2016.04) 








닛케이지수.JPG

일본 증시가 오늘 하루 7% 이상 


하락하는 충격적인 모습을 보여주었어. ㄷㄷ 








ftblog10461.jpg


최근의 사태로 세계경제가 더 안 좋아지면


어떡하나 걱정이 되는 편인데 (2016.04) 








2년.jpg


영국의 유럽연합 탈퇴는 최소 2년 후의 일이니 


단기 혼란으로 끝났으면 좋겠고 








20160223_머니투데이.jpg


이런저런 문제들이 산적하지만


선진국의 경제회복이 진행 중인지라 (2016)








CcDcHauWoAAA2_I.jpg


세계경제가 운지하지 않고 


잘 굴러갔으면 좋겠어. ㅎㅎ (2016)








highest-concern-for-doing-business-2016.jpg

(클릭하면 크게 보일듯) 


마지막으로 세계경제에는 


자산버블디플레이션, 고실업, 금융위기 등 


위험요인이 참 많은 편인데 (2016) 








2016.jpg


큰 문제로 터지지 않고 


세계경제가 잘 성장했으면 참 좋을 것 같아. ㅎㅎ 








4. 최근 세계경제 상황 요약


1) 세계경제 불안으로 극단주의가 확산 중임. 정치불안 요인.


2) 브렉시트로 세계금융이 크게 흔들리고 있음. 일본 증시가 7.9% 하락함. 


3) 영국의 유럽연합 탈퇴는 2년 후의 일이니 단기 이슈로 끝났으면 좋겠음. 








과거글 링크 : https://www.ilbe.com/8285591503









4줄 요약


1. 미국, 유럽 경제위기로 세계경제가 침체되었다가 다시 회복 중임.  


2. 원자재 가격하락, 자본유출로 작년부터 신흥국 경제가 여러움. 


3. 경제불안으로 극단주의가 득세해서 유럽에 정치혼란이 발생함. 


4. 리스크 요인이 많이 있지만, 세계경제가 원만히 회복했으면 좋겠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