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GM정보 : 브금저장소 - http://bgmstore.net/view/GyeS6

1435663308988.cached.jpg


안녕~ 오늘은 소득 양극화로 글을 쓸 생각이야.


글이 많이 부실한데, 이점 양해 바랄게~ 







목차는


1. 우리나라 양극화 수준


2. 양극화 원인


3. 사회문제화 


4. 문제 해결의 필요성 


이렇게 쓸 생각이야. 







1. 우리나라 양극화 수준


국회_20160622_머니투데이.jpg


최근 국회 연설에서 양극화 문제가 


많이 거론되어서 (2016)








종합소득세_20110426_동아.jpg


우리나라의 양극화 수준에 대한 


관심이 많이 생겼어. (2009) 








평균_20120423_국민일보.jpg

(지니계수 : 소득분배의 불평등도를 나타내는 수치.)


우리나라의 지니계


OECD 평균수준이지만 (2008)








양극화비교_20140912_국민.jpg


상위 10%의 소득점유율은 


미국 다음으로 높은 편으로 (2014)








소득점유율_20141211_세계.jpg

(동국대 김낙년 교수님의 자체 통계)


상위 10%의 소득 점유율이 


무려 50%에 육박하는 수준이야. (2014) 








근로소득격차.gif

문제는 상위 20%로 갈수록 소득 증가가 크고 


하위 60%의 소득은 오히려 감소해서 (2010) 








상위10%_20140905_동아.jpg


상위 10%의 소득 점유율이 


점점 더 높아진 점으로 (2014)








양극화심화_20111013_동아.jpg


우리나라의 소득 양극화는 


전에 비해 더 심화되고 있다고 해. (2011) 







자산격차_2010122_한국일보.jpeg

그외에 우리나라의 자산 양극화는 (2010)








자본소득증가_20141008_국민.jpg


부동산가격 상승 등의 이유로 


자본소득 비중이 증가하여 (2012) 








자산불평등.jpg


부동산 자산의 불평등 수준이 


상당히 많이 높아졌어. (2010) 








1. 우리나라 양극화 수준 요약


1) 우리나라의 지니계수는 OECD 평균이지만, 상대적 빈곤율은 조금 높음. 


2) 근로소득 격차로 인해 소득 양극화가 점점 더 심화되고 있음. 


3) 부동산가격 상승으로 자산 양극화도 크게 증가했음. 








2. 양극화 원인


저임금비율_20150212_한국일보.jpg

우리나라는 미국 다음으로


저임금 근로자 비율이 높은 나라라 (2014)








노동시장비교_20110615_경향.jpg


노동시장에 문제가 많은 편이라고 해. (2008년 기준)








기업별_20160428_연합.jpg


기업규모, 고용형태 별로 


임금격차가 상당히 심하고 (2014년 기준) 








기업격차_201408_한경.jpg


그 격차는 날이 갈수록 증가한 상황이야. (2013)








maxresdefault.jpg


이런 이유로 정규직과 비정규직의 


임금 격차는 2배나 차이나며 








20151029_매경.jpg


취업자의 50% 가까이가 


월 200만원 이하의 낮은 임금을 받고 있어. (2015) 








임금증가율_20150301_세계.jpg

그외에도 우리나라의 실질 임금증가율이 


경제성장률 이하라 (2014) 








격차량_20151204_국민.jpg

기업이 가져가는 몫이 상당히 커져서


양극화가 더 심하게 된 상황이야. (2014)








자영업_20141104_브릿지경제.jpg


또 우리나라 고용에서 큰 비중을 차지하는


자영업자의 소득은 (2014)








자영업_20150323_연합.jpg


10년 이상 감소 추세로


소득 양극화가 더 커지게 되었어. (2013) 








2. 양극화 원인 요약


1) 대기업과 중소기업 간의 임극격차가 매우 심하게 벌어졌음.  


2) 경제성장률에 비해 실질 임금증가율이 낮음. 기업 몫이 증가함.


3) 고용에서 큰 비중을 차지하는 자영업자의 소득이 감소 중임. 








3. 사회문제화 


중산층_20120617_세계.jpg


소득 양극화 문제로 우리나라의 


중산층 비중이 감소했고 (2011)








빈곤탈출_20150127_세계.jpg

빈곤 탈출은 더욱 어렵게 되었다고 해. (2014) 








계층단절.jpg


상황이 이렇게 되자


우리나라는 계층 단절을 걱정해야 하는 수준이고 







불공평_20150703_JTBC.jpg

그에 대한 불만들이 많이 심화되어서 








수저계급.jpg


방송에서 까지 수저계급론과 








방송등장 (2).jpg


불반도라는 신조어가 나온 상황이야. 






20150320_한국일보.jpg

이처럼 소득 양극화 문제는


사회갈등과 불만을 심화시키고 








신조어_20151208_헤럴드경제.jpg

사람들을 비관적이고 냉소적으로 만들어서 (2015) 








자수성가없음.jpg


사회 활력을 크게 떨어트릴 수 있어. 








3. 사회문제화 요약


1) 중산층이 감소 중이고 빈곤 탈출율이 낮아지고 있음. 


2) 계층 고착화가 우려되고 있으며 사회 불만이 심화 중임. 


3) 사람들이 비관적에게 되면 사회 활력이 크게 떨어짐. 








4. 문제 해결의 필요성 


소득별소비성향.jpg
(1분위가 소득 하위 10%, 10분위가 소득 상위 10% 임.)

소득하위일수록 소득증가에 따른 소비성향이 높고

소득상위일수록 소비성향이 낮아서 







소비지출_20160226_세계.jpg
소득 양극화가 심할수록 

소비가 줄어들어서  







양극화와경제_2015061_한국일보.jpg
소득 양극화는 경제성장을 해친다고 해. (2015) 







자영업_20130529_이투데이.jpg
그래서 우리나라의 내수경제와 

자영업자들을 위해서라도 







실질소득_20130806_경향.jpg

IMF 이후 심화된 소득 양극화를 (2010)







20150522_한국일보.jpg
정부가 나서서 개선할 필요성이 높은 편이야. 







저출산_20141112_중앙.jpg
또 우리나라의 심각한

저출산-고령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2013)







문제점_20150324_중앙.jpg

고용구조 개선이 필요한데, 고용구조가 개선되면 

양극화도 해소될 것으로 생각해. (2013년 기준) 







인식수준_20140707_매경.jpg

이렇게 양극화 문제해결의 필요성이 대두되자 (2014)







국회_20151216_중앙.jpg
고소득층으로 가득한 국회에서도 (2015) 







국회_20160621_연합.jpg

양극화 해소에 대한 말이 많이 나와서 

기대가 커지게 되었어. (2016)







20151006_연합.jpg
(소비양극화 : 소비품목에 대한 양극화 지표.) 

우리나라의 양극화 정도는 갈수록 심화되고 있으니 

반드시 개선이 필요하고 (2015)








20130503_연합.jpg

양극화 해소로 국민 대다수가 적정한 소득을 누리는

좋은 나라가 되면 참 좋을 것 같아. ㅎㅎ (2013)








4. 문제 해결의 필요성 요약

1) 소득 양극화 증가는 경제에 안 좋다고 IMF가 말했음. 

2) 내수경제 활성화를 위해 양극화 해소는 꼭 필요함. 

3) 저출산-고령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도 필요함. 














3줄 요약

1. 우리나라의 소득, 자산 양극화는 점점 더 심화되고 있음. 

2. 노동시장의 심각한 불균형이 소득 양극화를 심화시키고 있음. 

3. 소득 양극화는 경제성장에 마이너스 요인이라 개선이 필요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