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GM정보 : 브금저장소 - http://bgmstore.net/view/F3p6G

image-4290406.jpg


안녕~ 오늘은 케냐 경제로 글을 쓸 생각이야.


글이 많이 부실한데, 이점 양해 바랄게~








목차는


1. 케냐 소개


2. 케냐 농업


3. 케냐 산업


4. 케냐 단점


이렇게 쓸 생각이야. 








1. 케냐 소개


지도.JPG


케냐는 아프리카 동부 해안에 위치한 나라로







 

케냐소개.JPG


면적은 우리나라의 약 6배에 


인구는 4500만 명이라고 해. (세계 30위)








20140303_이투데이.jpg


케냐는 이렇게 많은 인구수 덕분에


국민소득 1200 달러 수준으로 많이 뒤떨어져도 (2014) 







imf-gdp-estimates-2014-chartbuilder-551add70022a2.jpg

아프리카에서 8번째로 국력이 큰 나라이며 (2014. 추정치) 








Nairobi_view_1_(949939763).jpg

(케냐 수도인 나이로비)


아프리카 국가치고는 존재감이 좀 있는 편이야. 







Kenya-Religion.jpg

그리고 케나는 인구의 약 50%가 개신교를 믿고 


인구의 약 25%가 천주교를 믿는 








1599252.jpg


아프리카의 기독교 국가라는 특징이 있고 








maxresdefault.jpg


미국 오바마 대통령의 아버지가 


케냐 출신이라고 해. 








1. 케냐 소개 요약


1) 케냐는 우리나라 면적의 약 6배에 인구 4500만의 나라임. 


2) 국민소득 1200 달러의 가난한 나라지만, 아프리카에서 8번째로 국력이 큼. 


3) 인구의 약 80%가 기독교를 믿는 기독교 국가임. 








2. 케냐 농업


지형도.JPG
(산지 : 들이 적고 산이 많은 지대)

케냐 국토의 대부분이 산지여서 

평야 쪽에 인구가 몰려있을 것 같지만 






child-and-maternal-health-in-kenya-2011-report-50-728.jpg
정반대로 산지 쪽에 인구가 몰려있는 구조로 

아마도 아프리카의 열대기후 때문에 그런거 같아. ㅎㅎ







africa.jpg
또 인구 뿐만 아니라 농경지도 

산지 쪽에 훨씬 많은 편으로 







kenya coffee map.jpg

해발 1500m 이상의 고원지대에서

차와 커피 농사를 많이 하고 있어. 






케냐경제.JPG
그리고 케냐는 경제의 27%가 농업이고

전체 노동력의 75%가 농업에 종사하는 

전형적인 농업 국가로 






What_did_Kenya_export_in_2014-.jpg
(농산물, 석유, 의류, 화학, 제조업, 건설자재)

수출의 40% 이상이 농산물 수출이며 (2014)







kenya-export-products-all.gif
주요 수출품이 차(Tea), 커피(Coffee), 

화훼(Flowers)인 나라라고 해. 







20160527_중앙.jpg

케냐의 커피는 적절한 기후조건 덕분에

품질이 매우 우수하고 







ieweb_africa_kenya_agriculture_v2.jpg

케냐 농업의 주력인 차(Tea) 농사는







Who_exported_Tea_in_2014-.jpg

수출액 세계 3위로 꽤 많은 편이야. 







2. 케냐 농업 요약


1) 케냐는 경제의 27%가 농업이고 노동력의 75%가 농업에 종사함.


2) 케냐의 주요 수출품은 차, 커피, 화훼 등의 농산물임. 


3) 기후조건이 좋은 산지에 농업과 인구가 집중되어 있음. 








