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GM정보 : 브금저장소 - http://bgmstore.net/view/pBZBq

우리나라표지.jpg


안녕~ 오늘은 우리나라 경제로 글을 쓸 생각이야.


글이 많이 부실한데, 이점 양해 바랄게~







목차는


1. 우리나라 1분기 성장률


2. 경제지표-고용, 생산, 물가


3. 경제지표-건설, 소비, 기타


이렇게 쓸 생각이야. 







1. 우리나라 1분기 성장률


20160426_세계.jpg

우리나라의 1분기 성장률은 


전기 대비 0.4%로 조금 안 좋은 수준으로 








htm_20160427_중앙.jpg


수출과 설비투자 감소가 


경제성장률 하락을 만들고 있어. 








201604012_국민일보.jpg


수출이 많이 안 좋은 이유는 







20160410_중앙.jpg

우리나라 경제에 큰 영향을 끼치는 중국 경제가 








중국실질_이투데이.jpg


실제로는 상당히 어렵다는 


평가가 있어서 그렇고 







한국은행11.JPG

(출처: 한국은행)


국제원자재 가격 하락으로 


신흥국 경제가 위축되어서 








한국은행2.JPG

(PMI : 구매관리자지수. 제조업 분야의 경기선향지수.)


세계경제에 침체 분위기가 


만들어져서 그런거 같아. 








20160411_서울경제.jpg


그리고 설비투자가 크게 감소한 이유는 (전기대비)







한국은행5.JPG

(출처: 한국은행)


수출감소로 공장가동률이 감소하고


재고가 증가해서 그런 것으로 생각해. 








1. 우리나라 1분기 성장률 요약


1) 1분기 성장률은 수출과 투자 감소로 저조한 편임.


2) 중국과 신흥국 경제침체로 수출이 크게 감소했음. 


3) 수출 감소가 설비투자 감소를 만들고 있음. 








2. 경제지표-고용, 생산, 물가


기획재정부3.JPG

(출처: 기획재정부)


최근 취업자 수 증가 폭이 낮아져서 








한국은행15.JPG

(출처: 한국은행)


실업률이 소폭 증가 추세이고 








20160415_서울경제.jpg


청년실업률은 12% 수준으로


많이 나빠졌어.





생산_기획재정부.JPG


산업생산은 최근 소폭 상승했지만


옛날에 비해 많이 저조한 형편인데 








20160401_연합.jpg


이는 우리나라의 수출입이 저조해서 






기획재정부14.JPG

제조업 출하가 감소하고


재고가 증가해서 그런 것이야. (전월대비)








201602220_조선.jpg


그다음으로 물가상승률은 


한국은행의 목표치 2% 보다는 많이 낮은 편인데







한국은행12.JPG

이것은 유가하락으로 에너지 관련 물가


크게 낮아져서 그런 것으로


디플레이션 우려는 아직 아니라고 생각해. 







2. 경제지표-고용, 생산, 물가 요약


1) 취업자 수 증가폭이 낮아지고 청년실업률이 크게 증가했음. 


2) 산업생산은 최근 증가했지만 옛날에 비하면 저조한 형편임. 


3) 물가상승률은 원자재 가격 하락 때문에 낮게 나오고 있음. 








3. 경제지표-건설, 소비, 기타


htm_20160427_중앙.jpg


1분기 경제지표에서 가장 두드러진 부분은 


바로 건설투자로 





한국은행6.JPG

(건설기성액 : 건설업체가 당년도에 시공한 공사액.)


정부의 부동산활성화 정책 덕분에 


크게 좋아진 상태야. 






한국은행10.JPG

다만 가계부채가 너무 많이 증가해서


최근 주택담보대출을 조절하는 중이라 







기획재정부16.JPG

주택담보대출 규제의 영향으로


주택매매 거래건수가 소폭 감소하고 








한국은행3.JPG

주택 매매가격 상승률도 낮아지고 있어서


건설투자가 계속 좋아질지는 잘 모르겠어. 








20160429_연합.jpg


그다음으로 민간소비는 


소매판매가 85개월만에 가장 크게 증가한 상태로 






기획재정부7.JPG

우리나라 경제에 있어


매우 긍정적인 신호라고 생각해. 








20150826_세계.jpg


소매판매가 증가한 이유는 


정부의 개별소비세 인하 정책으로 







소비_한국은행.JPG

개별소비세에 영향을 크게 받는 내구재 판매가


크게 증가해서 그런 것으로 







한국은행4.JPG

이것 덕분인지 하강하던 소비자심리지수


반등 조짐을 보이고 있고 








20160429_포커스뉴스.jpg


제조업 업황 지수도 최근 회복하는 중이야. 








한국은행13.JPG

(CDS프리미엄 : 신용부도스와프. 부도 위험에 관한 파생상품.)


그밖에 경제지표는 높아졌던 부도위험지수가


최근 소폭 하락했고 







한국은행9.JPG


도망갔던 외국자본이 다시 유입되고 있으며 








20160324_포커스.jpg

(4월 29일 기준. 달러 당 1,140원)


환율이 안정된 상태를 보이고 있어. 








20160421_서울경제.jpg


또 2월부터 돌아온 외국자본 덕분에 








20160414_한경.jpg

(4월 29일 기준. 1994 포인트)


1800선까지 내려갔던 주가가 다시 회복해서 


주식시장도 양호한 모습을 보이는 중이야. 






한국은행8.JPG

마지막으로 수출과 투자 감소 때문에


올해 경제성장률 3%를 달성 못한다고 하는데 








20160328_중앙.jpg


내수부양으로 민간소비가 확 살아나서 


경제성장률 3%를 달성했으면 참 좋겠어. ㅎㅎ 








3. 경제지표-건설, 소비, 기타 요약


1) 부동산활성화 정책으로 1분기 건설투자가 높게 나왔음. 


2) 주택담보대출 규제로 계속 이어질지는 잘 모르겠음. 


3) 3월 소매판매가 7년만에 가장 높은 증가율을 보여주었음. 








과거글 링크 : http://www.ilbe.com/7921670717








3줄 요약 


1. 수출과 설비투자 감소로 1분기 성장률이 낮게 나왔음. 


2. 건설투자와 소비 증가가 경제성장을 견인하고 있음. 


3. 소비심리, 제조업 업황지수가 최근 반등 중이라 잘 되었으면 좋겠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