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GM정보 : 브금저장소 - http://bgmstore.net/view/pBZBq
안녕~ 오늘은 우리나라 경제로 글을 쓸 생각이야.
글이 많이 부실한데, 이점 양해 바랄게~
목차는
1. 우리나라 1분기 성장률
2. 경제지표-고용, 생산, 물가
3. 경제지표-건설, 소비, 기타
이렇게 쓸 생각이야.
1. 우리나라 1분기 성장률
우리나라의 1분기 성장률은
전기 대비 0.4%로 조금 안 좋은 수준으로
수출과 설비투자 감소가
경제성장률 하락을 만들고 있어.
수출이 많이 안 좋은 이유는
우리나라 경제에 큰 영향을 끼치는 중국 경제가
실제로는 상당히 어렵다는
평가가 있어서 그렇고
(출처: 한국은행)
국제원자재 가격 하락으로
신흥국 경제가 위축되어서
(PMI : 구매관리자지수. 제조업 분야의 경기선향지수.)
세계경제에 침체 분위기가
만들어져서 그런거 같아.
그리고 설비투자가 크게 감소한 이유는 (전기대비)

(출처: 한국은행)
수출감소로 공장가동률이 감소하고
재고가 증가해서 그런 것으로 생각해.
1. 우리나라 1분기 성장률 요약
1) 1분기 성장률은 수출과 투자 감소로 저조한 편임.
2) 중국과 신흥국 경제침체로 수출이 크게 감소했음.
3) 수출 감소가 설비투자 감소를 만들고 있음.
2. 경제지표-고용, 생산, 물가

(출처: 기획재정부)
최근 취업자 수 증가 폭이 낮아져서
(출처: 한국은행)
실업률이 소폭 증가 추세이고
청년실업률은 12% 수준으로
많이 나빠졌어.
산업생산은 최근 소폭 상승했지만
옛날에 비해 많이 저조한 형편인데
이는 우리나라의 수출입이 저조해서
제조업 출하가 감소하고
재고가 증가해서 그런 것이야. (전월대비)
그다음으로 물가상승률은
한국은행의 목표치 2% 보다는 많이 낮은 편인데
이것은 유가하락으로 에너지 관련 물가가
크게 낮아져서 그런 것으로
디플레이션 우려는 아직 아니라고 생각해.
2. 경제지표-고용, 생산, 물가 요약
1) 취업자 수 증가폭이 낮아지고 청년실업률이 크게 증가했음.
2) 산업생산은 최근 증가했지만 옛날에 비하면 저조한 형편임.
3) 물가상승률은 원자재 가격 하락 때문에 낮게 나오고 있음.
3. 경제지표-건설, 소비, 기타
1분기 경제지표에서 가장 두드러진 부분은
바로 건설투자로
(건설기성액 : 건설업체가 당년도에 시공한 공사액.)
정부의 부동산활성화 정책 덕분에
크게 좋아진 상태야.
다만 가계부채가 너무 많이 증가해서
최근 주택담보대출을 조절하는 중이라
주택담보대출 규제의 영향으로
주택매매 거래건수가 소폭 감소하고
주택 매매가격 상승률도 낮아지고 있어서
건설투자가 계속 좋아질지는 잘 모르겠어.
그다음으로 민간소비는
소매판매가 85개월만에 가장 크게 증가한 상태로
우리나라 경제에 있어
매우 긍정적인 신호라고 생각해.
소매판매가 증가한 이유는
정부의 개별소비세 인하 정책으로
개별소비세에 영향을 크게 받는 내구재 판매가
크게 증가해서 그런 것으로
이것 덕분인지 하강하던 소비자심리지수가
반등 조짐을 보이고 있고
제조업 업황 지수도 최근 회복하는 중이야.
(CDS프리미엄 : 신용부도스와프. 부도 위험에 관한 파생상품.)
그밖에 경제지표는 높아졌던 부도위험지수가
최근 소폭 하락했고
도망갔던 외국자본이 다시 유입되고 있으며
(4월 29일 기준. 달러 당 1,140원)
환율이 안정된 상태를 보이고 있어.
또 2월부터 돌아온 외국자본 덕분에
(4월 29일 기준. 1994 포인트)
1800선까지 내려갔던 주가가 다시 회복해서
주식시장도 양호한 모습을 보이는 중이야.
마지막으로 수출과 투자 감소 때문에
올해 경제성장률 3%를 달성 못한다고 하는데
내수부양으로 민간소비가 확 살아나서
경제성장률 3%를 달성했으면 참 좋겠어. ㅎㅎ
3. 경제지표-건설, 소비, 기타 요약
1) 부동산활성화 정책으로 1분기 건설투자가 높게 나왔음.
2) 주택담보대출 규제로 계속 이어질지는 잘 모르겠음.
3) 3월 소매판매가 7년만에 가장 높은 증가율을 보여주었음.
과거글 링크 : http://www.ilbe.com/7921670717
3줄 요약
1. 수출과 설비투자 감소로 1분기 성장률이 낮게 나왔음.
2. 건설투자와 소비 증가가 경제성장을 견인하고 있음.
3. 소비심리, 제조업 업황지수가 최근 반등 중이라 잘 되었으면 좋겠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