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GM정보 : 브금저장소 - http://bgmstore.net/view/bYQ5y

일본.jpg


안녕~ 오늘은 일본 경제로 글을 쓸 생각이야.


글이 많이 부실한데, 이점 양해 바랄게~







목차는


1. 아베노믹스 평가


2. 최근 경제지표


3. 마이너스 금리 역풍


이렇게 쓸 생각이야. 







1. 아베노믹스 평가


성장률_20160219_이투데이.jpg


일본의 경제성장률은 


마이너스를 반복하는 상태로 (2016)








 아베노믹스_20160214.jpg


아베노믹스를 적극적으로 추진한 것치고


성과가 상당히 부진한 편이라고 해. 








수출물량_20160109.jpg

(Real effective exchange rate : 실질실효환율. 2012년=100 기준임.)


아베노믹스가 생각보다 부진했던 이유로는 


환율조작을 강하게 한 것 치고 


수출물량이 거의 증가하지 않아서 (2016.01)








산업생산.jpg

(2010년=100 기준임.)


산업생산(Industrial Production)이 


거의 증가하지 않았고 (2016)








소비지출_20160215.jpg


그에 비해 일본의 민간소비(Private consumption)는 


크게 하락했는데 (2016)








20160404_파이낸셜.jpg


그 이유는 환율조작, 통화정책으로 만들어진


3%대의 강력한 물가상승을 (2016.02)








파이넨셜.jpg


임금상승이 따라가질 못해서 일본의 실질임금이 


2년 넘게 마이너스 증가율을 보여서 그런 것이야. ㄷㄷ (2016)








평가_20160215_한경.jpg

(212조엔 = 2,225조원)


이처럼 아베노믹스로 천문학적인 규모의 


양적완화를 한 것치고 (2016.02)








총재_20151028.jpg


성과가 상당히 미비해서 


일본 정부에 고민이 많을 것 같아. ㅎㅎ








1. 아베노믹스 평가 요약


1) 아베노믹스 이후에 마이너스 성장을 더 자주했음. 


2) 산업생산은 제자리걸음. 소비지출은 마이너스 성장함. 


3) 2천조원 규모의 양적완화를 한 것치고 성과가 별로임. 








2. 최근 경제지표


생산_20160330_ 파이넨셜.jpeg

일본의 광공업생산지수는 


최근에 더 나쁜 모습을 보이고 있고 (2016.02)








japan-machine-1.jpg


설비투자의 선행지표인 기계수주(Machinery Order)


조금 안 좋은 모습을 보이고 있어. (2016.01. 전월 대비)









Japan-trade-Dec-2015.jpg


이렇게 최근의 산업지표가 안 좋은 이유는 


세계경제 침체로 


일본의 수출이 크게 감소해서 (2015.12)








2016021900109_조선.jpg


산업생산이 많아질 수가 없어서 그런거 같아. (2016.01)







일본소매판매_뉴스토마토.jpg

그외에 일본의 소매판매 증가율이 저조하고 (2016.02)








20160403_한경.jpg


일본 기업들의 이익 증가율이 


조금씩 낮아지고 있어서 (2016.04)








아베_20151007.jpg


일본 정부가 새로운 대책을 


만들 필요성이 있다고 생각해. 








2. 최근 경제지표 요약


1) 산업생산, 기계수주 지표가 최근 많이 안 좋음.


2) 수출 증가율이 최근 많이 감소해서 그런듯. 


3) 기업실적 증가율과 기업실적도 낮아지고 있음. 







3. 마이너스 금리 역풍


maxresdefault.jpg


올 초 중국 증시가 자주 폭락하자 


중국발 경제위기 불안감이 가중되었고








환율_20160304.jpg


세계경제 불안감으로 안전자산 선호현상이 발생해서


엔화 가치가 갑자기 높아지게 되었어. ㅋㅋ (2016.03)








20121218_조선.jpg


엔화가치 상승은 환율조작을 통해 수출을 늘리겠다는


아베노믹스와 정반대되는 현상으로 (2012)








마이너스_20160130_동아.jpg


일본 정부 입장에선 반드시 막아야 하는데, 


양적완화는 이미 너무 많이 해서 (2000조원!)


이번엔 마이너스 금리를 도입했다고 해. (2016)








역풍.jpg


문제는 마이너스 금리 정책으로 생기는 


각종 부작용들로 








세계일보.JPG

일본 시민들이 은행에 예금할 필요성이 감소해서


돈의 순환이 방해될 수 있고 (2016.04)








금융_20160218_이투데이.jpg

(콜 시장 : 금융기관이 단기 자금을 거래하는 시장.)


일본 금융권에도 별로 좋지 못한 일이라  


은행간 단기자금 거래량이 크게 감소했어. 








일본증시2.jpg

여기에 일본 주가가 최근 하락세인데 (04.05)








주식.jpg


일본 경제에 불안감을 느낀 외국인들이


일본 주식을 팔아서 그런다는 말이 있는 편이야. (2016.03)








20160202_매경.jpg

지금으로선 마이너스 금리의 긍정적인 효과보다


부정적인 효과가 더 강한 것 같은데 (2016)







육아쿠폰_조선.JPG

일본 정부가 신경제전략을 발표한다 하고


다른 경제정책도 활발하게 추진 중이라


잘 되었으면 좋겠어. ㅎㅎ








3. 마이너스 금리 역풍 요약


1) 일본이 최근에 마이너스 금리 정책까지 도입함. 


2) 엔저로 수출기업을 도우려고 한 것인데, 단점도 많음.


3) 장롱예금이 더 많이 증가하고 금융시장이 위축됨. 








과거글 링크 : http://www.ilbe.com/7772841963








3줄 요약


1. 아베노믹스로 2천조원 풀었는데, 효과가 좀 별로임. 


2. 최근 수출감소, 기업실적 위축 등이 발생하고 있음. 


3. 일본 정부가 추후에 새로운 경제전략을 발표할거라 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