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GM정보 : 브금저장소 - http://bgmstore.net/view/D4O8H

(브금이 투명해서 미안하다. 이기.)


sliders_02.jpg


안녕~ 오늘은 소고기로 글을 쓸 생각이야.


글이 많이 부실한데, 이점 양해 바랄게~







목차는


1. 소고기 소개


2. 한우 가격급등


3. 우려사항


이렇게 쓸 생각이야. 








1. 소고기 소개


진수성찬.JPG


소고기는 매우 비싸지만 맛있어서 


사람들이 즐겨 먹는 음식으로








고기소비량.jpg


국민 1인당 육류 소비량에서


돼지, 닭 다음으로 많이 먹고 있어. (2013)







소고기영양.jpg

소고기는 단백질과 지방이 골고루 있고 








영양소.jpg


아연, 철분, 비타민 B가 풍부한 


영양만점의 고기라고 해. 








한우2.jpg


또 우리나라 토종 소인 한우는 








한우.JPG


우리나라 민족과 오랜 역사를 함께했고 








maxresdefault (2).jpg


소고기를 재료로 한 소불고기나 소갈비 같은


우리 고유의 전통음식들이 많이 있어. (맞나?)








htm_20130718_중앙.jpg


그외에 소고기는 버릴 부위가 없이 


다 쓰는 편으로 (2012)








2012101701958_4.jpg


뼈와 꼬리까지 일용할 양식이 되는 편이야. ㅎㅎ








1. 소고기 소개 요약


1) 소고기는 아연과 철분이 풍부한 영양만점의 식품임.  


2) 한우는 우리 민족과 오랜 역사를 함께한 가축이라고 함. 


3) 소고기는 버리는 부위가 없이 골고루 쓰고 있음. 








2. 한우 가격급등


20160524_영남일보.jpg

소고기 가격은 매년 꾸준히 상승하는 편인데 (2016)







소고기가격.jpg

최근 가격 상승이 너무 높아서

문제가 되고 있어. (2016.04)







GYH201501120_연합.jpg

우리나라의 소고기 가격은

다른 나라보다 터무니없이 높고 (2015)







130355.jpg

작년에도 30% 이상 상승했던 점을 고려하면

최근의 상승은 너무 한 편이야. (2015)







htm_20160525_중앙.jpg

소고기 가격이 고공행진을 하는 이유는

사육두수 감소로 인한 공급부족 때문이고 (2016) 








출하단계.gif

소의 사육기간이 매우 길기 때문에 








가격전망_농촌경제연구원.JPG

소고기 가격은 현 상태를 

계속 유지할 전망이라고 해. ㄷㄷ (2016)







20160512_세계.jpg

소고기 가격상승으로 







20120110_한국일보.jpg
(2016년 3월 수소 기준 726만 8천원.)

한우 농가의 소득이 크게 증가하겠지만 (2012)







maxresdefault.jpg

소고기 가격이 너무 비싸서 

국민들의 불만이 많은 상황이야. 







2. 한우 가격급등 요약

1) 소고기 가격은 수십% 이상 가파르게 상승하고 있음. 

2) 사육두수 감소로 인한 가격상승으로 계속 될 것이라고 함. 

3) 한우 농가는 좋겠지만 국민들은 비싼 고깃값에 불만이 많음. 







3. 우려사항

20160120_문화.jpg

소고기 가격 상승을 한우농가가 마냥 좋아할 수 없는게

소고기 수입 증가 때문으로 (2015)







htm_20150719_중앙.jpg

이미 우리나라 국민들은 국산 소고기보다

수입 소고기를 더 많이 먹고 있어. (2015.07)







20160428_농민신문.jpg

이런 상황인데 한우 가격이 더 상승하자

소고기 수입량은 전년대비 20% 이상 증가했고 (2016)







20160506_세계.jpg
소고기 자급률은 점점 더 

내려갈 전망이라고 해. ㄷㄷ (2016)







소품종.JPG
아무리 우리 한우가 우리 입맛에 잘 맞고

수입산에 비해 신선하다고 하지만 







20160518_매경.jpg

심하게 높은 가격대를 생각해보면

한우의 경쟁력에 문제가 생길 것 같아. (2016)








사육두수_농림축산식품부.JPG
(출처 : 농림축산식품부)

문제는 우리나라의 한우 농가가 영세해서

호당 사육두수가 20여 마리 밖에 안 되는 편이라 (2014)







갓미국.JPG

미국, 호주 등과 비교해서 

물량이 근본적으로 딸리는 편이야. 







유통비.jpg

그나마 비벼볼만한 부분이 

한우의 유통구조 개선으로 







한우유통구조.JPG
우리나라의 복잡한 유통구조를 

서양처럼 단순화한다면 







20130317_중앙.gif

가격이 조금은 저렴해질 가능성이 높다고 해. (2013)







maxresdefault (1).jpg

만약 유통구조 개선이 이루어진다면 

한우 농가는 한우를 더 많이 팔아서 좋겠고







소갈비.JPG

우리 국민들은 한우를 더 많이 먹을 수 있어서 

참 좋을 것 같아. ㅎㅎ







3. 우려사항 요약

1) 소고기 수입량은 전년대비 20% 이상 증가했음. 

2) 소고기 수입 증가로 국내산 점유율은 갈수록 낮아지고 있음. 

3) 유통구조가 개선된다면 한우 가격이 조금 낮아질 것으로 기대됨. 














3줄 요약

1. 한우 소고기 가격은 2013년 대비 50% 이상 상승함. 

2. 한우 사육두수 감소로 높은 가격이 구조적으로 형성됨. 

3. 비싼 한우 가격 때문에 소고기 수입이 크게 증가하고 있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