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GM정보 : 브금저장소 - http://bgmstore.net/view/rF5XL
안녕~ 오늘은 독일 경제를 araboja (장점편) 에 이어서
독일의 단점에 대해 쓸 생각이야.
글이 많이 부실한데, 이점 양해 바랄게~
목차는
1. 독일 통일 문제점
2. 독일 유럽 문제점
3. 독일 인구 문제점
4. 독일 갈등 문제점
이렇게 쓸 생각이야.
1. 독일 통일 문제점
독일은 49년도에 분단되었다가
1989년 베를린 장벽 붕괴로 통일한 나라로 (2015)
통일은 대체로 성공적이였다고
인식되고 있어. (2015)
하지만 독일의 동서 격차는
지금까지도 심한 편으로 (2014)
동독 지역과 서독지역의
실업률 격차가 뚜렷하고 (2009)
소득 수준에서도 큰 격차를 보이는 편이야. (2014)
출처 : http://www.ilbe.com/4645887497 일본,독일,이탈리아 기업의 공통점.jpg )
독일의 주요기업들이
서독 지역에 주로 몰려있고
무엇보다 동독 주민들이
서독으로 많이 이주해서 (2012)
지역간 인구 격차가 상당히 심한 편으로
동독지역 인구가 1500만명 정도고
서독지역 인구가 6500만명이라고 해. ㄷㄷ (2006)
이때 독일은 1700조원에 이르는
막대한 통일비용에 허덕이고 (2014)
흡수통일의 부작용으로
유럽의 병자라 불리기도 했어. ㅋㅋ
1. 독일 통일 문제점 요약
1) 독일 통일은 잘된 일이였으나 흡수통일의 부작용이 컸음.
2) 동서 지역간의 인구, 소득, 생활수준 격차가 여전히 있음.
3) 막대한 통일비용으로 한때 유럽의 병자라 불리기도 했음.
2. 독일 유럽 문제점

흡수통일 부작용에 허덕이던
독일을 살린 것이 바로 유로화로
독일은 유로존의 경제통합으로
큰 이익을 보았다고 해.
국력 수준이 다른 나라들이 단일 통화를 쓰다보니
독일이 환율 상으로 큰 이익을 봐서 (2011)
독일의 글로벌경쟁력이
급상승하게 되었고 (2012)
적자였던 독일의 경상수지가
엄청난 흑자로 바뀌게 되었어. ㅎㅎ
이렇게 독일은 다른 유럽국가들에게
수출을 많이 해서 큰 이득을 보았는데 (2009)

이런 독일의 과도한 경상수지 흑자는
남유럽 국가들의 경상수지 적자를
바탕으로 한 것이라 (2012)
남유럽 국가들이 과도한 무역적자를 버티지 못해
결국 남유럽 경제위기가 발생하게 되었고
남유럽 경제위기로
독일의 성장률도 같이 하락한거야. (2014)
그리고 독일은 남유럽 경제위기를 해결하기 위해
막대한 돈을 지출하는 중으로
유로존 경제위기를 해결해야 하는
책임을 지고 있다고 해. ㅋㅋ
2. 독일 유럽 문제점 요약
1) 독일은 유로화 사용으로 환차익을 많이 보았음.
2) 독일에게 빨대 꽂힌 남유럽 국가들이 결국 운지함.
3) 독일은 유로존 경제위기를 해결해야 할 책임도 있음.
3. 독일 인구 문제점

독일은 엄청나게 많은 난민들을
받아들이고 있고

그 난민들이 문제를 일으켜

메르켈 독일 총리가
어마어마한 비난을 받고 있는 중인데
그럼에도 독일이 이민에 적극적인데는
다 이유가 있었어. ㅎㅎ (2015)
그 이유는 바로 독일의 2차 인구 절벽인
총 인구 감소 현상으로 (2015)
독일의 잠재성장률과 고용이
앞으로 더 하락할 전망이라고 해. (2014)
참고로 독일의 생산가능인구는
2000년대 초반부터 감소 중이였고 (2014)
고령화 수준이 매우 심각해서 (2013)
일본에 견줄만한 수준이야. ㅋㅋ (2015)
이런 초고령화로 독일의 실질 토지가격은
일찌감치 부진했고 (2014)
독일의 과소투자가 상당히 심각해서 (2013)

독일의 가계자산 수준이
경제운지한 스페인보다 낮다고 해.
3. 독일 인구 문제점 요약
1) 독일의 고령화 문제는 일본과 비슷하게 심각함.
2) 두번째 인구절벽인 총인구 감소현상이 시작된다고 함.
3) 고령화 문제로 독일의 국내투자가 상당히 적은 편임.
4. 독일 갈등 문제점
난민과 이민자 유입이
독일의 고령화 문제 해결책인데 (2014)
난민과 이민자들이 독일의 노동자와 시민으로
성공적으로 정착해야
저출산-고령화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것이지 (2015)
노동자 대신 범죄자로 정착할 경우
심각한 사회문제를 야기할 수 있어. (2016)

참고로 독일은 내수 비중이
유럽 선진국치고 비교적 낮은 편이고 (2012)
무역의존도가 우리나라와 비슷해서
대외요인에 휘둘리는 편이야. (2011)
이런 이유로 독일에 유입된 난민들이 (2015. 신청자수)
독일의 경기침체로 성공적으로
정착하지 못할 경우 (2015.09)
고령화 문제 해결이란 기대와 달리
인종, 종교 갈등 등의 위기가 찾아올 수도 있어.
독일의 인구감소 현상을 해결할려면
인구 유입이 필수적이긴 한데 (2011)
독일 시민들이 난민들이 너무 많다고
불만을 나타내고 있고 (2015)
난민촌 방화와

반이민 시위 등
극우파의 확산 조짐이 있어서 (2013)
메르켈 총리가 이문제를 잘 해결할 수 있을지
궁금한 형편이야. (2015)
4. 독일 갈등 문제점 요약
1) 독일의 고령화 문제 해결책은 적극적인 이민정책 밖에 없음.
2) 난민들이 노동자로 정착해야 성공, 범죄자로 정착하면 실패임.
3) 인종, 종교 갈등으로 극우파가 커지고 있음. 정치갈등을 예고함.
과거글 링크 : http://www.ilbe.com/7308074143
3줄 요약
1. 독일 통일은 잘한 일이나 흡수통일 과정에서 문제가 많았음.
2. 독일의 저출산-고령화 문제가 일본급으로 매우 심각함.
3. 고령화 해결책으로 적극적인 이민정책 중임. 앞으로 어찌될지 궁금함.





