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GM정보 : 브금저장소 - http://bgmstore.net/view/GyeS6
안녕~ 오늘은 소득 양극화로 글을 쓸 생각이야.
글이 많이 부실한데, 이점 양해 바랄게~
목차는
1. 우리나라 양극화 수준
2. 양극화 원인
3. 사회문제화
4. 문제 해결의 필요성
이렇게 쓸 생각이야.
1. 우리나라 양극화 수준
최근 국회 연설에서 양극화 문제가
많이 거론되어서 (2016)

우리나라의 양극화 수준에 대한
관심이 많이 생겼어. (2009)
(지니계수 : 소득분배의 불평등도를 나타내는 수치.)
우리나라의 지니계수는
OECD 평균수준이지만 (2008)
상위 10%의 소득점유율은
미국 다음으로 높은 편으로 (2014)
(동국대 김낙년 교수님의 자체 통계)
상위 10%의 소득 점유율이
무려 50%에 육박하는 수준이야. (2014)
문제는 상위 20%로 갈수록 소득 증가가 크고
하위 60%의 소득은 오히려 감소해서 (2010)

상위 10%의 소득 점유율이
점점 더 높아진 점으로 (2014)
우리나라의 소득 양극화는
전에 비해 더 심화되고 있다고 해. (2011)
그외에 우리나라의 자산 양극화는 (2010)
부동산가격 상승 등의 이유로
자본소득 비중이 증가하여 (2012)
부동산 자산의 불평등 수준이
상당히 많이 높아졌어. (2010)
1. 우리나라 양극화 수준 요약
1) 우리나라의 지니계수는 OECD 평균이지만, 상대적 빈곤율은 조금 높음.
2) 근로소득 격차로 인해 소득 양극화가 점점 더 심화되고 있음.
3) 부동산가격 상승으로 자산 양극화도 크게 증가했음.
2. 양극화 원인
우리나라는 미국 다음으로
저임금 근로자 비율이 높은 나라라 (2014)
노동시장에 문제가 많은 편이라고 해. (2008년 기준)
기업규모, 고용형태 별로
임금격차가 상당히 심하고 (2014년 기준)
그 격차는 날이 갈수록 증가한 상황이야. (2013)
이런 이유로 정규직과 비정규직의
임금 격차는 2배나 차이나며
취업자의 50% 가까이가
월 200만원 이하의 낮은 임금을 받고 있어. (2015)
그외에도 우리나라의 실질 임금증가율이
경제성장률 이하라 (2014)
기업이 가져가는 몫이 상당히 커져서
양극화가 더 심하게 된 상황이야. (2014)
또 우리나라 고용에서 큰 비중을 차지하는
자영업자의 소득은 (2014)
10년 이상 감소 추세로
소득 양극화가 더 커지게 되었어. (2013)
2. 양극화 원인 요약
1) 대기업과 중소기업 간의 임극격차가 매우 심하게 벌어졌음.
2) 경제성장률에 비해 실질 임금증가율이 낮음. 기업 몫이 증가함.
3) 고용에서 큰 비중을 차지하는 자영업자의 소득이 감소 중임.
3. 사회문제화
소득 양극화 문제로 우리나라의
중산층 비중이 감소했고 (2011)
빈곤 탈출은 더욱 어렵게 되었다고 해. (2014)

상황이 이렇게 되자
우리나라는 계층 단절을 걱정해야 하는 수준이고
그에 대한 불만들이 많이 심화되어서
방송에서 까지 수저계급론과
불반도라는 신조어가 나온 상황이야.
이처럼 소득 양극화 문제는
사회갈등과 불만을 심화시키고
사람들을 비관적이고 냉소적으로 만들어서 (2015)
사회 활력을 크게 떨어트릴 수 있어.
3. 사회문제화 요약
1) 중산층이 감소 중이고 빈곤 탈출율이 낮아지고 있음.
2) 계층 고착화가 우려되고 있으며 사회 불만이 심화 중임.
3) 사람들이 비관적에게 되면 사회 활력이 크게 떨어짐.
4. 문제 해결의 필요성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