3. 케냐 산업


차농사.JPG

케냐는 노동력의 75%가 농업인 농업국가이지만 

아프리카 국가치곤 산업이 좀 있는 편으로 







manufacturing-statistics.jpg
(제조업, 화학, 식품가공업, 의류, 기타)

경제의 10% 정도가 제조업이라고 해. (2013) 







아프리카시멘트.jpg

케냐에서 볼만한 제조업은 바로 시멘트(Cement) 산업으로 

생산시설 규모에서 아프리카 넘버 4로







african-growth-series-africas-east-and-west-growth-frontiers-18-638.jpg

공업기반이 없으면서 건설수요는 있는

주변 아프리카 국가들에게 

시멘트 수출을 좀 하고 있어. (2011)







maxresdefault2.jpg

그밖에 케냐 산업의 특징은

의외로 정보통신 산업으로 







poverty-in-kenya2.jpg

케냐가 국민소득 1200달러의 

몹시 가난한 나라이면서 







20140920_INC721.jpg

다른 후진국 국가들보다 

모바일 머니 이용이 월등히 많은 나라라 (2013) 







africa0333.jpg
정보통신(ICT) 산업의 투자와 고용이

크게 증가하는 중이라고 해. ㅎㅎ (2010)







3. 케냐 산업 요약


1) 경제에서 제조업 비중은 10% 내외이고 식품가공업 위주임.


2) 아프리카에서 4번째로 시멘트를 많이 생산하고 주변국에 수출함. 


3) 정보통신 산업이 발달하는 것 같음. 아프리카치고 상당히 의외임. 








4. 케냐 단점


ea.jpg

케나는 사파리 탐험과 







1_030225.jpg
(옆나라 탄자니아에도 마사이족이 있음.)

마사이족 마을 방문 등







20150613_MAC791.jpg
아프리카 국가치곤 

관광업이 제법 발달한 나라인데 (2014) 








20150411_wom001.jpg
케냐 옆에 있는 소말리아 때문에

테러 문제로 골머리를 썩고 있어. 








20150718_mam981.jpg
소말리아에 근거지를 두고 있는 

이슬람 테러리스트들 때문에 (2015)








20150411_mam902.jpg
케냐에서도 테러가 자주 발생하고 있으며 







사본-케냐_여행경보지도.jpg
소말리아와 인접한 국경지대는 

여행하기 매우 위험한 곳이 되어버렸어. 







20130923_동아.jpg
또 케냐 수도 한복판의 대형 쇼핑몰에 

이슬람 테러리스트들이 총기난사를 저질러서 (2013) 







maxresdefault3.jpg

한국인이 해외에서 테러로 죽는 일이 

발생했었다고 해. 







20110406_중앙.GIF

이런 테러 문제에 화가 난 케냐 정부는

케냐에 있는 소말리아 난민 60만명을 내쫓으려 하고 있고







Optimized-Security-Wall.jpg

거대한 장벽을 건설해서 

소말리아인의 유입을 막으려고 하는데 







구멍.JPG

국경선이 워낙 넓어서 소말리아인의 유입을 

막기 매우 어려운 형편이야. 







오바마연설.jpg

케냐 같은 후진국은 부정부패, 빈부격차, 빈곤 등의 

문제 해결도 매우 어려운 형편인데 







소말리아알샤바브.jpg

옆나라 테러리스트들이 자꾸 넘어오니 

참 골치 아픈 상황인 것 같아. 







design-indaba-kio-kit-brck-kenya-3.jpg

뭐 어쨌든 케냐는 왕성하게 

발전하고 있는 신흥국으로 







nairobi2.jpg

테러 문제를 잘 해결하고 

번성했으면 참 좋겠어. ㅎㅎ 







4. 케냐 단점 요약

1) 부정부패, 빈부격차 문제 만큼 테러 문제가 심각함. 

2) 소말리아 난민 유입과 함께 테러 사건이 크게 발생 중임. 

3) 치안 불안정은 케냐의 관광산업에 큰 타격이 될 수 있음. 














3줄 요약

1. 케냐는 차, 커피, 화훼 농사를 많이 하는 농업 국가임. 

2. 매우 가난한 나라이지만 아프리카에서 8번째로 국력이 큼.

3. 의외로 정보통신 산업 짤이 쫌 나와서 참 신기한 나라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